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CHINESE STUDIES 2021 KCI Impact Factor : 0.37

Korean | English

pISSN : 1229-3806 / eISSN : 2765-6330

http://journal.kci.go.kr/kucsi
Home > Explore Content > All Issues > Article List

2012, Vol., No.35

  • 1.

    ‘V(P)+來’ 구문 분석 ― 이동사건의 관점에서

    김주희 | 2012, (35) | pp.1~19 | number of Cited : 3
    Abstract PDF
    本文以表示位移义的“V(P)+來”構式为研究对象, 从位移事件框架的角度探讨了由“V(P)”和“來”構成的各类位移事件。 根據“V(P)”在位移事件框架中充當的角色,把“V(P)+來”構式分为“V(P)+來₁”, “V(P)+來₂”, “V(P)+來₃”并对此进行了考察。“V(P)+來₁”表示实施者以“V(P)”表现的<方式>向参照點位移。 “來₁”充當位移事件框架的 <位移+指示要素>成分。 “V(P)”具有 [-指示性] [+位移性]特徵。“V(P)+來₂”表示实施者通过“V(P)”表现的<路径>向参照點位移。 “來₂”充當位移事件框架的 <位移+指示要素>成分。 “V(P)”具有 [-指示性] [+位移性]特徵。“V(P)+來₃”表示实施者的动作行为引起动作对象的位置变化。 “V(P)”是位移事件框架的<原因>成分, “來₃”仍然是<位移+指示要素>成分。 “V(P)”具有 [-指示性][-位移性]特徵。
  • 2.

    현대중국어 ‘V了起來₂’와 ‘V起來₂了’

    최규발 , KYEONGMEE, SHIN | 2012, (35) | pp.21~37 | number of Cited : 6
    Abstract PDF
    本文主要探讨了“起来₂”與“了”的共现结構。 首先把“起来₂”作为一個体标记, 就难以解释與另一個体标记“了”的冲突现象。 因此本文把“起来₂”看成PVC来说明它與完整体标记“了”的关系。其次, 我们发现“起来₂”與“了”的共现类型有两種, 一种是A型的“V了起来₂”, 另一种是B型的“V起来₂了”。 本文考察这两种类型的差异。 我们要解决这件问题先分析了这两种类型中出现的动词, 但就发现A, B两种结構的动词类型差異甚微。 所以对动词, “起来₂”,“了”这三個成分的结合加以分析。本文又指出汉语是一种由语序来决定语义的语言, “起来₂”與“了”也会因语序的不同而具有不同的语义。 比如说, 在A型结構里, “V了”来决定“起来₂”的语义, 而B型结構裏, 则由“起来₂”来决定“了”语义。本文又试图说明根據说话人要表示的某個时间範围的不同, “起来₂”和“了”的位置也不同, 结構和含义也会有差異。
  • 3.

    淺談“奴”字的詞義變化和語法化過程

    Heungsoo Park , 曹 洁 | 2012, (35) | pp.39~52 | number of Cited : 2
    Abstract PDF
    “奴”자의 본래의미는 “죄인, 노예”이며, 후에 “婢”자가 만들어져서 “여자 중의 비천한자”라는 의미를 나타내었다. 그때부터 “奴”자는 “남자 중 비천한 자”라는 뜻으로만 사용되었다. 그 후에는 오랜 시간 동안 변화를 거쳐 당대에 “奴”자는 남녀를 모두 가리키게 되었고, 송대 때는 “奴”자는 다시 여자에게 사용되었다. 특히 이때 “奴”자는 여자들이 자기를 가리키는 미칭으로 사용되었다. “奴家”의 용법은 바로 당시 젊은 여자들이 자신을 지칭하던 말이었다. 현대에 이르러 고물가로 인한 충격 때문에 “車奴”(차의 노예), “卡奴”(신용가드의 노예), “房奴”(집의 노예), “孩奴”(자녀의 노예), “婚奴”(결혼의 노예) 등의 표현이 생겨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한자 “奴”의 역사발전 과정을 통해 “奴”자의 한자의미와 어휘의미를 연구하였으며, 문헌의 근거를 토대로 “奴”자의 문법화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 4.

    元好問 七絶 連作詩 硏究

    KIM JOONYOUN , Eunsun Yang | 2012, (35) | pp.53~77 | number of Cited : 1
    Abstract PDF
    元好問是金元交替時期的一位詩人。 其詩中所取得的文學成就最高的便是喪亂詩和山水景物詩、 論詩詩。 除此之外‚ 同樣具有特色的就是他的七絕組詩。 組詩主要使用抒情、 詠物和議論三種題材‚ 且組詩是由詩人的‘靈感’來組合的‚ 有時也會按照時間的流動或者空間的變化來組合。元好問的七絕組詩一共有121題441首。 元好問組詩的題材大致可分爲三種:首先‚ 他的七絕中有20題90首的詠物詩。 這類詠物詩主要描寫的是花類和小建築物‚ 大部分都勾畫出淒涼的氛圍。 其次‚ 是有34題77首的題畫詩。 他的題畫詩當中, 關於山水花鳥畫的比較多‚ 大多是由二首來構成的。 再次‚ 是紀行詩。 他的紀行詩有15題63首‚ 其中由四首以上構成的組詩有7題44首‚ 可知他寫作紀行組詩時使用了相當長的篇幅。 其原因是以紀行爲題材用多樣的角度來進行描寫。元好問七絕組詩的藝術技巧可分爲兩種。 一是一組連續鏡頭的立體使用。 每組連續鏡頭還可以分爲按照時間排列的或按空間排列的。 二是反複修辭法的使用。 使用於元好問七絕組詩的反複修辭法就是句的反複。 他最大程度地活用組詩的特徵‚ 增加了節奏感并加強了情緒的傳達‚ 最終便得到了他所創作的具有獨特文學效果的組詩。
  • 5.

    ≪水滸傳≫ 揷畵의 유형과 계보 연구

    SUNG SEO , Hyunsil Kang | 2012, (35) | pp.79~100 | number of Cited : 5
    Abstract PDF
    ≪水滸傳≫的版本雖複雜, 但現在流傳的≪水滸傳≫揷圖本的出現和繼承比較明顯。 本文把衆多≪水滸傳≫揷圖本歸納爲四個類型, 還發現了各個類型裏都有前後繼承關係。 明代萬曆崇禎年間, 四類揷圖本的祖本都出現, 在人物造型, 構圖布置, 解釋敍事等方面上, 都創造了突破性的跳躍, 開展了新的面貌, 打開≪水滸傳≫版畵的高潮。第一類型常見在上圖下文的建安派揷圖本。 由於畵面細長的制約, 人物形象古拙朴素, 然而長期以來解決一些多重空間的表現問題等, 留下了不少有益的經驗。 第二類型以容與堂刊行≪李卓吾先生批評忠義水滸傳≫爲祖本, 線條開朗, 集中於人物的表情和活動, 第一次賦予了水滸人物的基本面貌。 第三類型的祖本乃是大滌餘人序文≪水滸傳≫, 通過多樣的空間布置, 描繪多種人群來能够表現故事情節, 可以看出最適合於小說敍事模式。 第四類型是繡像類, 明代大畵家陳洪綬以及傳爲杜菫的作品, 介紹人物相貌和氣質, 以後一些小說版本採納爲繡像來使用, 給讀者鮮明的人物印象, 有助於解讀內容以及傳播小說的效果。
  • 6.

    企齋詞研究: 以自述心志和代人擬作为綫索

    Yao Dayong , YoungSoon Park | 2012, (35) | pp.101~120 | number of Cited : 5
    Abstract PDF
    조선 초기 신숙주 집안의 신광한(1484-1555)의 저작은 ≪기재집≫, ≪기재기이≫가 전해지고 있다. ‘해동강서파’의 한 명인 그는 시가뿐만 아니라 사 작품도 적잖이 창작하였으며,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한국사학사에서 익재 이제현의 뒤를 이은 사람은 기재 신광한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신광한의 사 작품은 유기수 선생의 ≪역대한국사총집≫에 41수가 실려 있으며, ≪한국문집총간≫의 ≪기재집≫, ≪기재별집≫에도 실려 있다. 또한 신광한의 문학작품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시가, 사부 창작이 주를 이루며 사 작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역대한국사총집≫과 ≪한국문집총간≫에 실린 신광한의 사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사창작의 내용과 풍격을 파악하고, 나아가 신광한의사 작품이 한국 사학사상의 지위 및 공헌을 고찰하였다. 주요 내용은 크게 3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그의 사 창작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인생과 世事에 대한 개탄과 느낌을 읊은 작품을 통해 신광한의 사 창작의 전체적인 면모를 살펴보고, 둘째, 자신의 심리적 변화와 의지를 그린 작품과 셋째, 화답, 擬作 등에 대한 내용, 예술상의 특징을 각각 분석하였다.
  • 7.

    ≪型世言≫의 評者와 評點비평에 관한 연구

    Choe, Yong-Chul | 2012, (35) | pp.121~152 | number of Cited : 3
    Abstract PDF
    ≪型世言≫爲明末崇禎年間, 杭州文人陸人龍所編撰, 由其兄陸雲龍在崢霄館刊行的話本小說集。 此書在中國早已被迷失, 1987年陳慶浩先生調査奎章閣時發現, 當時筆者也有機會熱心幫助調査及影印原書, 並把資料以硏究目的提供給他, 後來這些資料由臺灣中央硏究院中國文哲硏究所影印出版, 竟引起海內外學界的强烈關注。 因此筆者一直關心≪型世言≫的資料和硏究, 而始終沒有機會正式參加硏究行列。 這次筆者關注≪型世言≫的序文及眉批的批評形式及其思想內容。 而由於論文篇幅的限制, 本文中發表序文的體制和評者署名的命名方式, 以及眉批和後人行間評的形式和統計。 至於序文和眉批等的評點批評內容, 以及由他考察的評者的小說觀念和社會思想方面, 只好下次機會發表。
  • 8.

    淸末 도덕 개혁의 一端 ― 譚嗣同의 ≪仁學≫을 중심으로

    이현복 | 2012, (35) | pp.153~178 | number of Cited : 2
    Abstract PDF
    譚嗣同在≪仁學≫提起的“仁”不儘是儒家的而是佛家的、 道家的, 甚至是西學的。 所謂“仁”一面是“元”、 “性”、 “以太(ether)”等存在的原質, 一面是兼愛、 性海、 慈悲、 靈魂、 愛力、 吸力等存在的顯現。 “元”、 “性”、 “以太(ether)”不能留於個體, 而該通過像電線一樣的網絡互相連結。 此可謂“仁”。 所以“仁”能說是個體互相之間作用的相近之力、 卽是他所謂的“心力”。 在此重要的是互相性, 而且他做爲顯現這互相性的例子提起“通商”。 通過“通商”雙方能取得利益。 他把此互相取得利益的情況稱爲“相仁”, 强調“仁”的積極的特色。 有互相性, 個體能在世界裡互相接近, 發見彼我無分的同等的關係。 從此看來, “仁”不只是自然的而是根本的, 能說是接近基於天理固定的倫常, 但考慮“仁”的互相性和平等性, 在此所謂倫常不能包括上下、 內外、 老少、親疎各各有分的不平等的倫常, 只能是表示平等之關係的朋友之倫常。 這樣以個體之平等爲主的朋友之倫常是與社會體制及其變化有關的, 所以爲了實現此倫常及變化需要冒著社會的壓力突圍前進的勇猛無畏的精神。 譚嗣同在≪仁學≫披露“仁”之兩面的特牲和意義, 再加顯示做爲新的社會倫常的朋友之倫常和做爲其實踐道德的勇猛無畏之精神。
  • 9.

    중국 근대 매체와 飜譯 ― ≪時務報≫의 朝鮮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JEONJIN MOON | 2012, (35) | pp.179~201 | number of Cited : 1
    Abstract PDF
    The early 20th century began to spread rapidly along with typography,Shanghai has been the center of modern media. In addition, Shanghai was the hub of the reform movement of 1898 emerged as a major political issue. Laying on one of the most influential media is Shiwubao. This study explores the translation source of Korea-related articles, and analyzes these reconstructed knowledges about Korea. Shiwubao, as media, emphasizes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Thus Shiwubao raises the importance of “a wide range of translation”, Korea-related articles are contained in the world’s knowledge “collected in many ways.”However, most of them have focused on communication with media of empires,such as English newspapers and Japanese newspapers. So, this study could not find translated knowledges about Korea in Korean newspapers based on Korea’s language, and having only the full knowledge of Korea in the articles was an extremely rare case. In contrast, in most articles related to Korea, Korea took place in between great powers, especially Russian or Japanese. Since the mid-19th century, Korea was imaged as a country that was ‘closed’ and did not want to trade with foreigns. So, Korea was reconfigured as a hopeless organization. Shiwubao seeked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but the pathway to Korea was blocked. The information about Korea that was shown by English newspapers and Japanese newspapers reconstituted the image of Korea. Translated articles about Korea in Shiwubao was not only introducing Korea, it might had the desire to be “a strong nation” in the relationships of the world.
  • 10.

    朦朧詩와 기억의 문제 - <기념비纪念碑>와 <이력서履歷>를 중심으로

    Woo Kwang Jung | 2012, (35) | pp.203~224 | number of Cited : 1
    Abstract PD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memory appeared in Misty Poetry, especially focusing on two leading poets of that poetic reaction against Maoist legacy and their monumental works such as Jiang He’s 江河(1949- ) “The Memorial Stone” 紀念碑 as well as Bei Dao’s 北島(1949- ) “Résumé” 履歷. Basically, their poems exhibit the notion of ‘the collective memory’ which was theorized by Maurice Halbwachs(1877-1945). The study theorizes that the collective memory is shared, passed on and also constructed by the group, or modern society. This debate was taken up by Jan Assmann’s ‘the cultural memory,’ which fulfills a storage function. This study contains four parts including introduction and conclusion. Part Two explores the qualities of ‘the cultural memory’ in Jiang He’s poem “The Memorial Stone” through his deep frustration and strong resistance to Maoist ideological system. Part Three explores Bei Dao’s poem “Résumé” through his striving effort to find the driving force in writing a poem in the context of the activated/inactivated memory. Part Four, in its final analysis, examines in more detail the function of ‘the collective memory’ between their Misty Poetry and post-Misty Poetry and it reveals sharp dissimilarities.
  • 11.

    국내 상장 중국기업의 이익조정 분석

    JEONGTAEBEOM | 2012, (35) | pp.225~243 | number of Cited : 10
    Abstract PDF
    Recently, many Chinese companies has listed their stocks on Korea stock exchange. However, some suspicion on the reliability of financial statements of them has raised after the one Chinese company’s stock trading has suspended due to the delay of release of annual report. This paper focuses on the quality of financial statements of Chinese companies, the stocks of which are traded in Korea stock exchange. It is evidenced that the discretionary accruals of Chinese companies a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ones of Korean companies. The more discretionary accruals the net income has, the less reliable the financial statement information is since the discretionary accruals are the proxy for the earnings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accounting research. Therefore, it requires much carefulness while the financial information of foreign companies provided in the securities market is used for our own purpose. Little study, however, has examined where the difference of earnings management between Chinese and domestic companies comes from. Accordingly, the more future research is expected focused on the source of the difference between counties to cope with the globalized trend of securities listing.
  • 12.

    在韓國和中國上關於交易型領導, 變革型領導和服務型領導對組織承諾的影響研究

    최명철 | 2012, (35) | pp.245~271 | number of Cited : 0
    Abstract PDF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관리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거래적, 변혁적 그리고 서번트 리더십 스타일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한국의 한국기업에서 근무하는 순수 한국인과 중국 현지기업에서 근무하는 순수 중국인을 대상으로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이 감정몰입과 지속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세 리더십 스타일 중 어떤 리더십이 감정몰입과지속몰입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지를 비교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한국에서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은 직원의 감정몰입과 지속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중국에서 거래적 리더십은 직원의 감정몰입과 지속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은 직원의 감정몰입에만 정의 영향을 미쳤다. 리더십의 영향력 비교에서는, 한국과 중국 모두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이 각각 거래적 리더십보다 감정몰입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한국에서는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지속몰입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나, 중국에서는 거래적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보다 지속몰입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중국의 결과는 변혁적 및 서번트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조직몰입에 더 광범위하고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 서양 및 한국의 연구결과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그 동안 리더십연구의 주류를 이루었던 변혁적 리더십과 최근 각광받고 있는 서번트 리더십 못지않게 전통적인 거래적 리더십이 중국실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중국의 리더십과 조직행동 분야에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13.

    중국 과학기술 체제 개혁과 정부의 역할 변화

    유정원 | 2012, (35) | pp.273~302 | number of Cited : 5
    Abstract PDF
    自從改革開放以來, 中國政府爲了生產力的發展與經濟建設, 大力推進科技的發展。 因此, 中國科技體制改革是擴大經濟方向而進行的。 經過十幾年的體制改革, 企業逐漸成爲中國科技研究活動的主體。 雖然如此, 中國政府還是在科技活動中擔任著重要的角色。科技活動的投入的政府資金已經遠遠不足於企業的資金。 但是政府對企業的投入一直維持企業研究開發支出的10%。 而且, 政府還給企業提供減免稅或政策性貸款等優惠, 以刺激企業的研究開發活動。 支持科技發展的宏觀制度建立也是由政府擔任的重要任務。 中國政府採取各種行政手段, 以促進中介機構的形成與發展。中國對科技活動的支持都是圍繞著國家的發展戰略與目標而執行的。 從中可知, 在國家創新體制中中國政府擔任必不可少的重要角色。
  • 14.

    중국 명문가의 가정교육 -先秦에서 淸末까지

    lee kyung ja | 2012, (35) | pp.303~326 | number of Cited : 2
    Abstract PDF
    本論文考察从先秦到清末在名人家的家教怎麽推进。‘名人家’是指从过去到现在为止保持着名人家的名声, 保留着对子女教育的秘訣的家门, 名声是不久但保着通过特设的子女教育方法有价值的成就或有势力的家族。这家族的家教的内容传到用家训和家书。在家训和家书主要重视的内容是先强调着孝悌教育, 以德为主的品性教育, 立志教育等。还重视着勤俭节约, 勉学等对日常生活中的道理。通过名人家的家教第一, 强调人的道理是什么和禮仪规矩的教育, 第二重视着勉学和启发子女的才能, 第三, 可知名人家的教育热。他们重视著对学问方面的成就但更强调用‘孝悌’, ‘德’, ‘立志’培养为做人品性。他们的教育给我们堪为典范在孩子的价值观念逐渐弱化, 父女之间的对话断绝和互相交流的较小的情况下。
  • 15.

    朴通事新註新譯(三)

    이육화 | 2012, (35) | pp.327~364 | number of Cited : 0
    Abstract PDF
    ≪老乞大≫近二萬字, 分上、 下卷。 此书以高丽商人来中国经商为线索, 用对话的形式, 表现道路见闻、 住宿饮食、 买卖货物等等, 中间插入一些宴饮、 治病的段落。 ≪朴通事≫的字数近三萬字, 约比≪老乞大≫多三分之一, 分成上、 中、 下三卷。 全书用对话或一人叙述的方式, 介绍中国社会生活的各個方面, 涉及宴会、 买卖、 农业、 手工业、 词讼、 宗教、 游艺、 景物等多项内容。 两书的史料價值, 非常之高。 正如著名学者杨联升教授所說: “从史学看, 有许多难得的关於元、 明两代风俗事物的记载。 从语学看, 有很多珍贵的元末明初的口语史料。” 從元代到淸代的≪老乞大≫、 ≪朴通事≫系列, 是硏究元代到淸代漢語變化寶貴資料。 ≪朴通事≫與≪老乞大≫同爲高麗、 朝鮮兩朝人學習漢語的兩部會話敎科書。 关於二书原著者的生平时代, 虽不可详考, 但根據书中文字内容及其他参考资料, 仍可大致认定此二书的最初编著年代爲元代, 最初刊行約在公元1346年間(1998年在韓國發現所謂的舊本≪老乞大≫本子, 韓國學者稱之爲≪原本老乞大≫)。 傳世的≪朴通事≫主要有三種: ≪飜譯朴通事≫(上; 1517年)、 ≪朴通事諺解≫(上、 中、 下; 1677年)和≪朴通事新釋≫(1765年)。 其中≪飜譯朴通事≫爲崔世珍對≪朴通事≫所作的諺解, 這是今天所見最早的≪朴通事≫板本, 可惜已經不全(只存上卷, 缺中、 下卷)。 ≪朴通事諺解≫則是朝鮮顯宗時期邊暹、 朴世華等十二人對≪飜譯朴通事≫所作的修訂。 ≪飜譯朴通事≫、 ≪朴通事諺解≫的漢文部分除少數文字有差異外, 內容基本一致, 由於≪飜譯朴通事≫已經不全, 所以本譯註採用≪朴通事諺解≫本爲藍本。 崔世珍譯註的≪朴通事諺解≫(原書後所附≪老乞大集覽≫和≪單子解≫, ≪朴通事諺解≫有許多雙行小註), 卽所謂的“夾註”)一書, 是一份“解釋詳明, 徵引繁富”的珍貴資料, 對硏究漢語語言、 文化和讀懂原文頗有價値。 並且近來韓國、 中國、 日本等國家的學者, 全面而不同角度對這兩系列書進行硏究, 取得了相當可觀的成績。 因此本譯註以≪朴通事新註新譯≫爲題目, 力求在前人硏究的基礎上, 希望有所彌補與進一步發展, 並給與硏究≪朴通事≫、 ≪老乞大≫一系列硏究者的小小的推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