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emantics 2021 KCI Impact Factor : 0.92
Current Situation of Research for Korean Intonation in Conversational Korean
ABSTRACT
열림/닫힘 버튼KEYWORDS
열림/닫힘 버튼210 Viewed
0 Downloaded
KCI Citation Counts (0)
[book] 강범모 / 1999 /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와 언어 특성 / 고려대학교 출판부
[journal]
강현화
/ 2009
/
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discourse function of ‘-canhta’
/ 한국어 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28
: 1~28
[journal]
구현정
/ 2005
/
Conditional Markers in Speech Context: From Conditional to Politeness
/ 담화와 인지
/ 담화·인지언어학회
12(2)
: 1~22
[journal]
구현정
/ 2011
/
Spoken language and discourse: with special focus on its research and utilization
/ 우리말연구
/ 우리말학회
(28)
: 25~56
[journal] 구현정 / 2001 / 조건 표지에서 문장종결 표지로의 문법화 / 담화와 인지 / 담화와인지학회 8(1) : 1~19
[journal] 김규현 / 2000 / 담화와 문법 : 대화분석적 시각을 중심으로 / 담화와 인지 / 담화·인지언어학회 7(1) : 155~184
[journal]
김규현
/ 2008
/
Conversational Structures and Grammar in Korean: A Conversation-Analytic Perspective
/ 응용언어학
/ 한국응용언어학회
24(3)
: 31~62
[journal] 김규현 / 2009 / 구어 자료의 전사 관행 : 담화 및 대화분석의 예를 중심으로 / 언어사실과 관점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3 : 77~102
[journal] 김규현 / 2014 / 대화분석 분야의 연구 동향 / 담화와 인지 / 담화·인지언어학회 21(3) : 311~320
[book] 김민국 / 2009 / 말뭉치 기반 구어 문어 통합 문법 기술의 탐색 / 박이정
[journal]
김선희
/ 2009
/
Intonation Patterns of Korean Spontaneous Speech
/ 말소리와 음성과학
/ 한국음성학회
1(4)
: 85~94
[journal] 박경래 / 1994 / 충주방언의 움라우트 현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고찰 / 개신어문연구 / 개신어문학회 10 : 55~96
[thesis] 박미경 / 2016 / 자유발화의 장음화 실현 양상과 기능 연구 : 토론·발표 발화를 중심으로 / 박사 / 고려대학교
[journal]
박지혜
/ 2002
/
Some Prosodic Aspects of Read Speech and Dialogue in Korean
/ 말소리
/ 대한음성학회
(44)
: 11~24
[book] 방언연구회 / 2003 / 방언학사전 / 태학사
[book] 서상규 / 2002 / 한국어 구어 연구(1): 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 한국문화사
[journal] 성철재 / 1998 / 한국어 대화체 음성의 운율 분석 : 낭독체와의 비교를 통하여 / 한글 / 한글학회 239 : 75~94
[journal] 손세모돌 / 1999 / ‘-잖-’의 의미, 전제, 함축 / 국어학 / 국어학회 33 : 213~240
[journal]
손옥현
/ 2009
/
A Study on the connective endings functioning as final endings in Korean spoken language
/ 한국어 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28
: 49~71
[journal]
송인성
/ 2013
/
Functions and prosodic features of discourse marker ‘mweo’ (뭐).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58
: 83~106
[journal]
송인성
/ 2014
/
Prosodic features and discourse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 ‘mak'(‘막’)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65
: 211~236
[thesis] 송인성 / 2015 / 국어 담화표지의 기능과 운율 / 박사 / 고려대학교
[journal]
송인성
/ 2017
/
Discourse Functions and Prosodic Features of ‘jeongmal’(정말), ‘jinjja’(진짜)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77
: 155~179
/ http://dx.doi.org/10.20405/kl.2017.11.77.155
[journal]
송인성
/ 2018
/
Discourse Functions and Prosodic Features of ‘ne/ye’(네/예)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81
: 169~196
/ http://dx.doi.org/10.20405/kl.2018.11.81.169
[journal]
송인성
/ 2014
/
The Realization of Functions and Morphological, Prosodic Features of Discourse Marker {jom}({좀})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62
: 315~339
[journal]
신지영
/ 2014
/
Prosody in Spoken Korean
/ 한국어 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44
: 119~139
[journal]
안미애
/ 2012
/
Variation of Vowel Space on Daegu Dialect by Speech Style
/ 어문론총
/ 한국문학언어학회
(56)
: 71~93
/ http://dx.doi.org/
[journal]
안병섭
/ 2007
/
A Study on Utterance as Prosodic unit for Utterance Phonology
/ 한국학연구
/ 한국학연구소
(26)
: 233~259
/ 10.17790/kors.2007..26.233
[thesis] 오재혁 / 2011 / 국어 종결 억양의 문법적 기능과 음성적 특징에 대한 지각적 연구 / 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journal]
오재혁
/ 2014
/
A Study of Methods of Standardization for Korean Intonation Curve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62
: 395~420
[thesis] 유필재 / 1994 / 發話의 음운론적 분석에 대한 연구 : 단위 설정을 중심으로 / 석사 / 서울大學校 大學院
[journal]
윤영숙
/ 2004
/
Prosodic Aspects of Discourse Boundaries in Conversation
/ 음성과학
/ 한국음성과학회
11(2)
: 9~9
[journal] 이기동 / 1979 / 연결어미-는데 의 화용상의 기능 / 인문과학 /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0-41 : 117~142
[journal]
이원표
/ 1993
/
의지감탄사 “예, 글쎄, 아니”의 담화분석
/ 인문과학
/ 인문학연구원
69
: 139~185
[book] 이정애 / 2002 / 국어 화용표지의 연구 / 월인
[journal] 이창덕 / 1994 / ‘-는데’의 기능과 용법 / 텍스트언어학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 : 239~259
[journal]
이현희
/ 2004
/
‘-잖-’은 단지 ‘-지 않-’의 음운론적 축약형인가?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23)
: 203~228
[thesis] 이해영 / 1996 / 현대 한국어 활용어미의 의미와 부담줄이기의 상관성 / 박사 /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journal]
전영옥
/ 2003
/
A Study on the Intonation Unit in Korean Conversation.
/ 담화와 인지
/ 담화·인지언어학회
10(1)
: 241~265
[journal]
전영옥
/ 2006
/
A Study on Unit of Spoken Language
/ 한말연구
/ 한말연구학회
(19)
: 317~345
[journal]
전영옥
/ 2017
/
Current status and tasks of research in Korean discourse markers
/ 한말연구
/ 한말연구학회
(45)
: 127~160
/ http://10.16876/klrc.2017..45.127
[journal]
정명숙
/ 2013
/
A study on aspects of functions and intonations in uttering ‘-잖아’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60
: 143~165
[journal]
조민하
/ 2011
/
Functioning as final endings of ‘-neunde’ and the role of intonation
/ 우리어문연구
/ 우리어문학회
(40)
: 225~254
[journal]
조민하
/ 2014
/
Pragmatic Strategy and Intonation of ‘-geodeun’, the Final Endings: Focusing on the age variation of Those in 10s, 20s, 30s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65
: 237~262
[journal]
조민하
/ 2015
/
Pragmatic Properties and Intonation Functions of Spoken Language Final Ending –janha: Focusing on the banmal style of women’s spontaneous speech
/ 화법연구
/ 한국화법학회
(28)
: 165~194
/ 10.18625/jsc.2015..28.165
[journal] 채영희 / 1998 / 담화에 쓰이는 ‘-거든’의 화용적 기능 / 한국어 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3 : 159~177
[journal] 한선희 / 1999 / 한국어 억양구의 경계톤 / 음성과학 / 한국음성과학회 5(2) : 109~129
[journal] 한선희 / 2000 / 대화체 억양구말 형태소의 경계성조 연구 / 음성과학 / 한국음성과학회 7(4) : 219~234
[journal]
한승규
/ 2014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raction Form and the Fusion Form ‘-canh-' from ‘–ci anh-’
/ 언어사실과 관점
/ 언어정보연구원
34
: 103~133
/ 10.20988/lfp.2014.34..103
[book] Couper-Kuhlen, E. / 1996 / Prosody in Conversation : Interactional Studie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book] Ford, C. E. / 1996 / Interaction and grammar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34~184
[report] Jun Sun-A. / 2000 / K-ToBI(Korean ToBI) Labelling Convention; version 3.1 / UCLA
[journal] Park, Y, -Y. / 1999 / The Korean connective nuntey in conversational discourse / Journal of Pragmatics 31 : 191~218
[journal]
서경희
/ 2002
/
The Korean Sentence-final Marker cianha in Conversational Discourse
/ 사회언어학
/ 한국사회언어학회
10(2)
: 283~310
[journal]
Kyung-HeeSuh
/ 2003
/
From Unknown to Unspeakable: ‘Mwe’ as a Stance Marker in Korean Conversation
/ 사회언어학
/ 한국사회언어학회
11(2)
: 137~160
[journal]
서경희
/ 2007
/
Discourse Markers Mwe and Way in Korean Conversation
/ 사회언어학
/ 한국사회언어학회
15(1)
: 77~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