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국립국어연구원
/ 2000
/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지침 I
/ 국립국어연구원
[book]
국립국어원
/ 2005
/ 2005년 신어
/ 국립국어원
[book]
김광해
/ 1993
/ 국어어휘론개
/ 집문당
[journal]
김윤희
/ 2010
/
Research of modern neologism in Korea(1920~1936) - Centered on daily life & cultural context -
/ 국어사연구(학회지 명칭 변경)
/ 국어사학회
11(11)
: 37~67
[journal]
김태훈
/ 2010
/
An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Between Archaic Korean and Present-day Korean.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49
: 149~179
[confproc]
김태훈
/ 2011
/ 현대 국어 쇠퇴어 설정 연구
/ 제28차 한국어 의미학회 전국학술대회 발표 요지집
[journal]
도원영
/ 2007
/
Neologism in Korean Dictionaries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34
: 21~45
[book]
박영섭
/ 1992
/ 개화기 국어 어휘 자료집(1)~(5)
/ 박이정
[journal]
박형익
/ 2004
/
1910년대 출간된 신어 자료집의 분석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15(22)
: 153~184
[book]
박형익
/ 2005
/ 『신어사전』의 분석
/ 한국문화사
[journal]
방영심
/ 2008
/ 『대한민보』의 언어관련 기사에 관한 연구
/ 국어사연구
/ 국어사학회
8
: 107~138
[thesis]
백영석
/ 2001
/ 신조어 조어법 연구-명사를 중심으로
/ 석사
/ 단국대학교
[thesis]
서려
/ 2009
/ 개화기 신어의 기원과 특징
/ 석사
/ 인하대학교
[journal]
서정수
/ 2005
/ 일본을 거쳐서 들어온 외래 어휘
/ 새국어생활
/ 국립국어연구원
5(2)
[journal]
송길룡
/ 2003
/ 『표준국어대사전』의 표제어 구성
/ 한국사전학
/ 한국사전학회
2
: 9~43
[journal]
송민
/ 1988
/ 국어에 대한 일본어의 간섭
/ 국어생활
/ 국어연구소
14
[journal]
송민
/ 1994
/ 갑오경장기의 어휘
/ 새국어생활
/ 국립국어연구원
4(4)
[journal]
송민
/ 1999
/ 신생한자어의 성립배경
/ 새국어생활
/ 국립국어연구원
9(2)
[book]
송철의
/ 2007
/ 일제 식민지 시기의 어휘: 어휘를 통해 본 문물의 수용 양상
/ 서울대학교출판부
[book]
신중진
/ 2007
/ 개화기 국어의 명사 어휘 연구
/ 태학사
[journal]
심지연
/ 2006
/
국어 순화어의 생성과 정착에 대하여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30
: 159~180
[journal]
이기황
/ 2006
/ 신어의 정착과 낱말 용법의 변화
/ 새국어생활
/ 국립국어연구원
16(4)
[journal]
이병근
/ 1988
/ 개화기의 어휘정리와 사전편찬: 『대한민보』의 경우
/ 주시경학보
1
: 69~87
[book]
이병근
/ 2000
/ 한국어사전의 역사와 방향
/ 태학사
[journal]
이선영
/ 2007
/
A study on Stabilization of New Words in Korean
/ 한국어 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24
: 179~199
[book]
이희승
/ 1994
/ 고친판 한글 맞춤법 강의
/ 신구문화사
: 164~166
[journal]
趙南浩
/ 2003
/
A Study on Hyeondae Sineo Seogui
/ 어문연구(語文硏究)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1(2)
: 51~72
[book]
최경봉
/ 2005
/ 우리말의 탄생
/ 도서출판 책과함께
[book]
한림과학원
/ 2010
/ 한국근대신어사전-현대신어석의․신어사전
/ 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