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Science of Art 2021 KCI Impact Factor : 0.65
A Study on Grotesque Image shown in Face of Jangseung
ABSTRACT
열림/닫힘 버튼KEYWORDS
열림/닫힘 버튼202 Viewed
0 Downloaded
KCI Citation Counts (1)
열림/닫힘 버튼[journal] 권태효 / 2001 / 탈춤의 인물 성격과 탈의 비정상적 형상화 양상 / 생활문물연구 / 국립민속박물관 (3) : 51~61
[journal] 김두하 / 1981 / 痘瘡장승 考-朝鮮時代의 痘瘡對策과 장승 / 한국민속학 / 한국민속학회 14(1) : 108~159
[book] 김두하 / 1996 / 장승과 벅수 / 대원사
[book] 김선자 / 2002 / 중국신화의 이해 / 아카넷 : 143~190
[journal] 김성우 / 1997 / 17세기 위기와 숙종대 사회상 / 역사와 현실 / 한국역사연구회 25 : 12~47
[thesis] 김성철 / 2002 / 한국사찰장승의 연구 / 석사 /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thesis] 김재원 / 2007 / 19세기 말 신체 이미지 메타포(Metaphor)의 상징성 연구 / 박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journal] 김재호 / 2001 / 한국 전통사회의 기근과 그 대응: 1392∼1910 / 經濟史學 / 經濟史學會 30 : 47~85
[book] 김정희 / 2002 / 신장상 / 대원사
[book] 김종갑 / 2011 / 그로테스크의 몸 / 건국대학교출판부
[journal] 김태곤 / 1981 / 新年祭의 實相 / 월간문화재 / 월간문화재사
[journal] 김태곤 / 1983 / 장승제의 실상 / 동방학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39 : 107~134
[book] 김태곤 / 1981 / 한국무속연구 / 집문당
[book] 김현영 / 2003 / 조선시대 사회의 모습 / 집문당
[journal] 김호 / 1993 / 16세기 말 17세기 초 ‘疫病’발생의 추이와 대책 / 韓國學報 / 일지사 71 : 120~146
[book] 류정아 / 2013 / 축제이론 / 커뮤니케이션북스
[journal] 문수홍 / 1982 / 조선후기 신분제 동요의 일고찰-납속책, 공명첩 발급을 중심으로 / 논문집 /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 : 59~75
[journal] 박호원 / 2004 / 장승(長栍)의 기원과 신앙의 형성 / 생활문물연구 / 국립민속박물관 15 : 35~55
[journal] 서종문 / 1985 / 장승 민속의 문학적 형상화(Ⅰ) / 국어교육연구 / 국어교육학회 17 : 13~35
[book] 손진태 / 1948 / 朝鮮民族文化의 硏究 / 乙酉文化社 : 182~223
[journal]
손태도
/ 2008
/
Musog(무속. Korean shamanism)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 한국무속학
/ 한국무속학회
(17)
: 189~270
[book] 송찬섭 / 2010 / 조선후기 간척과 수리 / 민속원 : 49~128
[journal]
송화섭
/ 2004
/
The Origin of Korean Changsung and the Context of Its Emergence
/ 역사민속학
/ 한국역사민속학회
(18)
: 35~68
[book] 신동원 / 1999 / 조선사람의 생로병사 / 한겨례신문사
[book] 유홍준 / 1993 / 장승 / 열화당 : 158~169
[book] 윤열수 / 1994 / 그림으로 보는 한국의 무신도 / 이가책
[journal] 이경식 / 1973 / 17세기 농지개간과 지주제의 전개 / 한국사연구 / 한국사연구회 9 : 87~125
[book] 李杜鉉 / 1995 / 韓國假面劇 / 서울대학교출판부
[book] 李符永 / 1982 / 韓國巫俗의 綜合的 考察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147~178
[book] 이부영 / 1999 / 그림자 / 한길사
[book] 이숙희 / 2006 / 한국 미술문화의 이해 / 예경 : 143~177
[journal]
이용범
/ 2003
/
The Types and Characters shown in Korean Shamanism - Based on shamanism in Seoul -
/ 민속학연구
/ 국립민속박물관
(13)
: 205~247
[book] 李鐘哲 / 1993 / 韓國基層文化의 探究-장승 / 열화당
[book] 이종철 / 1993 / 장승 / 열화당 : 124~147
[journal] 이종철 / 1983 / 장승의 起源과 變遷試考 / 이화사학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사학연구소 13-14 : 31~41
[book] 이필영 / 1997 / 한국 민속의 이해 / 국립민속박물관 : 267~278
[journal]
정승모
/ 2013
/
The Origin of Changseung and Ongjung Stone
/ 문화재
/ 국립문화재연구소
46(1)
: 160~175
[book] 다카하시 도시오 / 2012 / 호러국가 일본 / 도서출판b
[book] 데이비드 폰테너 / 2011 / 상징의 모든 것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book] 미하일 바흐찐 / 2004 /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 민중문화 / 아카넷
[book] 볼프강 카이저 / 2011 / 미술과 문학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 아모르문디
[book] 블라지미르 쁘로쁘 / 2010 / 희극성과 웃음 / 나남
[book] 칼 구스타브 융 / 2002 / 꿈에 나타난 개성화 과정의 상징 / 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