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21 KCI Impact Factor : 0.75
An Alternative View on the Clay-band Rim Pottery Communities of the Central Part of Korea
ABSTRACT
열림/닫힘 버튼KEYWORDS
열림/닫힘 버튼322 Viewed
95 Downloaded
KCI Citation Counts (4)
열림/닫힘 버튼[journal]
강인욱
/ 2018
/
Metallurgy, Weapons, and Rituals: Spread of the Luteshaped Dagger Culture of the Liaoxi region in the Context of the Formation of Old Chosun
/ 한국고고학보
/ 한국고고학회
(106)
: 46~75
[journal]
김권구
/ 2012
/
The ritual sites on mountaintop or hilltop surrounded with ditches dated the Bronze Age to the Early Iron Age
/ 한국상고사학보
/ 한국상고사학회
76(76)
: 51~76
/ http://dx.doi.org/
[confproc] 金權中 / 2008 / 江原 嶺西地域 靑銅器時代 住居址와 聚落 構造의 變遷 / 한일취락연구회 제4회 공동연구회 발표 요지 / 한일취락연구회
[book] 김권중 / 2016 / 청동기시대의 고고학 — 編年 2 / 서경문화사
[journal] 김범철 / 2001 / 남한지역 후기무문토기문화의 성격 연구 — 서울지역 연구를 위한 시론적 고찰 — / 서울학연구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16
[journal]
김장석
/ 2002
/
AN Archaeological Distinction between Migration and Diffusion: Preliminary Models
/ 한국상고사학보
/ 한국상고사학회
38
: 1~26
[journal]
金壯錫
/ 2003
/
The Development of the Songgukri Assemblage in Chungcheong Area
/ 한국고고학보
/ 한국고고학회
51
: 33~56
[journal]
김장석
/ 2014
/
Chronology and Understandings of Formal Variability in Korean Archaeology
/ 한국상고사학보
/ 한국상고사학회
83(83)
: 5~32
[thesis] 김지찬 / 2017 / 북한강유역 청동기시대 인구변동과 취락의 변천 / 석사 / 숭실대학교 대학원
[journal] 박순발 / 1993 / 우리나라 初期鐵器文化의 展開過程에 對한 약간의 考察 / 考古美術史論 / 忠北大學校 考古美術史學科 3
[journal] 박순발 / 1997 / 漢江流域의 基層文化와 百濟의 成長過程 / 韓國考古學報 / 韓國考古學會 36
[confproc] 박순발 / 2015 / 점토대토기문화의 기원과 전개 / 제9회 한국청동기학회 학술대회 발표요지 / 韓國靑銅器學會
[journal] 朴辰一 / 2007 / 粘土帶土器, 그리고 靑銅器時代와 初期鐵器時代 / 韓國靑銅器學報 / 韓國靑銅器學會 1
[thesis] 서길덕 / 2006 / 원형점토대토기의 변천과정 연구 —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 / 석사 / 세종대학교 대학원
[confproc] 孫晙鎬 / 2009 / 청동기시대의 전쟁 / 제33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요지 / 한국고고학회
[journal]
송만영
/ 2011
/
The structure and nature of settlement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in the central region
/ 한국고고학보
/ 한국고고학회
(80)
: 29~62
[journal]
송만영
/ 2015
/
The change and meaning of Underfloor heating system of Chungdo style settlement
/ 고문화
/ 한국대학박물관협회
(85)
: 7~32
[journal]
송만영
/ 2018
/
Changes of the Dolmen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Dolmen Groups in Chuncheon Area
/ 고문화
/ 한국대학박물관협회
(92)
: 31~60
[journal]
송만영
/ 2018
/
Locality and Meaning of Bronze Age and Pottery with Clay Stripes Stage in the Centr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 숭실사학
/ 숭실사학회
(41)
: 5~31
/ http://dx.doi.org/10.16942/ssh.2018.41.12.01
[journal]
심재연
/ 2011
/
The Origination of Hard-plain Pottery
/ 고고학
/ 중부고고학회
10(1)
: 27~45
[book] 안재호 / 2016 / 청동기시대의 고고학 — 編年 2 / 서경문화사
[book] 안재호 / 2016 / 청동기시대의 고고학 — 編年 2 / 서경문화사
[confproc] 윤호필 / 2007 / 경기도 고인돌의 장송의례 / 「경기도 고인돌」 조사보고서 발간기념 학술대회 발표요지 / 경기도박물관
[journal] 이창희 / 2008 / 水石里式土器의 再檢討 / 考古廣場 / 부산고고학연구회 3
[confproc] 이창희 / 2013 / 청동기시대 후기의 역연대 / 제37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요지 / 한국고고학회
[confproc] 이창희 / 2016 / 한국 원사고고학의 기원론과 계통론 / 제40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요지 / 한국고고학회
[confproc] 이창희 / 2018 / 점토대토기문화 유입에 의한 취락과 생업구조의 변화 / 제42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요지 / 한국고고학회
[journal]
이창희
/ 2019
/
When did Jungdo type pottery begin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한국상고사학보
/ 한국상고사학회
103(103)
: 37~66
/ http://dx.doi.org/10.18040/sgs.2019.103.37
[journal]
이형원
/ 2005
/
松菊里類型과 水石里類型의接觸樣相
/ 호서고고학
/ 호서고고학회
(12집)
: 15~34
[journal]
李亨源
/ 2011
/
The Cronology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ottery With Clay Strip Culture Originating From Central South Korea
/ 호서고고학
/ 호서고고학회
(24)
: 58~93
[journal]
이형원
/ 2015
/
The Social Significance of a Imitation Pottery in the Late Bronze Age
/ 숭실사학
/ 숭실사학회
(34)
: 5~37
/ http://dx.doi.org/10.16942/ssh.2015.34.06.01
[journal]
이형원
/ 2015
/
A Study on the Influx of the Pottery with Clay Strip Culture and Acculturation in Housing-Culture Aspect
/ 한국청동기학보
/ 한국청동기학회
(16)
: 92~120
/ http://dx.doi.org/10.15397/JKBC.2015.16.92.
[journal]
이형원
/ 2016
/
A Study on Acculturation and the Cultural Influx of Clay–band Rim Pottery Culture in the West Coastal region in Chungcheongnam-do
/ 호서고고학
/ 호서고고학회
(34)
: 4~29
[confproc] 진영민 / 2015 / 중서부지방 점토대토기문화 취락의 변천과 성격 / 제9회 한국청동기학회 학술대회 발표요지 / 韓國靑銅器學會
[journal] 현대환 / 2010 / 湖西地域 靑銅器時代 後期 方形住居址의 展開 / 韓國靑銅器學報 / 韓國靑銅器學報會 7
[confproc] 황재훈 / 2018 / 분묘 자료를 통해 본 청동기시대 취락 경관의 구축 / 제42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요지 / 한국고고학회
[journal] 庄田愼矢 / 2013 / 中部地域 圓形粘土帶土器期의 聚落構造論 / 韓日聚落硏究 / 서경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