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Literature 2021 KCI Impact Factor : 0.47
The Place Identity of the Royal Palace Changgyeonggung(昌慶宮) and the Possibility to Use Cultural Contents
ABSTRACT
열림/닫힘 버튼KEYWORDS
열림/닫힘 버튼344 Viewed
93 Downloaded
KCI Citation Counts (2)
열림/닫힘 버튼[other] / 1996 / 궁궐지 2 /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other] / 日閑齋所在冊置簿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청구기호 : K2-4917, DB
[other] / 慈慶殿進爵整禮儀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소장, 청구기호 : 奎14535-v.1-2, DB
[other] / [孝章世子]喪變時謄錄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청구기호 : 奎 13009, DB
[other] / 孝章世子年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청구기호 : 奎7123, DB
[web] / 문화재청 / http://www.cha.or.kr
[other] / 한국고전번역원 DB
[other] / 승정원일기 DB
[other] / 조선왕조실록 DB
[web] / 한국문화재단 / https://www.chf.or.kr
[book] 류지석 / 2013 / 공간의 사유와 공간이론의 사회적 전유 / 소명출판
[report] 문화재관리국 / 1985 / 昌慶宮-發掘調査報告書
[other] 문화재관리국 / 1991 / 上樑文集
[report] 문화재청 / 2009 / 2010년 문화재청 주요 업무계획
[report] 문화재청 / 2010 / 창경궁 복원정비 기본계획 2010
[other] 문화재청 / 2001 / 창경궁 : 고궁청소년문화학교교재
[report] 문화재청 / 2011 / 살아 숨쉬는 4대궁 및 종묘 컨설팅 보고서 - 4대궁 중장기 홍보 마스터플랜 / 인포마스터
[report] 문화재청 / 2011 / 2011년 살아 숨쉬는 4대궁․종묘 만들기 사업 모니터링 용역 결과보고서 / 서울문화유산연구원
[report] 문화재청 / 2016 / 통계로 보는 문화유산 2016
[report] 문화재청 / 2017 / 통계로 보는 문화유산 2017
[report] 문화재청 / 2018 / 2017년 자체평가 결과보고서(주요정책부문)
[report] 문화재청 / 2018 / 2018년도 주요업무계획
[book] 문화재청 창경궁관리소 / 2008 / 도심속의 자연 그리고 창경궁 / 문화재청
[book] 문화재청 창경궁관리소 / 2008 / 昌慶宮의 建築과 人物 / 문화재청
[book] 문화재청 창경궁관리소 / 2008 / 효의 궁궐 창경궁 / 국제문화사
[book] 앙리 르페브르 / 2011 / 공간의 생산 / 에코리브르
[book] 에드워드 렐프 / 2008 / 장소와 장소상실 / 논형
[book] 이광호 / 2007 / 궁궐의 현판과 주련 2 창덕궁․창경궁(2006년 문화재청의 학술 조사 연구 용역) / 수류산방
[book] 이-푸 투안 / 2011 / 공간과 장소 / 대윤
[book] 전종한 / 2017 / 인문지리학의 시선 / 사회평론
[book] 한영우 / 2003 / 昌德宮과 昌慶宮 / 열화당․효형출판
[thesis] 구슬아 / 2017 / 金宗直 산문 연구 : 주제의식을 중심으로 / 박사 / 서울대학교
[thesis] 박재희 / 2017 / 서울 궁궐의 풍수지리 분석과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박사 / 건국대학교
[thesis] 송희은 / 2007 / 창경궁의 장소성과 상징성의 사회적 재구성 / 석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journal]
신동흔
/ 2006
/
Folklore, the Essence of Culture, and Cultural ContentThe Age of Cultural Industry, the Place of the Folklorist
/ 한국민속학
/ 한국민속학회
43
: 255~283
[journal]
심경호
/ 2009
/
An Essay on Artistry of Sangryangmun(上樑文)
/ 漢文學報
/ 우리한문학회
20
: 319~353
[journal]
안장리
/ 2006
/
King Youngjo's perception of the Palace
/ 한국학
/ 한국학중앙연구원
29(3)
: 33~68
[journal]
오성환
/ 2013
/
Study on Establishment of Deoksugung Palace, Tourist Information Services using Augmented Reality(AR) Technology
/ 문화재
/ 국립문화재연구소
46(2)
: 26~45
[thesis] 이창근 / 2013 / 궁궐·종묘 문화유산의 관광자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석사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confproc] 전명숙 / 2007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관광콘텐츠 사례연구 / 한국콘텐츠학회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한국콘텐츠학회 5(2) : 777~780
[book] 황정연 / 2005 /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 대원사 : 55~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