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고 작성
- 1) 원고 작성은 한글 전용을 원칙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 외국어도 가능하다.
- 2) 원고 작성은 한글 워드프로세서(HWP)로 작성하여 홈페이지(http://krel.or.kr/)에 파일로 투고한다. 한글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는 외국인의 경우, MS Word로 제출할 수 있다.
2. 원고의 체제
- 1) 원고는 한글제목, 필자이름과 소속(및 직위), 한글요약과 주제어, 본문 및 각주, 영문제목, 영문필자이름과 소속(및 직위), 영문(외국어)요약과 영문주제어, 참고문헌, 표, 그림, 부록 순서로 구성한다. 단, 원고의 성격에 따라 참고문헌을 생략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감사의 말이나 연구비 수령 사실을 기재한다.
- 2) 원고 본문의 장, 절, 항 등의 번호는 로마자(Ⅰ,Ⅱ,Ⅲ, 등), 아라비아 숫자(1, 2, 3 등), 반괄호 속의 수[1), 2) 등], 괄호 속의 수[(1), (2) 등]의 순서로 매긴다.(Ⅰ→1→1)→(1)→가→가) 등의 순서) 표 및 그림은 <표1>, <그림1> 등으로 순서를 매겨 간략한 제목과 함께 하단에 표시하며 필요한 경우 그 출처를 밝히도록 한다.
- 3) 한자 및 외국어 사용이 불가피한 경우,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고 괄호 속에 한자나 원어를 부기한다.
- - 여러 번 되풀이되는 단어의 경우 첫 번째 단어에 한하여 부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 외국 학자의 이름을 언급할 때 처음에만 한자 또는 알파벳으로 이름과 성(Full Name)을 괄호 속에 병기한다.
- - 영문 약어는 그대로 사용하되, 처음 나오는 곳에 괄호를 사용, 전체 이름을 밝혀준다.
- - 본문 중에서 고전적의 한자 원문을 인용 제시하고자 할 때는, 번역문을 한자 원문과 함께 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분량
원고 분량은 논문의 경우 영문초록, 참고문헌, 부록 등을 모두 합하여 A4용지 10-15매 내외, 서평의 경우 5-6매 내외, 기타 원고의 경우 10매 이내로 한다.
4. 문장부호 및 주석, 참고문헌 표기법
- 1) 글자크기 : 본문 10p, 각주 9p, 인용문단 9p
- 2) 인용 및 강조의 표시
- ① 인용부호: “ ” 인용 안의 재인용: ‘ ’ 강조부호: ‘ ’
- ② 한자 및 기타 언어 부기시 인용부호 안에 ( )로 표기 ‘종교(宗敎)’, ‘종교(religion)’
- 3) 출판물(논저)의 표시
- ① 국내, 중국, 일본문헌
논문, 신문기사, 잡지의 글, 학위논문: 「 」
신문, 잡지 : 《 》
논문집, 단행본, 사료집 : 『 』 - ② 서양 문헌
단행본, 논문집, 전집, 신문, 잡지: 이탤릭체로
신문기사, 논문, 잡지의 글: “ ” - ③ 한자 및 기타 언어 부기시 인용부호 안에 ( )로 표기 『논어(論語)』
- 4) 주석은 각주로 하며, 원칙적으로 다음의 형식을 따른다.
- ① 논저 인용, 자료 주, 설명 주는 모두 각주로 처리한다.
- ② 각주번호의 위치 : 쉼표 앞, 마침표 뒤(~하고각주, ~한다.각주)
- ③ 한글 및 한자어로 된 논저의 ‘p’, ‘pp’, ‘면’ 등은 모두 ‘쪽’으로 통일한다. 서양어로 된 논저에서는 ‘p.’, ‘pp.’ 사용.
- ④ 쪽수를 표시할 때는 ‘~’ 대신 ‘-’를 사용한다.
정진홍, 1980, 『종교학서설』, 전망사, 33-36쪽. - ⑤ 국내 도서의 경우, 발행 지역명은 생략한다.
류병덕, 1985, 『한국민중종교사상론』, 시인사, 42-46쪽. - ⑥ 공동저자가 2인일 경우에는 저자를 모두 표기하되, 3인 이상일 경우, ‘○○○ 외’ 로 표기한다.
- ⑦ 두 개 이상의 다른 저서를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을 사용하여 구분하며, 동일 저자의 다른 저서라도 저자를 다시 명기한다.
- ⑧ 미간행 논문 혹은 학술대회 발표 논문일 경우, 논문 집필 기준에 준하되 기관, 장소 및 날짜를 기재한다.
- ⑨ 재인용 표기
- 가. 앞에 나온 논저를 다시 인용할 경우, 저자(발행연도)를 표기하고, “앞의 논문”, “앞의 책”으로 표기 : 앞의 책, 77-78쪽; 앞의 글, 11-112쪽, 서양문헌은 Ibid. p. 27.
- 나. 앞에서 인용한 자료를 뒤에서 다시 인용할 경우
국내문헌이나 중국, 일본 문헌: 정진홍, 앞의 책, 58쪽; 서영대, 앞의 글, 109쪽.
서양문헌: Roland Robertson, op. cit., pp. 25-28. 단, 같은 저자의 같은 해 논저가 여럿일 경우, ‘(발행연도a), (발행연도b)’ 등의 기호로 구분한다. 예) 홍길동(2008a), 앞의 책, 43쪽.
- ⑩ 국내(한자권) 도서의 표기 : 『 』(겹낫표)
- 예) 박광수, 2013, 『한국신종교의 사상과 종교문화』, 70-71쪽.
- ⑪ 번역서의 표기
- 예) 뤽 브느와(Luc Benois), 윤정선 옮김, 1988, 『징표․상징․신화』, 탐구당, 33쪽.
- ⑫ 해외도서(잡지 포함)의 표기 : 이탤릭
- 예) Max Weber, 1978, Economy and Society : An Outline of Interpretive Sociology, LA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4.
- ⑬ 서양문헌 중 정간물(신문포함)
Andrea Campana, 1998, “History and the Issue of Korean Unification,”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 1, Songnam: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pp. 196-198. - ⑭ 번역서
William E. Paden, 1993Interpreting The Sacred: Ways of Viewing Religion, Boston: Beacon Press ;『성스러움의 해석: 종교를 읽는 여러 가지 방법』, 이민용 옮김, 2005, 청년사, 20쪽. - ⑮ 단순히 인용 자료만을 나타내는 각주는 저자명(연도: 쪽수)의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홍길동(1999:148-155). 또한 동일한 저자에 의해 같은 연도에 발표된 다른 자료를 인용할 때는 로마자 소문자를 이용해서 구분한다. 이 경우 참고문헌에서도 연도 다음에 로마자 소문자를 같이 표기한다. 홍길동(2000a: 21-35). 홍길동(2000b: 34-38.)
- ⑯ 논문의 경우, 국내(한자권) 논문 : 「 」(낫표), 해외논문 : “ ”
도서 예) 김경재, 1984, 「최수운의 신 개념」, 이현희 편, 『동학사상과 동학혁명』, 청아출판사, 52쪽.
정간물 예) 윤이흠, 「동양의 종교학, 그 어제와 오늘」, 『종교연구』 20집 (2000 여름), 57-74쪽.
신문 잡지 예) 홍길동, 「한국학의 전산화」, 『월간한국』 1992년 10월호, 423쪽.
학술대회자료 예) 홍길동, 「한국근대사와 여성」, 제20회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발표회(한국학중앙연구원, 2001.12.23), 34쪽.
학위논문 예) 강영한, 『한국 근대 신종교운동의 성격과 사회변동』, 경북대 박사학위논문(1994), 180-181쪽.
해외논문 예) Jay Barney, “The Resource-Based Theory of the Firm,” Organization Science, 7(1996). - ⑰ 참고문헌 표기 순서: 저서와 논문은 구분 없이 같이 묶어서 정리하며, ‘알파벳 순서’ 내지는 ‘한글 발음’ 순서대로 정렬한다.
- 가. 원전:
- 예1 편저자 없는 경우:『마누법전』, 이재숙․이광수 옮김, 한길사, 1999.
- 예2 위원회의 경우: 대종교 종경 편수위원회, 『대종교경전』, 대종교출판사, 2002.
- 나. 국문 저서 및 논문 (원문표기 없는 번역서는 국문 저서로 취급하여 배치)
- 다. 영문 저서 및 논문 (불문 독문 등 알파벳 사용 언어 모두 포함)
- 라. 중문 저서 및 논문
- 마. 일문 저서 및 논문
- 5) 참고문헌 정리
- ① 참고문헌은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된 모든 문헌정보를 수록하되,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저자가 표기한 논문은 포함시킨다.
- ② 각 참고문헌은 한국어, 중문, 일문, 영문, 유럽어 순으로 표기한다. 한국어 및 영문의 경우 가나다 혹은 ABC 순으로 정렬한다.
- ③ 원문 및 기초사료, 단행본, 논문, 신문, 홈페이지 주소(‘http://’ 생략), 기타 자료 순으로 정렬하되 최근 발행년도 순으로 한다.
- ④ 참고논저의 끝에는 방점(.)을 찍는다.
- ⑤ 논문을 참고한 경우, 그 논문이 게재된 게재지의 쪽수(한글), pp.(영문)를 반드시 기재한다.
- ⑥ 각주와 참고문헌의 표기 구분
| 각주 | 참고문헌 |
쪽수 | 인용 쪽수 기재 | 정간물만 기재함 |
서양서 저자명 | 이름 성 예) Max Weber | 성, 이름 예) Weber, Ma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