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식민의 시대, 애도의 드라마 -<경성 스캔들>을 중심으로-

Colonial Period and the Drama of Mourning -Focusing on the <Gyeongseong Scandal>-

  • 한국극예술연구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 2013, (41), pp.345~378
  • DOI : 10.17938/tjkdat.2013..41.345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The Learned Society Of Korean Drama And Theatre)
  •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기타예술체육

문경연(Moon, Kyoung-Yeon) 1

1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KCI 등재

초록

TV 드라마 <경성 스캔들> 은 2000년대에 식민지 경성의 시공간을 재현의 질료삼아 생산되었던 다수의 대중문화 콘텐츠들과 동일하게 1930년대의 모던한 풍속과 근대적 풍경을 스펙터클하게 재현했다. 그러나 이 작품은 1930년대라는 시대극적 포맷을 빌려와 풍속사적 외장을 입히고 엄청난 자본과 테크놀로지를 활용했음에도 결과적으로 문화계와 수용자들로부터 고평받지 못했던 동시기 작품들과는 변별되는 특이점을 가지고 있다. 바로 그 특이점을 규명하는 것이 본고의 연구목적이다. 역사의 무게감과 부담스러운 고증의 압박을 떨쳐버린 <경성 스캔들>의 드라마적 욕망은 공적 대의와 시대적 공분(公憤)을 유머 코드와 적절히 결합시켰고 사적 감정과 개인의 일상을 부각시켰다. 그런데 <경성 스캔들>에서 모던의 기표로 세팅된 주인공들은 모두 사랑하는 사람들의 죽음을 애도할 수 없었던 식민 현실에서 ‘자기연민’과 ‘우울증’이라는 심리적 외상을 가지고 있다. 조국해방을 통해서만이 자기 해방을 이룰 수 있었던 식민지 젊은이들의 부채의식과 죄책감, ‘위장’이라는 생존 전술과 ‘애도’없는 처벌의 삶을 드러낸 이 작품은, 식민 시기의 역사적 사건과 죽음들, 인간적 가치와 이상의 상실을 애도하는 드라마라고 할 수 있다. 즉 이 작품의 특징은 심리적이고 감정적인 메커니즘으로서의 애도의 기제를 통해 식민시기 혁명운동에 투신했던 젊은이들의 삶을 재현한 점이다. 본고는 복고취향의 풍속연구나 대중의 취향에 맞춘 퓨전 시대극의 부박함을 비판적으로 보는 기존의 시각에 대해 이 작품이 맞서고 있는 지점, 즉 식민지 근대를 관통하는 애도와 우울의 정서를 해명하고 서사 구조 안에서 시도되는 애도의 수행성을 고찰했다.

Behind the rise of so-called "Gyeongseong-trends" or "Gyeongseong-boom" during the mid-2000s Korean pop culture scene, there were active endeavors of the academic and publishing world that tried to examine the cultural genesis and historical agents from the perspective that viewe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the time when Korean modernity originated. Like many other pop culture contents in the 2000s, that used the time and space of colonial Gyeongseong [Seoul] as their material for dramatization, the <Gyeongseong Scandal> a 2007 television drama series, offered a spectacular representation of the modern custom and landscapes of the 1930s’ Seoul. However, what was distinct about this TV series was the melancholy sentiment of the colonial people and the grieving process represented in it. <Gyeongseong Scandal> was presented as a "fusion" period drama, in its positive sense, to appeal to the public, but beneath its superficial cheerfulness, humor and lightness, there lied a deep well of loss and mourning. This series demonstrated the sense of indebtedness and guilt, the survival tactics of "disguise" that the colonial youth possessed, which, in turn, allowed them to achieve their liberation only through the national liberation, and also the life of punishment for those who had been deprived of their rights to grieve. It was mourning the historical events, deaths, and the loss of humane values and ideals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the characters, through this mourning process, recognized the dearth caused by such loss. The pursuit of desires that was initiated by the dearth, then, proceeded to the performativity of grieving, which constructed the new historical agen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anners in which the drama of grief was dramatized and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ramatic narrative.

인용현황

* 2024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