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emantics 2021 KCI Impact Factor : 0.92
Study for Teaching Method of particle {eun/nun} or {i/ka} in Korean Language
ABSTRACT
열림/닫힘 버튼KEYWORDS
열림/닫힘 버튼739 Viewed
1 Downloaded
KCI Citation Counts (13)
열림/닫힘 버튼[journal]
고석주
/ 2002
/
On the meaning of ‘ka’
/ 國語學
/ 국어학회
40
: 221~246
[book] 국립국어원 / 2005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2 / 커뮤니케이션북스
[journal] 김선희 / 1983 / 조사 ‘-가’의 의미와 ‘주제’ / 연세어문학 16 : 28~41
[journal]
김정숙
/ 2002
/
An analysis of Error in Using Korean Particles by Native Speakers of English
/ 한국어교육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1)
: 2~46
[journal] 목정수 / 1988 / 한국어 조사 {가},{를},{도},{는}의 의미체계-불어 관사와의 대응성과 관련하여 / 언어연구 / 서울대학교 18 : 1~49
[journal] 백봉자 / 2001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문법-피동/사동을 중심으로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 : 415~445
[journal]
박동호
/ 2007
/
How to analyse and teach Korean specific particles ‘i/ka’ and ‘eul/leul’.
/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4(2)
: 381~402
[journal]
박호관
/ 2007
/
Basic Meaning Function of the Postpositional Word ‘-neun(는)’ viewed in Dual Structure of Sentence Formation
/ 우리말글
/ 우리말글학회
39
: 91~116
[journal]
박호관
/ 2007
/
The Types and Contextual Semantic Function of ‘-eun/neun’ as the marker of ‘deulchum’
/ 어문학
/ 한국어문학회
(96)
: 87~109
[book] 백봉자 / 1999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사전 / 연세대학교 출판부
[book] 백봉자 / 2009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사전 / 하우
[journal] 성기철 / 1994 / 주격조사 ‘-가’의 의미 / 선청어문 22 : 277~302
[journal]
유현경
/ 2007
/
The Study for Pedagogical Method of the Particle ‘ka’ and ‘nun’ are for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of English Speakers
/ 이중언어학
/ 이중언어학회
(34)
: 271~298
[journal]
유현경
/ 2007
/
The Study on the Principles of Selecting Korean Particle 'Ka' and 'Nun' Using Korean-English Parallel Corpus
/ 언어와 정보
/ 한국언어정보학회
11(1)
: 1~23
[journal] 이석규 / 1987 / 은/는의 의미 연구-주어 뒤에 쓰인 경우를 중심으로 / 건국대국어국문학연구회 11 : 323~342
[thesis] 이은경 / 1999 /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에 나타난 오류 분석-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중심으로 / 연세대학교 대학원
[journal] 이지영 / 1998 / 한국어 연결 어미의 교수 모형:{-는데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9 : 161~177
[journal] 이춘숙 / 1999 / 토시 {가}와 {는}의 의미 기능-자리 개념과 영역 개념에서 본 / 한글 (243) : 177~209
[journal] 이해영 / 2004 / 한국어 교재의 문법 영역 분석-‘이/가’와 ‘은/는’을 대상으로 / 문법교육 / 한국문법교육학회 : 231~256
[journal] 이훈 / 2006 / ‘은/는’의 순차적 교수에 대하여-중국어권 학습자들의 오류 통계 해석과 문법지식 활용을 중심으로 / 어문논집 / 중앙어문학회 35 : 47~68
[book] 이희자 / 2008 / 한국어 학습 초급용 / 한국문화사
[journal] 이필영 / 1982 / 조사 ‘가/이’의 의미 분석 / 관악어문연구 7 : 417~431
[journal]
정병철
/ 2010
/
주의 이론에 기초한 한국어의 주어 연구
/ 담화와 인지
/ 담화·인지언어학회
17(2)
: 119~146
[journal]
전영철
/ 2006
/
Korean Marker ‘NUN’ for Contrastive Topic and Contrastive Focus
/ 한글
/ 한글학회
17(274)
: 171~200
[journal] 증천부 / 2001 / 교수와 학습상에서 제기되는 한국어 특수조사의 몇 가지 문제 / 국어교과교육학회 12 : 155~172
[journal] 채완 / 1976 / 조사 ‘는’의 의미 / 국어학 / 국어학회 4 : 93~113
[journal]
최규수
/ 2004
/
-Nun' of Topic and Contrast - On the Point of Word Order and Stress -
/ 우리말연구
/ 우리말학회
14(15)
: 149~172
[book] 최현배 / 1946 / 우리말본 / 정음사 재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