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Literature 2021 KCI Impact Factor : 0.47
2005년도 시가문학 분야 연구 동향
174 Viewed
11 Downloaded
KCI Citation Counts (0)
[journal] / 2005. / 조선후기 시가와 여성 / 서울: 월인
[journal] / 2005. / 우리 고전 다시 쓰기: 고전시가의 현대적 계승과 변용 / 서울: 삼영사
[journal] / 2005. / 한국시가의 자연관 / 서울: 북스힐
[journal] / 2005. / 別曲類 詩歌의 題名慣習과 空間意識 硏究
[journal] / 2005.9. / 이른바 ‘別曲’이란 명칭에 대한 재론 / 국어국문학회 140
[journal] / 2005.2. / 시가연구 방법론 數題(기조발제) / 韓國詩歌學會 17
[journal] / 2005. / 고전시가 텍스트 이해의 기본 시각 / 반교어문학회 18
[journal] / 2005.6. / 한국 시가 연구와 陶南 / 한국고전문학회 27
[journal] / 2005.2. / 고전시가에서 문자 메시지와 이미지의 상관관계에 대한 일 연구 / 韓國詩歌學會 17
[journal] / 2005.6. / 조선조 시가 문학에 나타난 가족의 일상 / 국문학회 13
[journal] / 2005. / 신라향가연구 / 광주: 조선대학교 출판부
[journal] / 2005. / 향가의 서정성 연구
[journal] / 2005. / 향가교육 내용 연구: 주술성을 중심으로
[journal] / 2005.8. / 되기’의 문학과 생성적 텍스트: <처용가> 읽기를 중심으로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0
[journal] / 2005.8. / 미실과 사다함, <송사다함가>와 <청조가>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0
[journal] / 2005. / 향가의 작가와 향유방식 33
[journal] / 2005.5. / 唐代批評으로 본 ‘其意甚高’와 <찬기파랑가> / 韓國詩歌學會 18
[journal] / 2004. / 황조가(黃鳥歌)>의 새로운 해석: 관련서사의 서술 의도와 관련하여 29
[journal] / 2005.6. / 고대 한일 가요의 전승과 변이에 관한 비교 연구: 풍요와 일본서기의 노동요를 중심으로 / 한국고시가문학회 15
[journal] / 2005.2. / 彗星歌>의 쟁점과 의미 고찰 / 韓國詩歌學會 17
[journal] / 2005. / 고려시대 국어시가의 창작 전승 기반연구 / 부산: 부산대학교 출판부
[journal] / 2005. / 향가 처용가’와 고려가요 ‘처용가’의 전승·변용 과정 연구
[journal] / 2005.11. / 속요와 대중가요의 質朴性과 美的 疏通方式 / 韓國詩歌學會 19
[journal] / 2005.8. / 정읍사의 확산과 지역 축제로의 회귀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0
[journal] / 2005.5. / 서경별곡>의 종합적 고찰 / 국어국문학회 139
[journal] / 2005. / 고려 속악가사의 형성과 재구(2): <五冠山>, <定山>, <伐谷鳥>, <叢石亭>을 중심으로 / 반교어문학회 18
[journal] / 2005.11. / 安軸의 <관동별곡> 창작 시기와 그 배경 / 韓國詩歌學會 19
[journal] / 2005.5. / 청산별곡>의 새로운 이해 모색 / 국어국문학회 139
[journal] / 2005.2. / 한림별곡>과 조선조 경기체가의 향방 / 韓國詩歌學會 17
[journal] / 2005. / 교주)고장시조선주 / 서울: 보고사
[journal] / 2005. / 조선조 시가 한역의 양상과 기법 / 서울: 태학사
[journal] / 2005. / 시조문학 교육론 / 서울: 박이정
[journal] / 2005. / 18세기 경화사족의 시조 창작과 향유 / 서울: 보고사
[journal] / 2005. / 조선후기 시조한역과 시조사 / 서울: 보고사
[journal] / 2005. / 19세기 시조 대중화론 / 서울: 보고사
[journal] / 2005. / 松巖 權好文의 詩歌文學 硏究
[journal] / 2005. / 사설시조의 작가의식 연구
[journal] / 2005. / 朝鮮時代 愛情時調 硏究
[journal] / 2005. / 歌曲源流≫ 硏究
[journal] / 2005. / 사설시조의 통속문학적 성격 연구
[journal] / 2005. / 歌曲의 變奏樣相과 美的 特質에 관한 硏究
[journal] / 2005. / 시조의 형식실험과 현대성의 모색 양상 연구
[journal] / 2005. / 周世鵬의 國文詩歌 硏究
[journal] / 2005. / 辭說時調의 演行에 나타난 遊興문화적 특성
[journal] / 2005. / 申欽의 時調 硏究
[journal] / 2005. / 詠而歸 모티프의 文學的 受容과 時歌史的 展開 樣相
[journal] / 2005.12. /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의 언어적 차이와 시가사적 의의 / 국어국문학회 141
[journal] / 2005.8. / 사설시조의 장형성(長型性)과 이행기 문학적 의의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0
[journal] / 2005.6. /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의 창작 시기와 세계상 / 한국고시가문학회 15
[journal] / 2005. / 허균과 매창의 시조 / 한국시조학회 22
[journal] / 2005.11. / 松巖 權好文 시가의 미적 특질 / 韓國詩歌學會 19
[journal] / 2005. / 연시조 성격의 대비적 고찰: 16세기 작품을 대상으로 / 한국시조학회 22
[journal] / 2005. / 고정옥의 ‘장시조론’과 작품 해석의 한 방향: <고장시조선주>를 중심으로 / 한국시조학회 22
[journal] / 2005.6. / 고정옥의 시조관과 <고장시조선주> / 한국고전문학회 27
[journal] / 2005.12. / 사설시조 속의 가족과 그 주변인들: 고부(姑婦),처첩(妻妾)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1
[journal] / 2005.11. / 慢大葉>을 통해 본 시조의 형식적 기원 / 韓國詩歌學會 19
[journal] / 2005. / 陶山十二曲>의 형상 세계와 佛敎 / 우리어문학회 25
[journal] / 2005.11. / 시조의 양식적 독자성과 현재적 가능성 / 韓國詩歌學會 19
[journal] / 2005.2. / 이별 시조의 배경 중화 현상에 대한 고찰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9
[journal] / 2005. / 韓國時調大事典≫ 補遺 (6) / 한국시조학회 22
[journal] / 2005.2. / 石門亭詩歌壇의 성립과 그 의미 / 韓國詩歌學會 17
[journal] / 2005.5. / 普及用 歌集 ≪남훈태평가≫의 印刊과 시조 향유에의 影響(1) / 韓國詩歌學會 18
[journal] / 2005.11. / 주제별 분류 가곡 가집, ≪古今歌曲≫의 문화도상 탐색 / 韓國詩歌學會 19
[journal] / 2005.8. / 시조의 관습성과 탈관습성을 통한 고전문학교육의 구상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0
[journal] / 2005.12. / 夜宴의 ‘樂歌三章’ 연구 / 한국고시가문학회 16
[journal] / 2005.12. / 時調와 서울 굿 노랫가락의 관계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32
[journal] / 2005. / 가곡의 시조시 주제 연구 / 한국시조학회 22
[journal] / 2005.2. / 시조에 나타난 자연과 생명 / 韓國詩歌學會 17
[journal] / 2005.12. / 古今歌曲≫의 장가 체계 / 한국고전문학회 28
[journal] / 2005.5. / 조선후기 예인론: 악사 김성기 / 韓國詩歌學會 18
[journal] / 2005. / 각씨[네]~’ 시조의 검토와 <각시 내 妾이 되나>의 해석 / 한국시조학회 22
[journal] / 2005.6. / 사설시조의 가창공간과 가창 참석자들의 심리: 프로이트의 농담이론을 통하여 / 한국고전문학회 27
[journal] / 2005. / 時調와 別曲의 장르적 特性 / 한국시조학회 22
[journal] / 2005. / 새로운 매체문화시대의 글쓰기와 시조 / 한국시조학회 22
[journal] / 2005.6. / 기생 잔치의 노래; <艶謠> / 국문학회 13
[journal] / 2005.12. / 象村 申欽의 절구와 시조 구조 비교 / 한국고전문학회 28
[journal] / 2005.2. / 申欽 시조의 連作性 考究 / 韓國詩歌學會 17
[journal] / 2004. / 절구의 시학과 시조의 시학: 象村 申欽의 방축 및 유배기 작품을 중심으로 29
[journal] / 2005.12. / 표제의식의 측면에서 본 권섭 연시조의 특징적 양상과 18세기적 의미 / 한국고전문학회 28
[journal] / 2005. / 16세기 在地士林 江湖時調의 양상과 전개 / 한국시조학회 22
[journal] / 2005. / 조선후기 가창문학의 존재양상 / 서울: 보고사
[journal] / 2005. / 신문학기 가사문학의 연구 / 파주: 한국학술정보
[journal] / 2005. / 한국가사문학원전연구 / 서울: 아세아문화사
[journal] / 2005. / 옛 노래, 옛 사람들의 내면풍경: 신발굴 가사자료집 / 서울: 소명출판사
[journal] / 2005. / 규방가사의 사적 전개와 여성의식의 변모 / 파주: 한국학술정보
[journal] / 2005. / 風水歌辭 原典硏究
[journal] / 2005. / 對話體 歌辭 硏究
[journal] / 2005. / 18세기 향촌사족 가사 연구
[journal] / 2005. / 유배가사 연구
[journal] / 2005. / 애경당 남극엽의 시가 연구
[journal] / 2005. / 19세기 가사의 향유 관습과 이본 생성: <노처녀가(2)>와 그 관련 작품을 통해 본 가사 향유의 한 양상 / 반교어문학회 18
[journal] / 2005.6. / 개화기 가사를 통해 본 여성담론의 전개양상과 특성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0
[journal] / 2005.5. / 새로 발굴한 신승구(申升求)의 <관동별곡번사(關東別曲飜辭)>에 대하여 / 국어국문학회 139
[journal] / 2005. / 규방가사 <붕우이별가라>로 본 각편 읽기 방법론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 25~
[journal] / 2005.6. / 금강산 기행가사의 언어미 / 한국고시가문학회 15
[journal] / 2005.5. / 일민가(逸民歌)>의 의식지향과 시가사적 의미 / 韓國詩歌學會 18
[journal] / 2005.2. / 문학사의 맥락에서 본 복선화음류 가사의 인물형상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9
[journal] / 2005.5. / 복선화음가 이본의 계열상과 그 여성사적 의미 / 韓國詩歌學會 18
[journal] / 2005.8. / 우산본 복선화음가의 가문서사 양상과 그 여성사적 함의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0
[journal] / 2005.5. / 서왕가> 전승의 계보학과 구술성의 층위 / 韓國詩歌學會 18
[journal] / 2005. / 토굴가> 전승의 경로와 문학사적 의의 / 우리어문학회 25
[journal] / 2005.11. / 枕肱의 <太平曲>에 대한 현실주의적 독법 / 韓國詩歌學會 19
[journal] / 2005.6. / 연정가사의 형성 배경에 대하여 / 한국고시가문학회 15
[journal] / 2005.12. / 續思美人曲>의 紀行文學性 考察 / 한국고시가문학회 16
[journal] / 2005.6. / 金炳淵 詩集 飜譯 檢討 / 한국고시가문학회 15
[journal] / 2005.2. / 변형계녀가의 장르적 특성과 담화 양상 고찰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9
[journal] / 2005.8. / 화전가의 의사소통 방식에 나타난 문학치료적 의미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0
[journal] / 2005.2. / 원림문학의 공간의 위상과 문화 교육적 의미 / 韓國詩歌學會 17
[journal] / 2005.5. / 기행가사의 진술방식과 문학적 형상화 양상 / 韓國詩歌學會 18
[journal] / 2005.6. / 崔松雪堂 歌辭의 문체와 현실인식 / 한국고시가문학회 15
[journal] / 2005.5. / 규방가사에 나타난 ‘한탄’의 양상 / 韓國詩歌學會 18
[journal] / 2005.6. / 조선후기 가창가사에 보이는 잡가적 경향의 연원 / 국문학회 13
[journal] / 2005.6. / 金剛遊覽歌의 美的 世界 / 한국고시가문학회 15
[journal] / 2005. / 시집살이 노래의 서술구조의 양상과 그 의미: <가출형 며느리노래>를 중심으로 / 반교어문학회 18
[journal] / 2005.6. / 「가족의 변경에 서서 부르는 노래: <시집살이노래>에 나타난 여성과 가족(기획특집: 고전문학 속의 가족과 여성)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0
[journal] / 2005.11. / 선소리 산타령을 통해 본 잡가의 당대적 언어미학 / 韓國詩歌學會 19
[journal] / 2005.5. / 문틀의 존재양상과 의미 / 韓國詩歌學會 18
[journal] / 2005. / 金剛山 紀行歌辭 硏究
[journal] / 2005. / 최근작 내방가사의 창작의식 변화 양상
[journal] / 2005. / 萬憤歌> 硏究
[journal] / 2005. / 草堂問答歌≫ 연구
[journal] / 2005. / 訓民時調 硏究
[journal] / 2005. / 조선후기 평민가사의 성격 연구
[journal] / 2005. / 최송설당 가사 연구
[journal] / 2005. / 象村 時調의 表現 樣式 硏究
[journal] / 2005. / 무이도가의 변형과 수용에 대한 일고찰
[journal] / 2005. / 화답형 규방가사 연구
[journal] / 2005 / 朝鮮後期 身邊歎息類 內房歌辭 硏究 (15)
[journal] / 제주도 신화에 나타난 ‘신화적 일상’의 특성과 경험의 신화화(神話化) 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