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emantics 2021 KCI Impact Factor : 0.92
Semantics of Aspectual Auxiliary Predicate ‘-eo issta’ and ‘-go issta’ Constructions: focusing on functions of connective endings and distribution of auxiliary predicates
ABSTRACT
열림/닫힘 버튼KEYWORDS
열림/닫힘 버튼210 Viewed
0 Downloaded
KCI Citation Counts (0)
[journal]
고석주
/ 2007
/
A Study on the Meaning of iss-(exist)
/ 한말연구
/ 한말연구학회
(20)
: 1~25
/ 10.16876/klrc.2007..20.1
[book] 권재일 / 1985 / 국어의 복합문 구성 연구 / 집문당
[journal] 권재일 / 1986 / 의존동사의 문법적 성격 / 한글 194 : 97~120
[journal] 김영희 / 1993 / 의존 동사 구문의 통사 표상 / 국어학 23 : 159~190
[journal]
김윤신
/ 2006
/
한국어 동사의 사건 구조와 어휘상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30
: 31~62
[journal]
김윤신
/ 2007
/
A Study on the Korean Aspectual Auxiliary Predicate as Event Function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35
: 17~47
[journal]
김윤신
/ 2018
/
A Study on Syntax and Semantics of “-ge Doeda” Construction
/ 국어교육
/ 한국어교육학회
(162)
: 175~201
/ http://dx.doi.org/10.29401/KLE.162.6
[journal]
김윤신
/ 2018
/
Semantics of Aspectual Auxiliary Predicate ‘-e issta’ in Korean.
/ 언어
/ 한국언어학회
43(3)
: 443~464
/ 10.18855/lisoko.2018.43.3.003
[journal]
김윤신
/ 2018
/
Meaning of the ‘-ko issta’ Construction
/ 언어학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82)
: 75~104
/ 10.17290/jlsk.2018..82.75
[journal] 김종태 / 1986 / 「-아 있다」, 「-고 있다」 조동사 구분에 대하여 / 한민족어문학 13 : 479~499
[journal]
김천학
/ 2009
/
A Study on the Aspectual Concord Relate to ‘itta' in the Contemporary Korean
/ 어문연구(語文硏究)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1)
: 111~131
/ 10.15822/skllr.2009.37.1.111
[journal] 金興洙 / 1977 / 繼起의 ‘-고’에 대하여 / 국어학 5 : 113~136
[thesis] 박진호 / 2003 / 한국어의 동사와 문법요소의 결합 양상 /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journal] 서정수 / 1982 / 연결어미 {-고}와 {-어(서)} / 언어와 언어학 8 : 53~74
[journal] 成耆撤 / 1972 / 語尾 ‘-고’와 ‘-어’에 대하여 / 국어교육 18 : 353~367
[journal] 엄정호 / 1999 / 동사구 보문의 범위와 범주 / 국어학 33 : 399~428
[book] 양정석 / 2005 / 한국어 통사구조론 / 한국문화사
[journal] 이남순 / 1987 / ‘에’, ‘에서’와 ‘-어 있(다)’, ‘-고 있(다)’ / 국어학 16 : 567~595
[journal] 이선웅 / 1995 / 현대국어의 보조용언 연구 / 국어연구 / 국어연구회, 서울대학교 133
[journal] 임홍빈 / 1976 / 부정법 {-어}와 상태 진술의 {-고} / 논문집 / 국민대학교 8 : 13~36
[journal] 장석진 / 1973 / 시상의 양상 / 어학연구 9(2) : 58~72
[journal] 한동완 / 1999 / ‘-고 있-’ 구성의 중의성에 대하여 / 한국어 의미학 5 : 215~248
[journal] 韓東完 / 2001 / 韓國語의 結果狀態相 / 국제고려학 7 : 1~14
[journal] 호광수 / 2000 / 보조용언 구성 연결소의 통합적 분석 / 언어학 / 대한언어학회 8(2) : 217~235
[book] Dowty, D. R. / 1979 / Word meaning and Montague grammar / Reidel
[book] Kratzer, A. / 1995 / The Generic Book /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125~175
[book] Pustejovksy, J. / 1995 / The Generative Lexicon / The MIT Press
[book] Rothstein, S. / 2004 / Structuring Events: A Study in the Semantics of Lexical Aspect / Blackwell
[journal] Vendelr, Z. / 1957 / Verbs and times / The philosophical review 66(2) : 143~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