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emantics 2021 KCI Impact Factor : 0.92
A Study on the Modal Expression on the Diary Text of 1st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BSTRACT
열림/닫힘 버튼KEYWORDS
열림/닫힘 버튼193 Viewed
33 Downloaded
KCI Citation Counts (7)
열림/닫힘 버튼[journal]
강현주
/ 2010
/
추측과 의지의 양태 표현 '-겠'과 '-(으)ㄹ 것이다'의 교육 방안 연구
/ 이중언어학
/ 이중언어학회
(43)
: 29~53
[book] 고영근 / 1986 / 서법과 양태의 상관관계, In 국어학신연구 / 탑출판사
[book] 김지은 / 1998 / 우리말 양태 용언 구문 연구 / 한국문화사
[journal]
박재연
/ 2003
/
Speaker or hearer-oriented modality and subject-oriented modality in Korean
/ 國語學
/ 국어학회
41
: 249~275
[thesis] 박재연 / 2004 /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journal]
박재연
/ 2009
/
Some Problems on ‘Subject-oriented Modality’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44
: 1~25
[journal] 서혁 / 1998 / 초등학생의 텍스트성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일기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연구 8 : 315~349
[journal]
송재목
/ 2009
/
Epistemic Modality and Evidentiality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44
: 27~53
[journal]
시정곤
/ 2009
/
The syntax and semantics of ‘-l su {issta/epsta}’(-을 수 {있다/없다})
/ 國語學
/ 국어학회
(56)
: 131~160
[journal]
시정곤
/ 2009
/
The Modal Inquiry into the Construction of Bound Noun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44
: 177~212
[journal]
안정아
/ 2011
/
A Study on the Conjunctive Adverbs on the Diary Text of 1st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 우리어문연구
/ 우리어문학회
(41)
: 197~223
[journal]
안주호
/ 2004
/
Syntactic & Semantic Investigations into Speculative Expressions of Korean
/ 새국어교육
/ 한국국어교육학회
(68)
: 97~121
[journal]
안주호
/ 2005
/
Grammatic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eya ha-’ Construction
/ 국어교육
/ 한국어교육학회
(118)
: 363~394
[journal] 이선웅 / 2001 / 국어의 양태 체계 확립을 위한 시론 / 관악어문연구 26 : 317~339
[journal] 이성영 / 2000 / 글쓰기 능력 발달 단계 연구-초등학생의 텍스트 구성 능력을 중심으로 / 국어국문학 126 : 27~50
[journal]
이재승
/ 2003
/
The meanings and instruction of cohesion in reading and writing behaviors.
/ 국어교육
/ 한국어교육학회
110(110)
: 5~112
[journal] 이정숙 / 2002 / 쓰기 텍스트구조 분석 양상 고찰-초등학생 글을 중심으로 / 청람어문교육 25 : 79~104
[journal]
이필영
/ 2008
/
A Study on the Vocabulary Frequency and Distribution in Spoken Langua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국어교육학연구
/ 국어교육학회
(33)
: 557~595
[journal]
이필영
/ 2004
/
서술부 양태 표현들의 범주화와 결합양상
/ 담화와 인지
/ 담화·인지언어학회
11(3)
: 131~152
[journal]
이필영
/ 2006
/
Aspects of the Negation of the Modal Expression in the Predication - focused on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
/ 國語學
/ 국어학회
(48)
: 175~201
[journal]
임동훈
/ 2003
/
On the Modal System in Modern Korean
/ 한국어 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12
: 127~154
[journal]
임동훈
/ 2008
/
The Mood and Modal systems in Korean
/ 한국어 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26
: 211~248
[book] 장경희 / 1985 / 현대국어의 양태범주 연구 / 탑출판사
[book]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2004 /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 도서출판 박이정
[journal] 한송화 / 2000 / 한국어 보조용언의 상적 기능과 양태기능, 화행적 기능에 대한 연구-‘하다’를 중심으로 / 한국어 교육 11(2) : 189~209
[book] Beaugrande, R / 1995 / 텍스트 언어학 입문 / 한신문화사
[book] M. A. K. Halliday / 2004 /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Third Edition) / Oxford Univ. Press
[book] Sperber, D / 1986 / Relevance / Blackwell
[book] van Dijk, T. A. / 1995 / 텍스트학 / 민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