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384259},
author={Choe Yun-young},
title={<楊州別山臺ノリ>を中心とする僧科場の登場人物と歴史的展開に関する小論 },
journal={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issn={1225-7729},
year={2009},
number={30},
pages={14-48},
doi={10.17938/tjkdat.2009..30.14}
TY - JOUR
AU - Choe Yun-young
TI - <楊州別山臺ノリ>を中心とする僧科場の登場人物と歴史的展開に関する小論
JO -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PY - 2009
VL - null
IS - 30
PB - The Learned Society Of Korean Drama And Theatre
SP - 14
EP - 48
SN - 1225-7729
AB - 이 연구는 <양주별산대놀이>에 등장하는 ‘중’들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하고 이들의 역사적 전개양상을 짚어보는데 있다. 이로써 <양주별산대놀이>의 성립배경인 산대 및 궁중 산대놀이와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양주별산대를 위시해 현전 산대놀이의 전통은 궁중 산대놀이를 답습한 것으로서 인조 즉위년(1623) 산대조설 폐지에 힘입은 바 크다. 산대조설 금지가 민간의 산대놀이패들을 탄생시키는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산대놀이패 중에서 애오개(아현)산대놀이패는 <양주별산대놀이> 형성에 절대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특히 <양주별산대놀이>는 중들의 출연이 특색을 이룬다. 대부분의 놀이마당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가면의 수도 과반수이상을 차지하는 까닭이다. 노장스님을 비롯하여 목중, 상좌, 옴중, 완보 등은 그 대표적 인물들이다. 무엇보다 양주산대 놀이마당 중에서 노장과장과 팔목중과장은 다른 과장들에 비해 세부적인 놀이들로 짜여져 <양주별산대놀이>의 극적 구성을 다채롭게 하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다. 양주별산대의 등장인물들은 자신의 성격을 구축하기 위해 가면, 의상, 소품, 춤, 묵극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완보의 관과 꽹과리, 옴중의 벙거지와 막대기 및 제금에서와 같이, 소품과 의상 등이 등장인물 상호간의 극적 행동창출을 위한 동기를 부여해주고 있다.
이와 같이 <양주별산대놀이>에 중들의 등장이 현저한 것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른바 ‘거사’ 및 ‘사당’이라 불리어졌던 무리들의 증가와 이들이 일삼았던 온갖 폐행들이 놀이로 승화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현전하는 봉산탈춤 제3과장 사당춤에서 사당과 거사가 나와 놀량 사거리를 합창하는 장면 및 양주별산대의 애사당 법고놀이마당에 등장하는 애사당과 직결되는 이유이다. 즉 거사와 사당의 행보가 오늘날 가면극 놀이판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또 다른 요인으로 궁중 산대놀이에 조설되었던 산대의 전통 중, 침향산에 진설되었던 중인형을 꼽을 수 있다. 침향산은 산대조설의 대미를 장식했던 것으로, <양주별산대놀이> 형성에 결정적 역할을 했던 애오개본산대 놀이꾼들이 궁중 산대놀이의 연희자로 활약했을 당시 답습했던 산대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이 침향산대의 유풍을 기억하고 이를 모방하여 놀이판에 구현하였을 뿐만 아니라, 당시 사회 문제점으로 지적된 거사들의 일상을 골계적 놀이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이다.
KW -
DO - 10.17938/tjkdat.2009..30.14
ER -
Choe Yun-young. (2009). <楊州別山臺ノリ>を中心とする僧科場の登場人物と歴史的展開に関する小論 .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30, 14-48.
Choe Yun-young. 2009, "<楊州別山臺ノリ>を中心とする僧科場の登場人物と歴史的展開に関する小論 ",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no.30, pp.14-48. Available from: doi:10.17938/tjkdat.2009..30.14
Choe Yun-young "<楊州別山臺ノリ>を中心とする僧科場の登場人物と歴史的展開に関する小論 "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30 pp.14-48 (2009) : 14.
Choe Yun-young. <楊州別山臺ノリ>を中心とする僧科場の登場人物と歴史的展開に関する小論 . 2009; 30 : 14-48. Available from: doi:10.17938/tjkdat.2009..30.14
Choe Yun-young. "<楊州別山臺ノリ>を中心とする僧科場の登場人物と歴史的展開に関する小論 "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no.30(2009) : 14-48.doi: 10.17938/tjkdat.2009..30.14
Choe Yun-young. <楊州別山臺ノリ>を中心とする僧科場の登場人物と歴史的展開に関する小論 .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30, 14-48. doi: 10.17938/tjkdat.2009..30.14
Choe Yun-young. <楊州別山臺ノリ>を中心とする僧科場の登場人物と歴史的展開に関する小論 .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2009; 30 14-48. doi: 10.17938/tjkdat.2009..30.14
Choe Yun-young. <楊州別山臺ノリ>を中心とする僧科場の登場人物と歴史的展開に関する小論 . 2009; 30 : 14-48. Available from: doi:10.17938/tjkdat.2009..30.14
Choe Yun-young. "<楊州別山臺ノリ>を中心とする僧科場の登場人物と歴史的展開に関する小論 "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no.30(2009) : 14-48.doi: 10.17938/tjkdat.2009..3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