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2631585},
author={Moon KyoungYeon},
title={The performativity and senses produced by newspapers as a modern space between 1894 and 1910)},
journal={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issn={1225-7729},
year={2020},
number={69},
pages={215-226},
doi={10.17938/tjkdat.2020..69.215}
TY - JOUR
AU - Moon KyoungYeon
TI - The performativity and senses produced by newspapers as a modern space between 1894 and 1910)
JO -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PY - 2020
VL - null
IS - 69
PB - The Learned Society Of Korean Drama And Theatre
SP - 215
EP - 226
SN - 1225-7729
AB - 『근대계몽기 신문 텍스트의 연행성 연구』는 1894년 이후부터 1910년 까지 근대계몽기 신문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 <제국신문>, <대한민보> 등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신문의 공간적 실천 전략을 연구했다. 저자는 신문을 사회적 공간으로 상정하고 신문 텍스트의 소통방식과 소통의 상호작용을 고찰했다. 이 책에서 저자가 지시하는 신문의 ‘연행 텍스트’는 일단 당대 연희 마당과 연극장, 연극개량 등을 주제로 한 기사들이다. 여기에 신문에 실린 기사 장르로서의 논설, 시사평론, 독자투고, 잡보, 광고, 소설 등이 연행적인(performative) 방식의 글쓰기를 활용할 때 이것들을 ‘연행 텍스트’의 범주에 포함시켰다. 저자는 핵심 키워드인 ‘연행성’을 서술함에 있어 전근대 사회의 전통연희적 속성을 호출하지만, 동시에 연극이 생성하는 역동성과 상황으로서의 예술 과정에 주목하는 현대 예술의 ‘연행성’ 개념을 교차·적용한다. 이 연구서가 갖는 가장 큰 미덕은 근대계몽기에 여전히 잔류하고 있었던 전근대적 연희와 당대 근대 신문 텍스트에서 ‘연행성’이라는 극적 소통구조를 포착하고 이를 연속적인 시각에서 통찰한 점이다. 이 연구의 성과는 근대계몽기 신문에 실린 연희와 연극(장)담론에서 타자화 되었던 당대 연행 주체와 연희 환경의 수행적 지각 방식을 복원한 것에 있다고 본다.
KW -
DO - 10.17938/tjkdat.2020..69.215
ER -
Moon KyoungYeon. (2020). The performativity and senses produced by newspapers as a modern space between 1894 and 1910).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69, 215-226.
Moon KyoungYeon. 2020, "The performativity and senses produced by newspapers as a modern space between 1894 and 1910)",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no.69, pp.215-226. Available from: doi:10.17938/tjkdat.2020..69.215
Moon KyoungYeon "The performativity and senses produced by newspapers as a modern space between 1894 and 1910)"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69 pp.215-226 (2020) : 215.
Moon KyoungYeon. The performativity and senses produced by newspapers as a modern space between 1894 and 1910). 2020; 69 : 215-226. Available from: doi:10.17938/tjkdat.2020..69.215
Moon KyoungYeon. "The performativity and senses produced by newspapers as a modern space between 1894 and 1910)"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no.69(2020) : 215-226.doi: 10.17938/tjkdat.2020..69.215
Moon KyoungYeon. The performativity and senses produced by newspapers as a modern space between 1894 and 1910).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69, 215-226. doi: 10.17938/tjkdat.2020..69.215
Moon KyoungYeon. The performativity and senses produced by newspapers as a modern space between 1894 and 1910).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2020; 69 215-226. doi: 10.17938/tjkdat.2020..69.215
Moon KyoungYeon. The performativity and senses produced by newspapers as a modern space between 1894 and 1910). 2020; 69 : 215-226. Available from: doi:10.17938/tjkdat.2020..69.215
Moon KyoungYeon. "The performativity and senses produced by newspapers as a modern space between 1894 and 1910)"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no.69(2020) : 215-226.doi: 10.17938/tjkdat.2020..69.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