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2022 KCI Impact Factor : 1.06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Landscape Attractions of Seoul in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Eight Scenery Poems, True - View Landscape Paintings and Folklore Literatures
ABSTRACT
열림/닫힘 버튼KEYWORDS
열림/닫힘 버튼896 Viewed
223 Downloaded
KCI Citation Counts (3)
열림/닫힘 버튼[journal]
강관식
/ 2006
/
The Power of Gwang-Ju, Jung family and Jang Dong, Kim family and <Chung Pung Kyae> of Gyum Jae, Jung Sun.
/ 미술사학보
/ 미술사학연구회
(26)
: 119~147
[journal]
강영조
/ 2002
/
Prospect Behavior in the Analysis of Kyumjae Chung Sun‘s One Hundred Scenes from the Real Landscape Painting
/ 한국조경학회지
/ 한국조경학회
30(5)
: 1~15
[journal]
고동환
/ 2006
/
The Composition and Perception of the Space of Seoul in Late Joseun Dynasty
/ 서울학연구
/ 서울학연구소
(26)
: 1~48
[book] 권영민 / 2004 / 한국현대문학대사전 / 서울대학교출판부
[journal]
권정은
/ 2013
/
The Inclination of the Poetry & Picture Concerned Walled City and the Distinction of Hanyang-ga
/ 문학치료연구
/ 한국문학치료학회
29
: 139~168
[book] 김한배 / 1998 / 우리 도시의 얼굴 찾기 / 태림문화사
[journal]
남정희
/ 2012
/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Space Appeared in Hanyangga
/ 한어문교육
/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6
: 239~270
/ http://dx.doi.org/
[journal]
노재현
/ 2008
/
‘The Same Scenery’ and ‘a Different Landscape’ Included in “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 an Essay to Determine Meaning - Centering around Paintings of Chong Seok Jeong in the 18th-19th Centuries -
/ 한국조경학회지
/ 한국조경학회
36(5)
: 82~93
[book] 서울시사편찬위원회 / 1959 / 동국여지비고 / 서울특별시
[journal]
안장리
/ 2009
/
A study of Seoul's eight views in chinese poetry
/ 서울과 역사
/ 서울역사편찬원
(74)
: 127~165
[book] 유본예 / 1981 / 한경지략 / 탐구당
[journal] 이규목 / 1994 / 조선 후기 서울의 도시경관과 그 이미지 / 서울학연구 (1) : 149~191
[book] 이규목 / 2002 / 한국의 도시경관 / 열화당
[book] 이종묵 / 2006 / 조선의 문화공간1-조선초기: 태평성세와 그 균열 / 휴머니스트
[book] 이행 / 1986 / (신증)동국여지승람 I / 민족문화추진회
[book] 임승빈 / 1991 / 경관분석론 / 서울대학교출판부
[journal]
정기호
/ 2009
/
A Study of the View Point and Objects of Jung Sun's Works in the "Book of Landscape Outskirts of Seoul"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
27(4)
: 74~82
[journal]
정인숙
/ 2011
/
A Perception of Seoul and Intention to the Meaning of Modern City through the Poems in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ies
/ 문학치료연구
/ 한국문학치료학회
20
: 165~193
[thesis] 조규희 / 2006 / 조선시대 별서도 연구 / 박사 / 서울대학교
[journal]
조규희
/ 2006
/
Transition: Two Modes of Landscape Painting in Early Eighteenth-Century Korea
/ 미술사와 시각문화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5)
: 192~223
[journal]
조규희
/ 2008
/
Paintings of Scenic Views from Private Gardens and the Perception of Borrowed Landscapes in the Late Joseon Period
/ 미술사학연구
/ 한국미술사학회
257(257)
: 105~139
[journal] 조규희 / 2012 / 조선 후기 한양의 명승명소도와 국도명승의 재인식 / 한국문학과 예술 10 : 147~194
[book] 최기수 / 1994 / 서울의 경과 곡 / 서울학연구소
[book] 최완수 / 2009 / 겸재 정선 2, 3 / 현암사
[journal] 최은숙 / 2012 / <한양가>에 나타난 한양경관과 장소애착성 / 한국문학과 예술 10 : 5~31
[book] 한산거사 / 1994 / 한양가 / 民昌文化社
[journal]
홍윤순
/ 2002
/
A Study on the compound dua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archetype landscape of Hanyang
/ 서울학연구
/ 서울학연구소
(19)
: 75~99
[web] / 동국세시기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http://folkency.nfm.go.kr
[web] / 신증동국여지승람 / 한국고전번역원 / http://www.itkc.or.kr
[web] / 팔경시, 진경산수화, 한경지략, 경도잡지, 한양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http://encykorea.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