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emantics 2021 KCI Impact Factor : 0.92
Classifying Korean Interjections on the Perspective of Word-formation
ABSTRACT
열림/닫힘 버튼KEYWORDS
열림/닫힘 버튼440 Viewed
0 Downloaded
KCI Citation Counts (3)
열림/닫힘 버튼[journal]
김문기
/ 2017
/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exclamations in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by its dictionary definitions
/ 우리말연구
/ 우리말학회
(50)
: 5~30
[journal]
김문기
/ 2018
/
A study on the type of Korean exclamation by internal structure
/ 동남어문논집
/ 동남어문학회
1(45)
: 105~127
[book] 김승곤 / 1996 / 현대 나라말본 / 박이정
[book] 남기심 / 1993 / 표준국어문법론 / 탑출판사
[journal]
도원영
/ 2017
/
A Lexical Study of Korean Exclamation in Early 20th Century Spoken Corpus
/ Journal of korean Culture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36
: 49~74
[journal]
문숙영
/ 2015
/
Several characteristics of insubordination in the Korean language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69
: 1~39
[thesis] 박근형 / 1997 / ‘거시기’류 대용어에 대한 연구 : 전주 방언을 중심으로 / 석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journal]
박정아
/ 2018
/
Classification of Semantic Function of Interjection for the Korean Education -Based on the Review of the Use of Admirals Through Analysis of Textbooks-
/ 우리말연구
/ 우리말학회
(55)
: 215~243
[journal] 박진호 / 2008 / 자리채우미(Placeholders) / Kling 2 : 1~6
[confproc] 박진호 / 2010 / 자리채우미에 대한 보론 / 국어학회 2010년 여름 학술대회 / 국어학회
[journal] 서태룡 / 1999 / 국어 감탄사에 대하여 / 동악어문논집 / 동악어문학회 34 : 7~36
[journal] 서태룡 / 1999 / 국어 감탄사의 담화 기능과 범주 / 동악어문논집 / 동악어문학회 35 : 21~49
[journal]
서태룡
/ 2016
/
The Priorities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a in Korean Parts of Speech and an Interjection
/ 國語學
/ 국어학회
(80)
: 3~34
/ 10.15811/jkl.2016..80.001
[thesis] 申智姸 / 1988 / 國語間投詞(Interjection)의 位相硏究 / 석사 / 서울大學校 大學院
[book] 신지연 / 1998 / 국어 지시용언 연구 / 태학사
[journal] 신지연 / 2001 / 감탄사의 의미 구조 / 한국어 의미학 / 한국어 의미학회 8 : 241~259
[thesis] 오규환 / 2016 / 한국어 어휘 단위의 형성과 변화 연구 / 박사 / 서울대학교
[thesis] 오승신 / 1995 / 한국어 간투사 연구 / 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book] 오승신 / 2006 / 왜 다시 품사론인가 / 커뮤니케이션북스
[book] 유길준 / 1909 / 대한문전
[book] 유창돈 / 1973 / 어휘사 연구 / 선명문화사
[journal]
이유미
/ 2017
/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Korean Minor Sentences
/ 언어과학연구
/ 언어과학회
(80)
: 243~267
/ http://dx.doi.org/10.21296/jls.2017.03.80.243
[journal]
전영옥
/ 2009
/
A Study of Korean Exclamations Based on Corpus
/ 텍스트언어학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7
: 245~274
[book] 주시경 / 1910 / 국어문법 / 박문서관
[journal]
최웅환
/ 2015
/
A Study on Exclamation & Criteria to Classify for Parts of Speech in Korean
/ 국어교육연구
/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7)
: 223~250
/ 10.17247/jklle.2015..57.223
[book] 최현배 / 1937 / 우리말본 / 정음사
[journal]
최형용
/ 2012
/
On the Change of System of Ju Si-Kyeong's Parts of Speech focusing on Classification Criteria
/ 國語學
/ 국어학회
(63)
: 313~340
/ 10.15811/jkl.2012..63.011011
[book] 최형용 / 2016 / 한국어 형태론 / 역락
[journal]
함병호
/ 2018
/
A study on ‘exclamation word, sentence’ construction
/ 동악어문학
/ 동악어문학회
(76)
: 125~156
[journal] 허재영 / 2001 / 감탄사 발달사 / 한국어 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9 : 65~96
[journal]
황병순
/ 2015
/
A Study on Grammatical Category of Exclamation
/ 한글
/ 한글학회
(308)
: 121~157
[book] Di Sciullo, A, M / 1987 / On the Definition of Word / MIT
[book] Evans, N. / 2007 / Insubordination and its Uses, Finiteness: Theoretical and Empirical Foundations / Oxford University Press
[journal] Haspelmath, M / 2010 / Understanding Morphology / Hodd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