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emantics 2021 KCI Impact Factor : 0.92
A Study on the Current Trend and Issues of Korean Verbs Polysemy
ABSTRACT
열림/닫힘 버튼KEYWORDS
열림/닫힘 버튼173 Viewed
0 Downloaded
KCI Citation Counts (10)
열림/닫힘 버튼[journal]
강기진
/ 1985
/
none
/ 한국문학연구
/ 한국문학연구소
(8)
: 25~41
[journal]
강범모
/ 2002
/
Polysemy in generative lexicon theory: With reference to Korean Verbs Sada ‘to buy’ and Palda ‘to sell’.
/ 어학연구
/ 언어교육원
38(1)
: 275~294
[journal]
남경완
/ 2005
/
A Study on the Derivative Relation of Polysemy as a Kind of Semantic Relation
/ 한국어 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17
: 151~175
[book] 남경완 / 2008 / 국어학총서 / 태학사
[journal]
남경완
/ 2012
/
A Study on the terminologies of Korean semantics
/ 한국어 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37
: 1~26
/ http://dx.doi.org/
[journal]
남경완
/ 2004
/
The aspects of meaning articulation of sada('"to buy") and palda("to sell") based on Frame Semantics
/ 언어
/ 한국언어학회
29(1)
: 1~24
[journal] 남성우 / 1980 / 근대 국어의 다의 / 논문집 / 한국외대 13 : 65~86
[journal]
도원영
/ 2002
/
교차성 용언의 다의성과 사전 처리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15
: 2~52
[journal]
도원영
/ 2012
/
A Preliminary Study on the Dynamics among the Sememes with Polysemous Word
/ 한국어 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37
: 105~131
/ http://dx.doi.org/
[journal]
도원영
/ 2009
/
The Overall Review of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 민족문화연구
/ 민족문화연구원
(51)
: 1~54
[journal]
박만규
/ 2002
/
Sense discrimination of polysemous words and semantic classes
/ 한글
/ 한글학회
(257)
: 201~242
[book] 양정석 / 1997 / 국어동사의 의미 분석과 연결이론 / 박이정
[book] 유현경 / 1998 / 국어 형용사 연구 / 한국문화사
[journal] 이병근 / 2000 / 결합설명 사전의 어휘 기술 방법론 / 인문논총 43 : 155~200
[journal] 이숭녕 / 1962 / 국어의 Polysemy에 대하여 / 문리대학보 16 : 15~21
[journal] 이승명 / 1969 / 동음어의 연구A : 생성요인의 규명을 위한 시론 / 어문학 20 : 45~69
[book] 이승명 / 1998 / 의미론 연구의 새 방향 / 박이정
[book] 이을환 / 1964 / 국어의미론 / 수도출판사
[journal] 이종렬 / 1998 / 가다’의 다의성에 대한 인지의미론적 연구 / 한국어 의미학 3 : 97~118
[journal]
임지룡
/ 1996
/
Cognitive Semantic Properties of Polysemous Words
/ 언어학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18)
: 229~261
[book] 임지룡 / 1997 / 인지의미론 / 탑출판사
[journal]
임지룡
/ 2001
/
다의어 ‘사다’ ‘팔다’의 인지의미론적 분석
/ 국어국문학
/ 국어국문학회
129
: 1~16
[journal]
임지룡
/ 2009
/
Criteria for polysemous word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ir extended meanings
/ 한국어 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28
: 193~226
[journal]
임지룡
/ 2009
/
The Principle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Polysemy Identification
/ 담화와 인지
/ 담화·인지언어학회
16(3)
: 195~216
[journal]
차재은
/ 2002
/
다의 설정의 방법에 대하여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15
: 12~284
[journal] 천시권 / 1977 / 다의어의 의미분석 / 국어교육연구 9 : 1~9
[thesis] 崔鎬哲 / 1993 / 현대 국어 敍述語의 의미 연구 : 義素 設定을 중심으로 / 박사 / 고려대
[journal] 최호철 / 1995 / 의소(義素)와 이의(異義)에 대하여 / 국어학 25 : 77~98
[book] 한송화 / 2000 / 현대 국어 자동사 연구 / 한신문화사
[book] 홍재성 / 1987 / 현대 한국어 동사구문의 연구 / 탑출판사
[journal]
홍재성
/ 2003
/
Mel’cuk’s Explanatory and Combinatory Dictionary (ECD) and the lexico-semantic descriptions of Korean Verbs ‘sada’ (buy) and ‘palda’ (sell)
/ 언어학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35)
: 40~77
[journal] 홍재성 / 2000 / 멜축의 의미·텍스트 대응 모형 연구 / 인문논총 43 : 107~154
[book] Fillmore, C. J. / 1982 / Linguistics in the Morning Calm / Hanshin Publishing Co : 111~137
[book] Jackendoff, R. / 1990 / 의미구조론 / 한신문화사
[book] Langacker, R. W. / 1987 / Foundations of Cognitive Grammar vol. Ⅰ: Theoretical Prerequisites / Stanford University Press
[book] Nida, E. A / 1973 / 의미분석론 / 탑출판사
[book] Pustejovsky, J. / 1995 / The Generative Lexicon / The MIT Press
[book] Ullmann, S. / 1962 / 의미론: 의미과학입문 / 탑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