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178813},
author={임성오 and 장봉기},
title={Usefulness of Capute and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in the Cerebral Palsy in Developmental Delayed Infant},
journal={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issn={1226-0134},
year={2006},
volume={14},
number={3},
pages={1-16}
TY - JOUR
AU - 임성오
AU - 장봉기
TI - Usefulness of Capute and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in the Cerebral Palsy in Developmental Delayed Infant
JO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PY - 2006
VL - 14
IS - 3
PB -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SP - 1
EP - 16
SN - 1226-0134
AB - 발달지연 아동들에게 Capute와 Bayley 발달검사를 실시하여 뇌성마비 감별에 이들 지수들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이들 검사 중에 뇌성마비를 가장 잘 감별할 수 있는 발달검사 척도를 찾아 뇌성마비 아동의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되고자 2002년 8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천안시 소재 모대학교 재활의학과에 발달지연으로 내원한 아동 중 검사시 연령이 48개월까지의 아동 250명을 대상으로 Capute 발달검사인 언어지수(CLAMS), 인지적응검사(CAT), 혼합발달지수(CAT/CLAMS)와 Bayley 발달검사인 정신발달지수(MDI), 운동발달지수(PDI), 행동평가척도(BRS)를 검사하였고,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의 차이(MDI-PDI)를 계산하였다.1.발달지연아 총 250명 중에서 뇌성마비군이 86명(34.4%)으로 감별되었고 전반적 발달지연군은 164명(65.6%)이었다.2.재태기간이 37주 미만군에서 뇌성마비아가 41.7%로 37주 이상군의 26.8%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3.뇌성마비군과 전반적 발달지연군에서의 Capute 및 Bayley 발달검사의 평균 점수의 차이는 Capute 발달검사인 인지적응검사지수와 혼합발달지수에서는 뇌성마비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각각, p<0.001, p<0.01), Bayley 발달검사 중 운동발달지수와 행동평가척도도 뇌성마비군이 유의하게 낮은 점수였고(각각, p<0.001, p<0.01),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의 차이는 뇌성마비군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0.001).4.Capute 발달검사의 각 지수별 뇌성마비 감별기준 점수로 80미만으로 하였을 때 인지적응검사지수, 혼합발달지수에서 뇌성마비군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분포를 보였다(각각, p<0.001, p<0.01). Bayley 발달검사인 운동발달지수, 행동발달척도,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와의 차이의 감별기준 점수를 각각 85 미만, 25 미만, 13 이상으로 하였을 때 뇌성마비군의 비율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으며(각각, p<0.001, p<0.05, p<0.001), 이때의 민감도는 각각 96.5%, 83.7%, 34.9%, 특이도는 각각 41.5%, 29.3%, 89.6%였다.5.Capute 및 Bayley 발달검사의 각 지수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각각, p<0.001).6.뇌성마비 감별에 영향을 주는 예측 모형을 로지스틱 다중회귀분석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운동발달지수(Odds Ratio; OR=14.559, p<0.001)의 예측력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재태기간(OR=3.080, p<0.001),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의 차이(OR=2.678, p<0.01)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모형의 설명력은 25.1%였다.
KW -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Capute Scale(CAT/CLAMS);Cerebral palsy;Developmental delayed infant;Psychomotor Development Index
DO -
UR -
ER -
임성오 and 장봉기. (2006). Usefulness of Capute and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in the Cerebral Palsy in Developmental Delayed Infan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4(3), 1-16.
임성오 and 장봉기. 2006, "Usefulness of Capute and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in the Cerebral Palsy in Developmental Delayed Infan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14, no.3 pp.1-16.
임성오, 장봉기 "Usefulness of Capute and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in the Cerebral Palsy in Developmental Delayed Infan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4.3 pp.1-16 (2006) : 1.
임성오, 장봉기. Usefulness of Capute and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in the Cerebral Palsy in Developmental Delayed Infant. 2006; 14(3), 1-16.
임성오 and 장봉기. "Usefulness of Capute and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in the Cerebral Palsy in Developmental Delayed Infan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4, no.3 (2006) : 1-16.
임성오; 장봉기. Usefulness of Capute and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in the Cerebral Palsy in Developmental Delayed Infan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4(3), 1-16.
임성오; 장봉기. Usefulness of Capute and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in the Cerebral Palsy in Developmental Delayed Infan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006; 14(3) 1-16.
임성오, 장봉기. Usefulness of Capute and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in the Cerebral Palsy in Developmental Delayed Infant. 2006; 14(3), 1-16.
임성오 and 장봉기. "Usefulness of Capute and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in the Cerebral Palsy in Developmental Delayed Infan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4, no.3 (2006) :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