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김기동
/ 1980
/ 필사본고전소설전집 6
/ 아세아문화사
[journal]
/ 1991
/ 반필석전
/ 숭실어문
/ 숭실어문학회
8
[other]
/ 1989
/ 한국구비문학대계 별책부록 Ⅰ한국설화유형분류집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report]
/ 1971
/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전라북도편
/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journal]
강진옥
/ 1993
/ 마고할미에 나타난 여성 신 관념
/ 한국민속학
/ 한국민속학회
25
: 3~47
[journal]
김승호
/ 1986
/ 《장인걸전》고
/ 동악어문논집
/ 동악어문학회
21
: 335~364
[journal]
김지선
/ 2001
/
A study on the narrative of sexual desire
/ 중국어문학지
/ 중국어문학회
(9)
: 435~471
[journal]
김지선
/ 2005
/ 동아시아 여우 설화를 통해 본 신의의 문제 : ‘보은담’을 중심으로
/ 신뢰연구
/ 한림과학원
16(2)
: 117~143
[journal]
김재경
/ 1978
/ 신라의 밀교 수용과 그 성격
/ 대구사학
/ 대구사학회
14
: 1~28
[journal]
김홍겸
/ 2007
/
A study of Fox Images in 《Liao-Zhai-Zhi-Yi聊齋志異》 and 《Yue-wei-cao-tang-bi-ji閱微草堂筆記》
/ 중국어문논역총간
/ 중국어문논역학회
(19)
: 205~225
[journal]
박대복
/ 2009
/
The aspects of goblin's character and elimination shown in YeouNui
/ 어문학
/ 한국어문학회
(106)
: 149~177
[thesis]
박주현
/ 2009
/ <장인걸전>의 서사구성과 인물형상
/ 석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journal]
이민숙
/ 2001
/ 《열미초당필기》 속에 보이는 여우 형상
/ 중국연구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8
: 147~165
[journal]
이주영
/ 2004
/ <이화전> 연구
/ 과학과문화
/ 서원대학교 미래창조연구소
1(1)
: 155~162
[journal]
배병균
/ 2003
/ 중국문화 속의 여우 형상
/ 인문학지
/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7
: 75~99
[journal]
전성운
/ 1997
/ <장인걸전>에 나타난 설화수용 양상과 의미
/ 어문논집
/ 안암어문학회
36
: 127~146
[journal]
최귀묵
/ 2000
/ <장인걸전> 연구-민담, <이화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고전문학과교육
/ 청관고전문학회
2
: 229~251
[thesis]
崔德源
/ 1983
/ 新安地域의 堂祭 硏究
/ 박사
/ 조선대학교 대학원
[journal]
최원오
/ 2009
/ 동아시아 이야기문학의 글로벌 스토리텔링 가능성
/ 세계화와 아시아
/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39~55
[journal]
최원오
/ 2010
/
Modern Interest in the Written Transmission of Stories and the Spirit of Recording
/ 동아시아고대학
/ 동아시아고대학회
(21)
: 69~93
[book]
최운식
/ 1999
/ 한국의 민담 1
/ 시인사
: 1~452
[book]
조희웅
/ 1999
/ 고소설이본목록
/ 집문당
: 1~907
[book]
이지영
/ 2004
/ 이방인, 신, 괴물
/ 개마고원
: 1~515
[book]
李劍國
/ 2002
/ 中國狐文化
/ 人民大學出版社
: 1~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