Representation Patterns of the War Memories in Lee Kang-Baek's Play Chilsanri
[book] 이강백 / 1992 / 이강백 희곡전집 4 / 평민사
[book] 권귀숙 / 2006 / 기억의 정치 / 문학과지성사
[book] 김원 / 2011 / 박정희 시대의 유령들-기억, 사건 그리고 정치 / 현실문화
[book] 도미니크 라카프라 / 2008 / 치유의 역사학으로 / 푸른역사
[book] 베라 뉘닝 / 2006 / 현대 문화학의 컨셉들 / 유로
[book] 알라이다 아스만 / 2011 / 기억의 공간 / 그린비
[book] 오카 마리 / 2004 / 기억 서사 / 소명출판
[book] 이-푸 투안 / 2011 / 토포필리아 / 에코리브리
[book] 정진성 / 2009 /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 휴머니스트
[book] 태지호 / 2014 / 기억문화연구 / 커뮤니케이션북스
[book] 테사 모리스 스즈키 / 2010 / 우리안의 과거 / 휴머니스트
[book] 이경덕 / 2015 / The Political Unconscious : Narrative as a Socially Symbolic Act / 민음사
[book] 피에르 노라 / 2010 / 기억의 장소 / 나남출판
[journal]
곽한주
/ 2013
/
Cultural Mourning and National Community : An Investigation of the Culture of Mourning in the Post-dictatorship Korean Society
/ 한국학연구
/ 한국학연구소
(31)
: 397~433
[journal] 권미란 / 2019 / 절망 속에서 희망을 꽃피우는 작가 / 문예연구 / 문예연구사 (103) : 11~22
[thesis] 권순대 / 2003 / 분단희곡의 담론 특성에 관한 연구 / 박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journal] 김문홍 / 2019 / 희곡 「칠산리」의 표현 기법 연구 / 문예연구 / 문예연구사 (103) : 23~38
[journal]
김성희
/ 2012
/
The Dehistoricization Trend in Historical Plays: Play with History and Everyday Life History Writing
/ 한국연극학
/ 한국연극학회
1
(48)
: 51~84
/ 10.18396/ktsa.2012.1.48.002
[journal]
김승옥
/ 2011
/
The Memories of the Korean War and the Theatrical Representation —focusing on the Korean Theater Festival
/ 드라마 연구
/ 한국드라마학회
(34)
: 90~124
/ 10.15716/dr.2011..34.90
[journal]
이평전
/ 2013
/
A study on the memory of the Korea War and the place -Focus on Park wan-seo’s novel-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한민족어문학회
(65)
: 869~895
[journal]
정문권
/ 2015
/
A Study on the Memory in Hyun Ki-young's <Aunt Suni>
/ 한국언어문학
/ 한국언어문학회
(94)
: 373~394
[journal]
조보라미
/ 2010
/
Study on the Status and the Meaning of the 'Marginal Man' in Dramas on the Division of Korea
/ 한국극예술연구
/ 한국극예술학회
(32)
: 311~344
/ 10.17938/tjkdat.2010..32.311
[journal]
태지호
/ 2013
/
A Study on the Method of Representation Proposed by Nostalgic Films as a Cultural Memory : Focusing on the Methods for Remembering in the Films〈Sunny〉and〈Architecture 101〉
/ 한국언론학보
/ 한국언론학회
57
(6)
: 417~440
KCI Citation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