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 2002
/ 은유와 광고
44(2)
: 229~246
[journal]
/ 2003
/ 한국어에서 성욕의 은유적 개념화
10(1)
: 79~104
[journal]
/ 2006
/ ‘정’과 ‘한(恨)’의 은유적 개념화
20
: 91~120
[journal]
/ 2000
/ 한국어 은유 연구
[journal]
/ 1997
/ 恨: 한국인의 負的 感情
6(2)
: 61~74
[journal]
/ 1997
/ 관용어, 은유 그리고 환유1
4
: 61~87
[journal]
/ 2001
/ 환유와 은유의 인지적 상관성에 관한 연구
19
: 169~190
[journal]
/ 1995
/ 환유의 인지적 의미특성
27
: 223~254
[journal]
/ 1996
/ 은유의 인지언어학적 의미 분석
28
: 117~150
[journal]
/ 2001ㄱ
/ “‘미움’의 개념화 양상
(72)
: 173~201
[journal]
/ 2001ㄴ
/ ‘두려움’의 개념화 양상
(252)
: 103~143
[journal]
/ 2001ㄷ
/ ‘긴장’의 개념화 양상
8(2)
: 205~227
[journal]
/ 2001ㄹ
/ ‘기쁨’과 ‘슬픔’의 개념화 양상
37
: 219~249
[journal]
/ 2001ㅁ
/ ‘화(火)’의 개념화 양상
4
: 693~721
[journal]
/ 2005
/ ‘부끄러움’의 개념화 양상
89
: 27~56
[journal]
/ 1998
/ 인지언어학개론
/ 서울: 태학사
[journal]
/ 1998
/ 은유와 환유의 상호작용
18
: 275~299
[journal]
/ 2004
/ 담화와 비유어
/ 서울: 한국문화사
[journal]
/ 1993
/ 의 구조 연구 문학과 지성사
[journal]
/ 1991
/ ’의 사회심리학적 개념화 시도
[journal]
/ 2003
/ 은유: 실용 입문서
/ 한국문화사
[journal]
/ 2003
/ 문화적 개념의 인지 표상과 활성화 과정: ‘한(恨)’의 담화분석과 온라인 점화효과
/ 한국심리학회
17
: 1~16
[journal]
/ 1980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journal]
/ 1987
/ What Categories Reveal about the Mind University of Chicago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