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emantics 2021 KCI Impact Factor : 0.92
On the Modal Meanings and Grammaticalization of ‘-Eoji-’
ABSTRACT
열림/닫힘 버튼KEYWORDS
열림/닫힘 버튼99 Viewed
0 Downloaded
KCI Citation Counts (0)
[book] 강범모 / 2013 / 의미론 1·2 / 한국문화사
[book] 고영근 / 1974 / 국어접미사의 연구 / 관문사
[book] 고영근 / 2008 / 우리말 문법론 / 집문당
[book] 고영진 / 1997 / 한국어의 문법화 과정: 풀이씨의 경우 / 국학자료원
[book] 권재일 / 2012 / 한국어 문법론 / 태학사
[journal] 김영태 / 1998 / 보조용언의 양태 의미 / 우리말 글 / 우리말글학회 16 : 1~16
[journal]
김윤신
/ 2011
/
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Inchoative Verbs with ‘-e cita’ Type in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reference to different acquisition according to verb roots
/ 언어학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9)
: 1~27
[book] 김종록 / 2008 / 외국인을 위한 표준 한국어문법 / 박이정
[journal] 김차균 / 1980 / 국어의 사역과 수동의 의미 / 한글 / 한글학회 168 : 5~49
[book] 김창섭 / 1996 /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연구 / 태학사
[book] 김태곤 / 2008 / 국어 어휘의 통시적 연구 / 박이정
[book] 남수경 / 2011 / 한국어 피동문 연구 / 월인
[book] 박덕유 / 2017 / 이해하기 쉬운 문법교육론 / 역락
[thesis] 박민정 / 2005 / 보조용언 'V + -어 디다'의 통시적 변화 / 석사 / 서강대학교 대학원
[book] 박선자 / 2010 / 문법의 진화-시제, 상, 양태 / 소통
[journal] 박재연 / 1999 / 국어 양태 범주의 확립과 어미의 의미 기술 / 국어학 / 국어학회 34 : 199~225
[book] 박재연 / 2006 /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 태학사
[journal]
박재연
/ 2007
/
On the Modal Meanings of Auxiliary Construction ‘-Eoji-’
/ 國語學
/ 국어학회
(50)
: 269~293
/ 10.15811/jkl.2007..50.010
[thesis] 박혜진 / 2017 / ‘-어지다’의 의미 기능 연구 / 석사 / 연세대학교
[journal]
박희문
/ 2009
/
An HPSG Analysis of the Double Passive Constructions in Korean
/ 언어연구
/ 한국현대언어학회
25(3)
: 553~574
/ 10.18627/jslg.25.3.200911.553
[book] 배희임 / 1988 / 국어피동연구 /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journal] 서승현 / 1996 / ‘아/어지다’의 의미 / 연세어문학 /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8 : 241~279
[book] 서정수 / 2006 / 국어 문법 /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journal] 성광수 / 1976 / 國語擬似被動文 / 관대논문집 / 관동대학교 : 65~84
[journal] 성광수 / 1976 / 국어(國語) 중피동구조(重被動構造)에 대한 검토(檢討) / 국어국문학 / 국어국문학회 72-73 : 324~327
[journal] 손세모돌 / 1995 / ‘디다’와 ‘지다’의 의미 고찰 / 한국언어문화 / 한국언어문화학회 13 : 997~1018
[book] 손세모돌 / 1996 / 국어 보조용언 연구 / 한국문화사
[journal] 송창선 / 2005 / 현대국어‘-아/어지다’의기능과의미 / 문화와융합 / 한국문화융합학회 27 : 1~24
[journal] 우인혜 / 1992 / 용언‘지다’의의미와기본기능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 연세대학교한국어학당 17 : 39~67
[thesis] 유연 / 2017 / 한국어 상태변화 구문 ‘-어지다’와 ‘-게 되다’ 연구 / 박사 / 서울대학교
[book] 이관규 / 2005 / 국어 교육을 위한 국어 문법론 / 역락
[journal] 이기동 / 1978 / 조동사 ‘지다’의 의미 연구 / 한글 / 한글학회 161 : 537~569
[book] 이상억 / 1999 / 국어의 사동·피동 구문 연구 / 집문당
[book] 이성하 / 2016 / 개정판 문법화의 이해 / 한국문화사
[book] 이승욱 / 1973 / 국어문법체계의 사적연구 / 일조각
[book] 이익섭 / 2005 / 한국어 문법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journal] 이정택 / 2001 / ‘-지(디)-’의 통시적 변천에 관한 연구 / 국어학 / 국어학회 38 : 117~134
[book] 이정택 / 2004 / 현대 국어 피동 연구 / 박이정
[thesis] 이지연 / 2018 / 한국어 양태 표현 연구-유사 문법 항목 비교를 중심으로 / 박사 / 연세대학교
[thesis] 이효정 / 2004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태 표현 연구 / 박사 / 상명대학교 대학원
[journal]
임동식
/ 2015
/
On Korean Auxiliary Verb ‘-(e)cita’: an l-syntax Approach
/ 언어
/ 한국언어학회
40(4)
: 661~673
/ 10.18855/lisoko.2015.40.4.004
[journal]
임동훈
/ 2003
/
On the Modal System in Modern Korean
/ 한국어 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12
: 127~154
[journal] 임홍빈 / 1977 / 피동성과 피동구문 / 국민대학교 논문집 / 국민대학교 12 : 35~60
[book] 임홍빈 / 2018 / 한국어의 재구조화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journal]
전영철
/ 2008
/
The So-called Double Passive Constructions in Korean
/ 언어학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2)
: 79~101
[thesis] 정혜선 / 2013 / 국어 인식 양태 형식의 역사적 연구 / 박사 / 서강대학교 대학원
[journal]
조경순
/ 2019
/
A Study of the Restrictions on Combinations of Endings in Korean Auxiliary Predicates
/ 어문론집
/ 중앙어문학회
79
: 107~139
/ https://doi.org/10.15565/jll.2019.09.79.107
[thesis] 조민영 / 2017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표현문형 ‘-는 것이다’의 담화기능 연구 / 석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journal] 조오현 / 1995 / 「-어지다」와 「-어 지다」의 통사·의미 / 겨레어문학 / 건국대국어국문학연구회 19(20) : 741~754
[journal] 조일영 / 1998 / 국어 선어말어미의 양태적 의미 고찰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8 : 39~66
[thesis] 진가리 / 2018 / 한국어 보조용언 연구 / 박사 / 울산대학교
[book] 최규수 / 2016 / 한국어 형태론 연구 / 역락
[thesis] 최대희 / 2002 / 국어 풀이씨의 문법화 과정 연구 / 석사 / 건국대학교 대학원
[journal]
최동주
/ 1995
/
On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Order of Pre - final Endings in Korean
/ 언어학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17)
: 317~335
[journal]
최란
/ 2017
/
The A Study on Grammaticalization of ‘-eot2-’ in ‘-eot1eot2-’ Composition and the Modality
/ 어문론집
/ 중앙어문학회
72
: 35~69
/ https://doi.org/10.15565/jll.2017.12.72.35
[journal] 최영환 / 1991 / 피동의 개념과 문법범주 / 한국어교육연구회논문집 / 한국어교육학회 43 : 1~24
[book] 최현배 / 1961 / 우리말본 / 샘문화사
[journal]
함희진
/ 2008
/
The Formation and the Origin of the Compound Verb ‘V1-eo+jida’
/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41
: 403~429
[book] 허웅 / 1975 / 우리 옛말본 / 샘문화사
[book] 호광수 / 2003 / 국어 보조용언 구성 연구 / 역락
[book] Fillmore, Charles J / 1968 / Universals in Linguistic Theory : 1~25
[book] Langacker, Ronald W / 1977 / Mechanisms of Syntactic Change / University of Texas Press : 57~139
[book] Traugott König / 1991 / Approaches to Grammaticalization vol.1 /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18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