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emantics 2021 KCI Impact Factor : 0.92
Sub-categorization of sentence adverbs in relation to discourse components
ABSTRACT
열림/닫힘 버튼KEYWORDS
열림/닫힘 버튼330 Viewed
1 Downloaded
KCI Citation Counts (17)
열림/닫힘 버튼[book] 고영근 / 2008 / 우리말문법론 / 집문당
[thesis] 金京勳 / 1978 / 국어의 부사 수식 연구 /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thesis] 金京勳 / 1996 / 現代國語 副詞語 硏究 /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journal]
김선효
/ 2005
/
Reconsidering about the decision of Sentence Adverb
/ 언어와 정보 사회
/ 언어정보연구소
6
: 36~54
[journal]
김종명
/ 2001
/
Une étude sur I’adverbial de la phrase du type -ke(to) et sa construction
/ 언어학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28)
: 57~75
[journal] 남기심 / 1985 / 접속어미와 부사형어미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구 말)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10 : 69~77
[book] 남기심 / 1985 / 표준국어문법론 / 탑출판사
[journal] 박병선 / 2002 / 국어 부사 연구의 계량적 접근을 위하여 / 돈암어문학 / 돈암어문학회 15 : 149~177
[journal] 박소영 / 1999 / 한국어 문장의 계층구조와 부사 / 언어연구 / 서울대학교 언어연구소 19 : 43~73
[journal] 서정수 / 1971 / 국어 부사류어의 구문론적 연구 / 동방학지 12
[book] 서정수 / 1996 / 국어문법 / 한양대학교출판원
[book] 서정수 / 2005 / 한국어의 부사 / 서울대학교출판부
[book] 손남익 / 1995 / 국어부사연구 / 박이정출판사
[journal]
신서인
/ 2011
/
A Study on the Position of Sentence Adverbs
/ 國語學
/ 국어학회
20(61)
: 207~238
[journal]
安明哲
/ 2001
/
副詞語 範疇의 體系化를 위하여
/ 어문연구(語文硏究)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9(3)
: 5~27
[book] 왕문용 / 1993 / 국어문법론의 이해 / 개문사
[book] 윤평현 / 2013 / 국어의미론 강의 / 역락
[journal]
이은순
/ 2008
/
A Study on Adverbials in Russian: Hierarchical order of sentence adverbs
/ 노어노문학
/ 한국노어노문학회
20(3)
: 31~63
[book] 이익섭 / 2003 / 국어 부사절의 성립 / 태학사
[book] 이익섭 / 1999 / 국어문법론강의 / 학연사
[journal] 이환묵 / 1976 / 문장부사 ‘다행히’에 대하여 / 언어 / 한국언어학회 1(2) : 126~139
[journal]
임동훈
/ 2008
/
The Mood and Modal systems in Korean
/ 한국어 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26
: 211~248
[journal] 임유종 / 1996 / 부사의 하위 구분 체계에 대한 연구 / 한국언어문화 / 한국언어문화학회 14 : 187~218
[journal] 임유종 / 1998 / 국어 부사의 하위 분류 / 어학연구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34(1) : 175~204
[book] 임유종 / 1999 / 한국어 부사 연구 / 한국문화사
[book] 임홍빈 / 2002 / 한국어 구문 분석 방법론 / 한국문화사
[book] 임홍빈 / 1995 / 국어문법론 I /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book] 장소원 / 2008 / 이숭녕 현대국어학의 개척자 / 태학사 : 1149~1173
[journal]
채희락
/ 2002
/
On the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adverbials: focusing on the distinction between regular and concord adverbials
/ 언어와언어학
/ 언어연구소
28(29)
: 283~323
[book] 최형용 / 2003 / 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통사적 결합어를 중심으로- / 태학사
[journal] 한정길 / 1981 / 현대 불어의 문장부사에 대하여-하위범주구분을 중심으로 / 어학연구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17(1) : 41~56
[thesis] 홍석준 / 2005 / 현대국어 'A + -이' 및 'A + -게'형 부사와 부사형의 비교 /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book] Bisang, W. / 2011 / The Oxford Handbook of Linguistic Typology / Oxford University Press : 280~302
[book] Cinque, G. / 1999 / Adverbs and Functional Head / Oxford University Press
[book] Dik, S. C. / 1990 / Layers and levels of representation in language theory / Benjamins : 25~70
[book] Lyons, J. / 1977 / Semantics 2 / Cambridge University Press
[book] Palmer, F. R. / 2001 / Mood and Modalit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book] Ramat, P. / 1998 / Adverbial Constructions in the Language of Europe / Mouton de Gruyter : 187~275
[book] Swan, T. / 1988 / Sentence Adverbials in English : a synchronic and diachronic investigation / Novus Forl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