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Literature 2021 KCI Impact Factor : 0.47
On the current significance of Mighty Baby seen through the movie The Witch
ABSTRACT
열림/닫힘 버튼KEYWORDS
열림/닫힘 버튼403 Viewed
69 Downloaded
KCI Citation Counts (2)
열림/닫힘 버튼[book] 현용준 / 1996 / 제주도전설 / 서문당 : 94~
[other] / 반쪼가리 애기장수, 한국구비문학대계 8-14 : 216~
[book] 현용준 / 1996 / 제주도전설 / 서문당 : 72~
[other] / 장수바위, 한국구비문학대계 8-1 : 204~
[other] / 효심으로 날개를 떼어 버린 장수, 한국구비문학대계 3-3 : 43~
[other] 박훈정 / 2018 / 영화 <마녀>
[book] 국립민속박물관 / 2012 / 한국민속문학사전-설화2 / 국립민속박물관
[book] 김환석 / 2017 / 포스트휴머니즘과 문명의 전환 / GIST PRESS
[book] 조동일 / 1981 / 동학성립과 이야기 / 홍성사
[book] 조동일 / 1992 / 민중영웅이야기 / 문예출판사
[book] 주경철 / 2016 / 마녀-서구 문명은 왜 마녀를 필요로 했는가 / 생각의힘
[book] 홍성욱 / 2019 / 포스트휴먼 오디세이 / 휴머니스트
[book] 월터 J. 옹 / 1995 /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 문예출판사
[book] Singer, Murray / 1994 / 언어심리학 / 한국문화사
[journal]
강미정
/ 2011
/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descriptive character of <Baby Hero> and the movie <Highlander>
/ 韓國古典硏究
/ 한국고전연구학회
(24)
: 423~454
[journal]
권도경
/ 2013
/
Rewriting of Baby-General Legend in <Gaksital>:Narrative Tree of Baby-General Legend and Choice for Overcome of Historical Trauma
/ 국어국문학
/ 국어국문학회
(163)
: 279~313
/ 10.17291/kolali.2013..163.010
[journal] 권태효 / 1999 / 제주도 김통정이야기의 당신화 및 전설로의 변용양상 / 구비문학연구 / 한국구비문학회 8 : 151~191
[thesis] 김규래 / 2014 / 아기장수형 부대각 설화 연구 /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thesis] 김영희 / 1999 / 아기장수이야기의 전승력 연구 : 서사적 특성과 전승의미를 중심으로 / 석사 / 延世大學校 大學院
[book] 신동흔 / 2009 / 서사문학과 현실 그리고 꿈 / 소명출판 : 227~226
[journal]
심우장
/ 2014
/
Traditional Narratives of Infanticide and A Tale of Two Sisters(Janghwa and Hongryeon)
/ 문학치료연구
/ 한국문학치료학회
31
: 69~100
[thesis] 이화영 / 2010 / 이성계설화의 전승과 의미 연구 / 석사 / 전주대학교 대학원
[journal] 임철호 / 1996 / 아기장수설화의 전승과 변이 / 구비문학연구 / 한국구비문학회 3 : 203~236
[journal] 조동일 / 1981 / 영웅이야기의 유형 / 구비문학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어문학연구실 5 : 1~24
[journal] 천혜숙 / 1986 / 아기장수전설의 형성과 의미 / 한국학논집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3 : 133~151
[journal] 최래옥 / 1979 / 아기장사 전설의 연구 / 한국민속학 / 한국민속학회 11 : 117~161
[thesis] 황승업 / 2014 / <아기장수> 설화에 나타난 공포와 그 현대적 지속에 대한 연구 / 석사 / 건국대학교
[journal] Rand, Muriel K. / 1984 / Story Schema: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 The Reading Teacher 37(4) : 377~382
[web] 박욱주 / 2018 / 영화 속 포스트휴먼의 욕망: <프랑켄슈타인>부터 <마녀>까지 / 크리스천투데이 / 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314085
[web] 장영엽 / 2018 / <마녀> 박훈정 감독, “관객이 즐길 수 있는 영화를 만들겠다는 마음이었다” / 씨네21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0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