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aning of Korean Hyperrealism Paintings after 1990s in the Age of Post-Medium Condition : Focused on the Concept of Medium by Rosalind Krauss
[book] 김복영 / 2001 / 사실과 환영:극사실 회화의 세계 / 삼성미술관 : 22~48
[book] 김복영 / 2006 / 한국현대미술이론 눈과 정신 / 한길아트
[web] 김복영 / 2011 / 물성과 실상의 경계에서 / http://www.art500.or.kr/blog/jiseokcheol.do
[book] 김복영 / 2001 / 사실과 환영:극사실 회화의 세계 / 삼성미술관 : 154~165
[journal]
김영호
/ 2009
/
Definition of the Korean Hyperrealism Painting in the Fine Art History
/ 현대미술학 논문집
/ 현대미술학회
13
: 7~29
[journal]
김영호
/ 2015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Korea Realism' - Issue of the Concept of Reality in New Figurative Art
/ 철학∙사상∙문화
/ 동서사상연구소
(19)
: 179~204
[book] 김지훈 / 2017 / 북해에서의 항해; 포스트-매체 조건 시대의 미술 / 현실문화 A : 102~129
[journal] 서성록 / 2011 / 디지털 시대의 회화적 재현 / 시대정신 52 (가을) : 354~365
[journal] 신항섭 / 2009 / 극사실 회화의 기법과 미술시장 / 미술평단 / 한국미술평론가협회 (여름) : 87~97
[journal]
오세권
/ 2012
/
A Study of Food Expression in Hyper Realism -Focusing on Korean Style Painting in the 2000s
/ 기초조형학연구
/ 한국기초조형학회
13
(5)
: 301~315
[book] 윤난지 / 2001 / 한국미술과 사실성 / 눈빛 : 175~207
[journal]
윤영두
/ 2010
/
Aesthetic Approach of Digital Images -Focus on Realism-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한국콘텐츠학회
10
(2)
: 146~154
[journal] 이승훈 / 2009 / 디지털 리얼리즘; 디지털 시대의 리얼리즘 / 미술평단 / 한국미술평론가협회 (여름) : 131~136
[journal]
이주영
/ 2015
/
Visual signs an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 Korean hyperrealism painting
/ 미학예술학연구
/ 한국미학예술학회
45
: 283~322
/ http://dx.doi.org/10.17527/JASA.45.0.09
[journal]
이필
/ 2014
/
Photography and Drawing : From Photography for Drawing to Drawing for Photography
/ 미학예술학연구
/ 한국미학예술학회
41
: 239~266
[journal]
장민한
/ 2014
/
On the Aesthetic Value of Korean Hyperrealism and the Criticism in the Age of Pluralism
/ 기초조형학연구
/ 한국기초조형학회
15
(3)
: 345~357
[journal]
정수경
/ 2014
/
An Inquiry on the Viability of the HyperrealismPainting after the Invention of the Photography: Based on Jacques Lacan’s Notion of ‘Mimicry’
/ 美學(미학)
/ 한국미학회
(80)
: 265~301
[journal]
정영한
/ 2012
/
Analysis of Image in Korean Hyper-Realism after 1979: From Reality to The Real
/ 기초조형학연구
/ 한국기초조형학회
13
(3)
: 317~328
[journal] 조선령 / 2010 / 상품-테크놀로지 시대의 예술“ 극사실 회화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 문화과학 62 (여름) : 278~294
[journal] 최우석 / 2005 / 1980년대 한국 미술의 양상-그룹전을 중심으로 / 고황논집 / 경희대학원 36 : 151~166
[journal]
최종철
/ 2016
/
Notes on the Duality in Rosalind Krauss' Post-Medium Condition
/ 미학예술학연구
/ 한국미학예술학회
46
: 211~263
/ http://dx.doi.org/10.17527/JASA.45.0.07
[journal]
최태만
/ 2009
/
Korean Society of 1980s and Minjoong Misool -Visual Images of Mass Consumer Society and Re-thinking of the Critical Realism
/ 미술이론과 현장
/ 한국미술이론학회
0
(7)
: 7~36
[journal]
허나영
/ 2016
/
A Study of the Double Structure of Korea Hyperrealism Paintings in the 1970s and 1980s
/ 조형교육
/ 한국조형교육학회
(60)
: 361~381
[other] 허나영 / 2017 / 표면에서 날아간 나비 / 문수만 개인전 카탈로그, 2017. 4
[other] 허나영 / 2017 / 실제가 되고 싶은 그림 / 김대연 개인전 카탈로그, 2017. 6
[book] Krauss, Rosalind / 2004 / 시각과 시각성 / 경성대학교 출판부
[book] Krauss, Rosalind / 2017 / 북해에서의 항해; 포스트-매체 조건 시대의 미술 / 현실문화 A
[journal] Krauss, Rosalind / 1999 / Reinventing the Medium / Critical Inquiry 25 : 289~305
[journal] Krauss, Rosalind / 2006 / Two Moments fron the Post-Medium Condition / October 116 (Spring) : 55~62
[book] Krauss, Rosalind / 2010 / Perpetual Inventory / The MIT Press
[book] Krauss, Rosalind / 2011 / Under Blue Cup / The MIT Press
[book] Summers, David / 2003 / Critical terms for art history / The University of Chicago : 3~19
KCI Citation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