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ndecidability of Time and the Subject of the Configuration Process
[book] 강은교 / 1974 / 풀잎 / 민음사
[book] 강은교 / 1982 / 소리집 / 창작과비평사
[book] 강은교 / 1984 / 붉은 강 / 풀빛
[book] 강은교 / 1986 / 우리가 물이 되어 / 문학사상사
[book] 강은교 / 1987 / 바람노래 / 문학사상사
[book] 강은교 / 1988 / 순례자의 꿈 / 도서출판 나남
[journal] 강은교 / 2006 / ‘제1의 시치료’를 위하여 / 관점 21 / 게릴라 18
[journal]
구명숙
/ 2003
/
강은교 시세계의 변모 양상 - 소멸과 생성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 새국어교육
/ 한국국어교육학회
65
: 265~283
[book] 이성우 / 2005 / 강은교의 시세계 / 천년의시작
[book] 김경목 / 1996 / 풍경의 시학 / 전망
[journal] 김경복 / 1988 / 죽음으로의 초대-강은교 시에 나타난 물의 이미지 연구 / 국어국문학 / 문창어문학회 25
[book] 김병익 / 1974 / 허무의 선험과 체험, In 풀잎 / 민음사
[journal]
김승희
/ 2007
/
The trend toward confessional poemsin modern Korean feministic poetry- focusing on Choi Seung-ja, Bak Seo-won, Yi Yeon-ju
/ 여성문학연구
/ 한국여성문학학회
18
(18)
: 235~270
[book] 김은주 / 2009 / 육체와 주체화의 문제, In 여/성이론 / 도서출판 여이연
[book] 김재홍 / 1985 / 무의 불꽃, In 우리가 물이 되어 / 문학사상사
[book] 김준오 / 1997 / 현대시와 페미니즘, In 현대시의 환유성과 메타성 / 살림출판사
[book] 김형영 / 1982 / 인간적 진실과 공동체 의식에의 접근, In 소리집 / 창작과비평사
[journal]
노창선
/ 2011
/
A Study on the Images of Kang Eun Kyo's Poems
/ 한국문예창작
/ 한국문예창작학회
10
(1)
: 7~34
[book] 박노균 / 1989 / 존재 탐구의 시에서 역사적 삶의 시로; 강은교론, In 한국현대시연구 / 민음사
[book] 송지현 / 1995 / 다시 쓰는 여성과 문학 / 평민사
[journal]
송지현
/ 2003
/
A Study on Kang Eun-Kyo's Poetic World
/ 한국언어문학
/ 한국언어문학회
(50)
: 261~280
[book] 맹문재 / 2007 / 한국 현대시사 / 민음사
[journal] 윤선아 / 2008 / 강은교 시의 이미지와 상상력 연구 / 한남어문학 / 한남어문학회 32
[book] 이선영 / 1992 / 꿈과 현실의 변증법, In 벽 속의 편지 / 창작과비평사
[journal] 이영섭 / 1998 / 강은교론-허무와 고독의 숨길 / 현대문학의 연구 / 한국문학연구학회 10
[book] 임정남 / 1984 / 아내의 시선을 마치고, In 붉은 강 / 풀빛
[book] 이진경 / 1997 /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 도서출판 푸른숲
[book] Braiddotti, Rosi / 2006 / Transpositions / Polity Press
[book] Derrida, Jacques / 1991 / A Derrida reader: between the blinds / Columbia University
[book] Furst, Lilian R. / 1995 / All is true: the claims and strategies of realist fiction / Duke University Press
[book] Stevenson, Randall / 1992 / Modernist fiction: an introduction / Harvester Wheatsheaf
KCI Citation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