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021 KCI Impact Factor : 1.82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Gap of Welfare Efficiency in Local Government
ABSTRACT
열림/닫힘 버튼KEYWORDS
열림/닫힘 버튼138 Viewed
0 Downloaded
KCI Citation Counts (6)
열림/닫힘 버튼[journal] 강윤호 / 2000 / 지방자치와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정책 정향 34(1) : 213~227
[journal] 김규덕 / 1998 / 지방정부 공공서비스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쓰레기 수거서비스를 중심으로 / 영남대학교
[journal] 김상구 외 / 도시성장지표로서의 삶의 질 분석 12(1)
[journal] 김성종 / 2000 / 지방공공서비스 공급의 생산효율성 구조 분석 30 : 47~65
[journal] null / 1994 / 분권화와 지역주민복지의 상관성:보호대상주민 집단에 대한 광역정부의 복지관여 추이 분석 6(1)
[journal] 김진수 / 2003 / 구시가지와 신시가자의 지역격차에 관한 연구 성남시를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journal] 김태일 / 1998 / 지방자치의 실시가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지출에 미친 영향 7(1) : 317~338
[journal] 노운녕 / 1996 / 지방화 시대의 삶의 질 평가와 복지정책의 방향 의정부시를 중심으로 自然科學 19
[journal] 류진석 / 2002 / 지역복지의 발전과 NGO의 역할 13 : 111~133
[journal] 류진석 외 / 2000 /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지역격차 / 한울
[journal] null / 1984 / 지역격차와 갈등에 관한 한 연구:영호남 두 지역을 중심으로 18(4)
[journal] 문춘걸 / 1998 / 자료포락분석법 및 그 변형기법을 통한 공공부문의 생산성 측정 한국 중소도시의 생산성 분석 / 한국조세연구원
[journal] 박광덕 / 2002 / 사회복지개론 / 삼영사
[journal] 박성복 / 1996 / 지역발전격차의 분석 시론:1994년의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8(2)
[journal] 박종삼 외 / 1997 / 사회정책적 측면에서 본 남북한 삶의 질 비교연구 33
[journal] 박창제 / 1996 /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효율성 측정:지방공사 의료원을 중심으로 6(2) : 91~114
[journal] 박희봉 / 경기도 남북의 지역격차에 관한 연구 5(2)
[journal] / 1994 / 21세기 한국의 사회발전전략 성장복지환경의 조화 / 나남출판
[journal] 서운석 / 1997 / 지방자치와 주민복지간의 관련성 연구:서울시 자치구를 사례로
[journal] 안희정 / 2000 / 삶의 질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 원주시를 중심으로. (8)
[journal] null / 1996 / 지방정부 직영기업의 상대적 효율성 평가:도시 상수도사업에 대한 Data Envelopment Analysis 5(4) : 119~139
[journal]
유금록
/ 2003
/
Measuring the Productivity of Public Health Centers: The Case of the Jeollabuk Province in Korea
37(4)
: 261~280
[journal] null / 2002 / 외환위기이후 지방상수도사업의 생산성 변화분석 36(4) : 281~301
[journal] 유재원 / 1999 / 단체장 민선이후 자치단체의 정책변화 Peterson의 도시한계론 검증 8(3) : 79~98
[journal] 윤경준 / 1998 / 공공부문 성과측정을 위한 DEA와 확률전선모형의 비교분석:일선경찰서의 기술효율성 측정을 중심으로 32(4) : 257~273
[journal] 윤기찬 / 사회복지서비스 생산성에 관한 통합적 분석 38(6) : 201~224
[journal]
이광희
/ 2003
/
A Research on the Performance of South Korea's Local Governments
15(3)
: 55~74
[journal] 이상섭 / 1998 / 자료포락분석(DEA)에 의한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의 상대적 효율성 측정: 쓰레기수거서비스를 중심으로 23 : 169~187
[journal] 이승종김흥식 / 1992 / 지방자치와 지방정부의 정책정향:복지서비스 기능을 중심으로 26(2) : 573~589
[journal] 이영범 / 1997 / 확률전선비용모형을 이용한 공공병원의 효율성 측정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교
[journal] 이은국 / 2003 / 지방정부 생산성 측정의 이론과 실제 / 집문당
[journal] 이재기외 / 1998 / 삶의 질의 개념, 구성요소 및 측정방법: A Survey. 8(2)
[journal] 임동진 / DEA를 통한 지방정부의 생산성 측정 34(4) : 217~234
[journal] 전용수 / 2002 / 효율성 평가를 위한 자료포락분석 / 인하대출판부
[journal] 전재일 / 2002 / 사회복지개론 / 형설출판사
[journal] null / 1994 / 지방자치와 지역복지 4 : 195~215
[journal] 정원식 / 2001 / 지방자치시대의 도시간 지역격차의 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13(1)
[journal] null / 1994 / 사업장 보건관리 사업의 형태별 수행성과 분석 / 서울대학교
[journal] 조영훈 / 2001 / 지방분권화와 사회복지 제공의 지역간 격차
[journal] 주동일 / 1998 / 자료포락분석에 의한 지방공기업의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상수도 사업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journal] / 1995 / 전국 74개시 비교평가 자료집 삶의 질 입체분석 / 중앙일보사
[journal] 초의수 / 2000 /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지역격차 문제와 해소방안 4(1) : 185~216
[journal] null / 2002 / 시군구 100대 지표 / 통계청
[journal] null / 1992 / 도시서비스 공급수준의 평가 (2)
[journal] 하혜수 / 1996 / 지방정부의 정책산출평가모형에 관한 연구:삶의 질 지표와 지역경쟁력지표를 중심으로
[journal] 홍준현 / 1999 / 90년대 우리나라 지역격차의 실태분석 8(3)
[journal] null / 2001 / 지방분권화와 지역격차의 상관관계 13(1)
[journal] Bang / 1993 / Quality of Life Indicators for the City of Pittsburgh and Allegheny County University Center for Social and Urban Research
[journal] Banker / 1984 /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 1078~92
[journal] Cameron / 1978 / The Expansion of Public Economy : 1243~1261
[journal] Cutter,S.S / 1985 / Rating Places:A Geographer's View on Quality of Life /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journal] ILO / 2000 / World Labour Report 2000-Income Security and Social / ILO
[journal] Scheel, H / 2000 / EMS: Efficiency Measurement System User's Manual.
[journal] and Thrall / 1990 / Recent Developments in DEA The Mathematical Programming Approach to Frontier Analysis Journal of Econometrics : 7~38
[journal] Tankersley / 2000 / The Impact of External Control Arrangem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Wong,K / 1988 / Economic Constraint and Political Choice in Urban Policyma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