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emantics 2021 KCI Impact Factor : 0.92
The Semantic Function of a Past Imperfective Aspect Marker '-deo-'
ABSTRACT
열림/닫힘 버튼KEYWORDS
열림/닫힘 버튼218 Viewed
2 Downloaded
KCI Citation Counts (2)
열림/닫힘 버튼[journal] 김영희 / 1981 / 회상문의 인칭제약과 책임성 / 국어학 / 국어학회 10 : 37~80
[journal] 김차균 / 1980 / 국어 시제 형태소의 의미-회상 형태소 ‘더’를 중심으로- / 한글 / 한글학회 169 : 263~334
[journal] 김창섭 / 1987 / 국어 관형사절의 과거시제-‘-(았)던’을 중심으로- / 어학 / 전북대 어학연구소 14 : 95~117
[book] 나진석 / 1971 / 우리말의 때매김 연구 / 과학사
[journal] 남기심 / 1996 / 관계관형사절의 상과 법 / 한국어문논총 / 한국어문학회 : 388~395
[book] 남기심 / 1978 / 국어문법의 시제 문제에 관한 연구 / 탑출판사
[book] 남기심 / 1996 / 국어 문법의 탐구 / 태학사
[journal]
남주연
/ 2012
/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en’ and ‘-essten’
/ 한국어 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38
: 27~56
[book] 문숙영 / 2009 / 한국어의 시제 범주 / 태학사
[book] 박재연 / 2006 /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 국어학총서
[journal]
박진호
/ 2011
/
Tense, Aspect, and Modality
/ 國語學
/ 국어학회
(60)
: 289~322
[book] 서정수 / 1990 / “(었)던”에 관하여, In 서병국박사 화갑기념논문집 / 서병국박사 화갑기념논문집 : 395~421
[book] 서정수 / 1990 / 국어 문법의 연구 Ⅰ / 한국문화사
[journal]
손혜옥
/ 2013
/
A grammatical category of ‘-teo-’ in modern Korean - focusing on ‘-Teola’
/ 한국어 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40
: 71~110
[journal] 송재목 / 1998 / 안맺음씨끝 ‘-더-’의 의미 기능에 대하여: 유형론적 관점에서 / 국어학 / 국어학회 32 : 135~169
[journal] 신현숙 / 1980 / /-더라/의 쓰임과 의미 / 논문집 / 건국대학교 11 : 113~123
[journal] 유동석 / 1981 / ‘더’의 의미에 대한 관견 / 관악어문연구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6 : 205~226
[journal]
유현경
/ 2008
/
A study on the temporal structure of Korean adjectives
/ 배달말
/ 배달말학회
(43)
: 211~238
[journal] 이석규 / 1983 / 현대국어의 시제 연구-‘-던’, ‘-았던’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 한국국어교육연구회 46 : 273~290
[thesis] 이지량 / 1982 / 현대 국어의 시상형태에 관한 연구 : ‘-었-’, ‘-고 있-’, ‘-어 있’을 중심으로 / 석사 / 서울대학교
[journal] 이필영 / 1989 / 상형태와 동사의 상적 특성을 통한 상의 고찰 / 주시경학보 / 주시경학회 3
[journal] 이효상 / 1995 / 다각적 시각을 통한 국어의 시상체계 분석 / 언어 / 한국언어학회 20 : 207~250
[journal] 임동훈 / 1995 / 통사론과 통사 단위 / 어학연구 / 서울대 어학연구소 31(1) : 87~137
[journal]
임동훈
/ 2010
/
The grammatical category and semantic change of prefinal ending ‘neu’ in Modern Korean
/ 國語學
/ 국어학회
(59)
: 3~44
[journal]
임채훈
/ 2008
/
'Sensory evidentials' and Instruction of Korean Endings
/ 이중언어학
/ 이중언어학회
(37)
: 199~234
[journal] 장경희 / 1983 / {더}의 의미와 그 용법 / 언어 / 한국언어학회 8(2) : 293~313
[book] 장경희 / 1985 / 현대국어 양태범주 연구 / 탑출판사
[thesis] 정인아 / 2010 / 한국어의 증거성(Evidentiality) 범주에 관한 연구 / 박사 / 상명대학교 대학원
[book] 조민정 / 2007 / 한국어에서 상의 두 양상에 대한 고찰 / 한국문화사
[thesis] 崔東柱 / 1995 / 국어 시상체계의 통시적 변화에 관한 연구 / 박사 / 서울大學校 大學院
[journal] 최동주 / 1996 / 선어말어미 {-더-}의 통시적 변화 / 언어학 / 한국언어학회 19 : 375~409
[book] 최현배 / 1955 / 우리말본 / 정음문화사
[book] 허웅 / 1995 /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 샘문화사
[book] Comrie, B / 1976 / Aspect / Cambridge University Press
[journal] Dowty, D. R / 1986 / The Effect of Aspectrual Class on the Temporal Structure of Discourse: Semantics or Pragmatics? / Linguistics & Philosogy 9 : 37~62
[book] Forsyth, J / 1970 / A Grammar of Aspect, In Usage and Meaning in the Russian verb / Cambridge University Press
[book] Hopper, P. J / 1979 / Aspect and Foregrounding in Discourse, In Syntax and Semantics, Vol. 12 : Discourse and Syntax / Academic Press : 213~241
[book] Horn, L. R / 2004 / Implicature, In The handbook of pragmatics / Blackwell : 3~28
[book] Saeed, J. I / 2003 / Semantics / Blackwell
[book] Smith, C. S / 1991 / The Parameter of Aspect / Kluwer Academic Publishers
[book] Vendler Z / 1967 / Linguistics and Philosophy / Cornell University Press
[book] Yan Haugn / 2009 / 화용론 /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