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김흥수
/ 1989
/ “국어 시상과 양태의 담화 기능”, ?이정 정연찬선생 화갑기념논총?
/ 탑출판사
: 315~334
[journal]
남기심
/ 1978
/ ‘-었었-’의 쓰임에 대하여
/ 한글
/ 한글학회
162
[book]
남기심
/ 1995
/ 국어 문법의 시제 문제에 관한 연구
/ 탑출판사
[journal]
文璹永
/ 2003
/
The Pluperfect and Korean Morpheme ‘-eoteot-'
/ 어문연구(語文硏究)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1(4)
: 59~184
[thesis]
문숙영
/ 2005
/ 한국어 시제 범주 연구
/ 박사
/ 서울대학교
[journal]
성기철
/ 1974
/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 문법연구
/ 문법연구회
1
: 237~270
[journal]
이남순
/ 1994
/ 었었攷
/ 진단학보
/ 진단학회
78
: 377~393
[journal]
이익섭
/ 1978
/ 상대 시제에 대하여
/ 관악어문연구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과
3
: 367~376
[book]
이익섭
/ 1983
/ 국어문법론
/ 학연사
[thesis]
임칠성
/ 1991
/ 현대국어의 시제 어미 연구
/ 박사
/ 전남대
[thesis]
장경현
/ 2006
/ 국어 문장 종결부의 문체 특성 연구
/ 박사
/ 서울대
[journal]
최영석
/ 2002
/
O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Historical Present Tense
/ 현대문법연구
/ 현대문법학회
27
: 147~160
[other]
한동완
/ 1996
/ 국어의 시제 연구
/ 국어학회
[journal]
Bybee, J.
/ 1989
/ The creation of tense and aspect systems in the language of the world
/ Studies in Language
13(1)
: 51~103
[other]
Comrie,B
/ 1985
/ Tense
/ Cambridge
[journal]
Dowty, D.
/ 1986
/ The Effect of aspectual class on the temporal structure of discourse: Semantic or Pragmatics?
/ Linguistics and Philosophy
9
: 37~62
[book]
Jesperson,O
/ 1929
/ A Modern English Grammar on Historical Principles,Part 3
/ Heidelberg: Winter
[book]
Joos,M
/ 1964
/ The English Verb
/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journal]
Kiparsky,P
/ 1968
/ Tense and Mood in Indo-European Syntax
/ Foundation of Language
4
: 30~57
[other]
Klein,W
/ 1994
/ Time in Language, London and New York
[book]
Mimo Caenepeel
/ 1994
/ Temporal structure and discourse structure,Tense and Aspect in Discourse
/ Mouton de Gruyter
: 5~20
[journal]
Nessa Wolfson
/ 1979
/ The Conversational Historical Present Alternation
/ Language
55
: 168~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