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Science of Art 2021 KCI Impact Factor : 0.65
Rehabilitierung der Schönheit der koreanischen traditionellen bildenden Künste durch die Gedanken von I. Kant
ABSTRACT
열림/닫힘 버튼KEYWORDS
열림/닫힘 버튼114 Viewed
0 Downloaded
KCI Citation Counts (0)
[book] 강행원 / 2001 / 문인화론의 미학 / 서문당
[book] 고유섭 / 1972 / 한국미술사급 미학논고 / 통문관
[book] 고유섭 / 2005 / 구수한 큰 맛 / 다할미디어 : 45~56
[book] 고유섭 / 2005 / 구수한 큰 맛 / 다할미디어 : 15~23
[book] 고유섭 / 2005 / 구수한 큰 맛 / 다할미디어 : 86~106
[book] 고유섭 / 2013 / 미학과 미술평론 / 열화당
[journal]
공병혜
/ 2011
/
Die Bedeutung des Naturschönen und die Kunst -Im Zusammenhang mit der Ästhetik Kants und Adornos-
/ 범한철학
/ 범한철학회
61(2)
: 189~213
[book] 권영필 / 1997 / 한국미학시론 / 고려대학교 출판부 : 67~117
[journal]
금빛내렴
/ 2002
/
칸트의 천재 개념의 전개
/ 미학예술학연구
/ 한국미학예술학회
16
: 227~264
[journal]
김석수
/ 2010
/
Natural Beauty and Artistic Beauty in Kant's Philosophy
/ 철학논총
/ 새한철학회
61(3)
: 181~202
[journal]
김영건
/ 2010
/
Philosophical Taoism and Kant's the Aesthetic
/ 철학논집
/ 철학연구소
20
: 5~36
[book] 김원룡 / 1978 / 한국미의 탐구 / 열화당
[thesis] 김임수 / 1991 / 高裕燮 연구 / 박사 / 弘益大學校 大學院
[journal] 김임수 / 2001 / 고유섭과 한국미학 / 황해문화 : 240~253
[book] 김학규 / 1998 / 노자와 도가사상 / 명문당
[journal]
노은임
/ 2009
/
The Concept of Beauty in Chuang-Tzu and Kant : The Practical Beauty and The Reflexive
/ 동양고전연구
/ 동양고전학회
(34)
: 339~362
[book] 노자 / 2015 / 도덕경 / 올재
[book] 리쩌허우 / 2016 / 화하미학 華夏美學 / 아카넷
[journal]
맹주만
/ 2009
/
Kant and Laotzu : Philosophy of the Boundary and the Between - Ontology of the Between and the Boundary Self -
/ 칸트연구
/ 한국칸트학회
(24)
: 201~231
[book] 민주식 / 1997 / 한국미학시론 / 고려대학교 출판부 : 17~63
[journal] 민주식 / 2001 / 한국미학의 정초–고유섭의 한국미론 / 동양예술 1 : 263~284
[journal] 민주식 / 2000 / 풍류(風流)사상의 미학적 의의 / 미학예술학연구 11 : 61~76
[journal]
민주식
/ 2003
/
The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Aesthetic Thoughts
/ 미학예술학연구
/ 한국미학예술학회
17
: 23~42
[journal]
민주식
/ 2011
/
Korean Modern Reactions to Western Aesthetics
/ 美學(미학)
/ 한국미학회
(65)
: 1~38
[journal]
박배형
/ 2014
/
Von dem Verhaltnis der Schonheit zur Sittlichkeit in Kants Asthetik
/ 美學(미학)
/ 한국미학회
(77)
: 1~29
[journal]
박병기
/ 2003
/
칸트의 목적론적 자연이해
/ 범한철학
/ 범한철학회
(29)
: 185~206
[book] 박이문 / 2005 / 노장사상 - 철학적 해석 / 문학과 지성사
[journal]
박진
/ 2003
/
무화와 예술 -칸트에게서 자연과 자유의 매개로서의 미
/ 칸트연구
/ 한국칸트학회
11
: 163~196
[journal]
손보미
/ 2006
/
About the concept of the disinterestedness in Kant's aesthetic Theory and the concept of the wandering in Chuang-tzu
/ 동양철학
/ 한국동양철학회
(26)
: 257~282
[journal] 신나경 / 2007 / 한국미의 범주로서의 ‘자연’ / 민족미학 6 : 105~135
[journal]
신나경
/ 2016
/
On the Aspects of Aesthetic Category in the Acceptance of Modern Western Aesthetics. -Focusing on the Early Aesthetics Thought in South Korea and Japan -
/ 동양예술
/ 한국동양예술학회
(31)
: 181~202
[journal]
신응철
/ 2016
/
Woohyun and Yikyung’s understanding of the Korean Beauty
/ 한국문학과 예술
/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18)
: 189~221
[book] 안휘준 / 1984 / 한국 미술의 미의식 / 정신문화연구원 : 133~186
[book] 야나기 무네요시 / 2006 / 조선과 그 예술 / 신구문화사
[thesis] 이슬비 / 2013 / 고유섭의 한국미론에 대한 고찰 : 노장사상의 무위자연을 중심으로 / 석사 / 조선대학교 대학원
[book] 이어령 / 1978 / 한국인의 재발견 / 교학사
[journal] 이영숙 / 1998 / 칸트와 도가(道家)의 자연관 / 철학과 현실 38 : 220~235
[journal]
이정환
/ 2015
/
Originality and Naturalness :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u Shi’s Ideas on Artistic Creativity on the Basis of Kant’s Concepts of Genius and Arts
/ 美學(미학)
/ 한국미학회
81(1)
: 59~93
[journal]
이주영
/ 2014
/
A study in comparative aesthetics for an investigation into the peculiarities of Korean beauty
/ 미학예술학연구
/ 한국미학예술학회
41
: 103~151
[journal]
임성원
/ 2015
/
Study on the Agenda of Korean Aesthetics
/ 민족미학
/ 민족미학회
14(1)
: 45~74
[journal]
장미진
/ 2007
/
A Study on Primary Concepts and Views of Buddhist Aesthetics
/ 미학예술학연구
/ 한국미학예술학회
25
: 5~54
[book] 장자 / 2016 / 장자 / 연암서가
[journal]
조민환
/ 2012
/
A study on the Korean aesthetic beauty reflected on the Confucianism and Taoism
/ 한국사상과 문화
/ 한국사상문화학회
(65)
: 299~330
[book] 조송식 / 2015 / 산수화의 미학. 누워서 노닐다, 그리며 노닐다 / 아카넷
[book] 조요한 / 1973 / 예술철학 / 법문사
[book] 조요한 / 1999 / 한국미의 탐구 / 열화당
[book] 조지훈 / 1964 / 한국문화사서설 / 탐구당
[book] 지순임 / 2012 / 한국 회화의 미 / 미술문화
[book] 최순우 / 1993 / 혜곡(兮谷)최순우전집(제1권) / 학고재
[journal]
하선규
/ 2006
/
Freiheit der Natur und Einbildungskraft: Versuch ber die Aktualitt der reflektierenden Urteilskraft Kants(II)
/ 미학예술학연구
/ 한국미학예술학회
24
: 5~47
[journal]
하선규
/ 2011
/
Kants Ästhetik als lebendige Gegenwart (I) ― Überlegungen zu der Verbindung von Ästhetik und Teleologie, dem Begriff der Interesselosigkeit und zur Ästhetik des Erhabenen
/ 美學(미학)
/ 한국미학회
(65)
: 159~204
[journal] 한의정 / 2001 / 칸트에 있어서 미감적 판단력의 목적론적 기반 / 미학예술학연구 13 : 153~183
[journal]
황순우
/ 2009
/
The Concept of XuJing in Laotzu
/ 철학논총
/ 새한철학회
3
: 511~529
[journal]
황순우
/ 2009
/
Ursprüngliche Erkenntnis von Kant und Laotzu
/ 칸트연구
/ 한국칸트학회
(23)
: 169~192
[confproc] Gracyk, Theodore / 1995 / Art, Nature and Purposiveness in Kant's Aesthetic Theory / Proceedings of the Eighth International Kant Congress (Memphis 1995) 2(2) : 499~508
[journal] Hughes, Fiona / 2006 / On Aesthetic Judgement and our Relation to Nature: Kant's Concept of Purposiveness / Inquiry 49(6) : 547~572
[book] Kant, Immanuel / 2009 / 판단력비판 / 아카넷
[book] Kant, Immanuel / 1981 / 순수이성비판 / 박영사
[confproc] Recki, Birgite / 1995 / Ideal der Schönheit’ und Primat der Natur: Zur systematischen Interpretation des ästhetischen Gefühls / Proceedings of the Eighth International Kant Congress (Memphis 1995) 2(2) : 473~480
[journal] Rueger, Alexander / 2007 / Kant and the aesthetics of nature / British Journal of Aesthetics 47(3) : 138~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