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2663423},
author={송미경},
title={One of the Major Contributions in the Field of Korean Discography Focusing on Korean Phonograph Records},
journal={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issn={1225-7729},
year={2020},
number={70},
pages={103-113},
doi={10.17938/tjkdat.2020..70.103}
TY - JOUR
AU - 송미경
TI - One of the Major Contributions in the Field of Korean Discography Focusing on Korean Phonograph Records
JO -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PY - 2020
VL - null
IS - 70
PB - The Learned Society Of Korean Drama And Theatre
SP - 103
EP - 113
SN - 1225-7729
AB - 배연형의 『한국 유성기음반 문화사』는 1897년부터 1945년 사이 한국의 유성기와 유성기음반, 그리고 이것을 둘러싸고 벌어진 문화적 현상의 전모를 담아낸 책이다. ‘제1부. 한국 유성기음반의 역사’, ‘제2부. 유성기음반과 사회’, ‘제3부. 유성기음반 시대의 음악’의 전체 3부로 구성된 이 책에는 해당 시기 한국 유성기음반에 관한 거의 모든 것이 총망라되어 있으며, 방대한 분량의 한국 유성기음반 관련 시각자료와 문헌 기록을 한 자리에 집대성했다는 의미도 있다.
이 책에서 한국 유성기음반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고 분석한 이론적, 방법론적 토대가 된 것은 이른바 ‘음반문헌학’이다. 이는 저자가 30여 년 전 발표한 「한국음악의 음반문헌학(Discogrophy) 서설(1)」을 통해 학계에 처음 제기된 개념으로, 후에 ‘음반 문헌 연구’, ‘과학 기술적 연구’, ‘음반의 내용 연구’, ‘파생적 연구’ 등으로 다시 구체화였다. 『한국 유성기음반 문화사』는 이러한 방법론을 발전적으로 아우른, 음반문헌학적 연구의 훌륭한 결실이다.
저자가 시도한 것은 한국 유성기음반에 관한 사적 고찰로서의 음반문헌학 연구로, 음반사적 접근, 문화사적 접근, 음악사적 접근이 차례로 논의의 중심에 놓인다. 제1부 ‘한국 유성기음반의 역사’에서는 ‘음반 문헌 연구’를 주요한 방법론, ‘과학 기술적 연구’를 보조적인 방법론으로 삼아 한국 유성기음반사를 구축․정립하였으며, ‘제2부 유성기음반과 사회’에서는 한국 유성기음반을 둘러싼 제 현상을 문화사, 특히 대중문화사적 관점에서 풀어냈다. ‘제3부 유성기음반 시대의 음악’은 ‘음반 문헌 연구’에 따른 성과를 토대로 ‘음반의 내용 연구’를 본격화한 논의인데, 특히 3장 ‘판소리와 창극, 가야금병창’에는 그동안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연구 업적을 이뤄온 저자의 내공이 유감없이 발휘되어 있다.
한편 저자가 이 책을 마무리하며 힘주어 강조하는 것은 시대적 과제로서의 유성기음반 공공화이다. 그리고 『한국 유성기음반 문화사』가 이룩한 음반문헌학적 연구의 성취는, 음반의 연구와 음반의 수집․활용이 별개의 문제가 아님을, 어느 것이 더 중요하고 덜 중요한 문제가 아님을 설득력 있게 보여 준다.
KW -
DO - 10.17938/tjkdat.2020..70.103
ER -
송미경. (2020). One of the Major Contributions in the Field of Korean Discography Focusing on Korean Phonograph Records.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70, 103-113.
송미경. 2020, "One of the Major Contributions in the Field of Korean Discography Focusing on Korean Phonograph Records",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no.70, pp.103-113. Available from: doi:10.17938/tjkdat.2020..70.103
송미경 "One of the Major Contributions in the Field of Korean Discography Focusing on Korean Phonograph Records"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70 pp.103-113 (2020) : 103.
송미경. One of the Major Contributions in the Field of Korean Discography Focusing on Korean Phonograph Records. 2020; 70 : 103-113. Available from: doi:10.17938/tjkdat.2020..70.103
송미경. "One of the Major Contributions in the Field of Korean Discography Focusing on Korean Phonograph Records"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no.70(2020) : 103-113.doi: 10.17938/tjkdat.2020..70.103
송미경. One of the Major Contributions in the Field of Korean Discography Focusing on Korean Phonograph Records.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70, 103-113. doi: 10.17938/tjkdat.2020..70.103
송미경. One of the Major Contributions in the Field of Korean Discography Focusing on Korean Phonograph Records.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2020; 70 103-113. doi: 10.17938/tjkdat.2020..70.103
송미경. One of the Major Contributions in the Field of Korean Discography Focusing on Korean Phonograph Records. 2020; 70 : 103-113. Available from: doi:10.17938/tjkdat.2020..70.103
송미경. "One of the Major Contributions in the Field of Korean Discography Focusing on Korean Phonograph Records"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no.70(2020) : 103-113.doi: 10.17938/tjkdat.2020..7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