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The Meanings of "MAI" in Modern Japanese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6, (15), pp.9-24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KIM, YANGSUN 1

1영남대학교

Accredited

ABSTRACT

본고에서는 ‘부정’ ‘추량’ ‘확인’ ‘의지’ ‘근거(강·약)’의 5가지를 기준으로 문장체와 회화체에서의 각각의 ‘まい’의 용례를 수집 분석하여 그 의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문장체에서의 ‘まい’는 ①확신적 부정추량 ②단순부정추량·혼잣말 ③ 결심·기원 ④강조(±비아냥) ⑤부정(관용적 표현)의 의미로 사용되는 반면, 회화체에서의 ‘まい’는 ①확신적 부정추량 ②단순부정추량·혼잣말·확인요구 ③결심·명령 ④강조(+비아냥) ⑤부정(관용적 표현)의 의미를 나타낸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이렇게 다양한 ‘まい’의 의미사용시 전제되어야 할 인칭적 제한과 공기(共起) 가능한 문형이 무엇인가도 파악해보았다. 이상의 본고의 연구결과는 다음의 2가지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즉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달리 회화체에서도 ‘まい’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는 점과, 문장체와 회화체의 문체적 차이에 의하여 ‘まい’도 역시 그 의미성분이 달라진다는 것을 입증했다는 점이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