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emantics 2021 KCI Impact Factor : 0.92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appearance of backchannel of ‘geureonikka(그러니까)’
ABSTRACT
열림/닫힘 버튼KEYWORDS
열림/닫힘 버튼236 Viewed
0 Downloaded
KCI Citation Counts (7)
열림/닫힘 버튼[journal]
구종남
/ 2011
/
On the Licensors and Licensing of NPIs in Korean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한민족어문학회
(59)
: 549~584
[journal] 김순자 / 1999 / 대화의 맞장구 수행 형식과 기능 / 텍스트언어학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6 : 45~69
[confproc] 김순자 / 2008 / 일상 대화에서 수행된 맞장구 실태 조사 - 연령, 성별 요인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 국제어문학회 : 133~151
[thesis] 김일웅 / 1982 / 우리말 대용어 연구 / 박사 / 부산대학교 대학원
[journal]
김지영
/ 2014
/
A Study on Listener’s Reactive-Utterance in the Dialogue of Korean Intermediate Textbooks
/ 이중언어학
/ 이중언어학회
(56)
: 85~107
/ 10.17296/korbil.2014..56.85
[journal] 남기심 / 1978 / 국어 연결어미의 활용론적 기능: 나열형 ‘-고’ 중심으로 / 연세논총 / 연세대학교 대학원 15(1) : 1~21
[book] 남기심 / 2014 / 표준 국어문법론 / 도서출판 박이정
[book] 남기심 / 1986 / 국어의 통사·의미론 / 탑출판사 : 1~27
[journal] 노은희 / 2002 / 청자의 맞장구 유형과 기능 연구 / 화법연구 / 한국화법학회 4 : 245~269
[journal] 도수희 / 1965 / [그러나, 그러고... 그러니, 그러면...]등 어사고 / 한국언어문학 / 한국언어문학회 3 : 82~105
[journal] 박재연 / 1999 / 국어 양태 범주의 확립과 어미의 의미 기술 -인식 양태를 중심으로- / 국어학 / 국어학회 34 : 199~225
[journal] 서성교 / 1998 / 한국어 접속어미 ‘-니까’의 인지 화용론적 연구 시론 / 언어학 / 대한언어학회 6(2) : 183~201
[book] 서정수 / 1975 / 국어문법 / 뿌리깊은나무
[journal] 신현숙 / 1989 / 담화대용표지의 의미 연구 - {그래서/그러니까/그러나/그렇지만}을 대상으로- / 국어학 / 국어학회 19 : 427~451
[thesis] 심주희 / 2020 / 구어에 나타난 ‘그러니까’의 담화기능 고찰 / 석사 / 연세대학교
[journal] 안주호 / 2000 / ‘그러-’ 계열 접속사의 형성과정과 문법화 / 국어학 / 국어학회 35 : 113~141
[book] 윤평현 / 1989 / 국어의 접속어미 연구: 의미론적 기능을 중심으로 / 한신문화사
[journal]
이경희
/ 2011
/
Inconsistencies Meaning and Form: Types and Functions of Rhetorical Questions
/ 노어노문학
/ 한국노어노문학회
23(3)
: 29~47
[journal]
임동훈
/ 2008
/
The Mood and Modal systems in Korean
/ 한국어 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26
: 211~248
[journal]
임동훈
/ 2011
/
Sentence types in Korean
/ 國語學
/ 국어학회
(60)
: 323~359
/ 10.15811/jkl.2011..60.012
[journal]
장경희
/ 2008
/
Research on the Actual Practice of Backchannel in Variables of Age and Gender
/ 텍스트언어학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5(0)
: 219~247
/ 10.22832/txtlng.2008.25.0.009
[journal]
전영옥
/ 2017
/
A comparative study of “그러니까(geureonikka), 그니까(geunikka), 근까(geunkka) and 그까(geukka)” in the spoken corpus
/ 어문론총
/ 한국문학언어학회
(74)
: 125~152
/ 10.22784/eomun.2017..74.125
[journal]
정일
/ 2012
/
접속 부사의 청자 반응 표현 기능에 대한 연구 -‘그러니까’, ‘그래서’, ‘그런데’를 중심으로-
/ Journal of korean Culture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1
: 169~202
[book] 최형용 / 2016 / 한국어 형태론 / 도서출판 역락
[journal] 홍종화 / 1996 / 인과구문의 화용론 “-어서”와 “-니까”의 다성적 분석 / 언어와 언어학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22 : 357~397
[journal]
황화상
/ 2008
/
The Semantic Function of Conjunctive Ending '-eoseo, -nikka' in Korean
/ 國語學
/ 국어학회
(51)
: 57~88
/ 10.15811/jkl.2008..51.003
[book] Cumming, S. / 2011 / Discourse Studies : A Multidisciplinary Introduction / Sage Publication : 8~36
[book] van Dijk, T. / 2011 / Discourse Studies : A Multidisciplinary Introduction / Sage Publication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