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200362},
author={박승현},
title={Mengzi's Morality of Autonomy},
journal={Philosophical Investigation},
issn={1598-7213},
year={2007},
volume={22},
pages={35-66},
doi={10.33156/philos.2007.22..002}
TY - JOUR
AU - 박승현
TI - Mengzi's Morality of Autonomy
JO - Philosophical Investigation
PY - 2007
VL - 22
IS - null
PB - Institute of philosophy in Chung-Ang Univ.
SP - 35
EP - 66
SN - 1598-7213
AB - 본 논문은 칸트의 철학적 이론과 개념을 빌어 맹자 철학을 현대적 용어로 분석하고, 그의 철학적 문제의식을 보다 분명하게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도되었다. 칸트와 맹자는 공통적으로 도덕성의 확보를 통한 인간의 존엄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주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바로 이 점에서 맹자와 칸트의 회통의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性善論’을 이론적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性善’의 관점을 바탕으로 맹자철학을 칸트의 윤리학의 용어를 빌어 와서 ‘자율도덕’이라고 정의를 내린다. 그리고 칸트가 말한 ‘의지의 자율’과 맹자가 말한 ‘四端之心’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되어질 수 있다. 칸트 도덕철학의 특징을 드러내는 ‘도덕의 절대성’, ‘심성윤리’, ‘형식주의 윤리학’, ‘도덕의 보편성’의 원칙에 맹자가 제시하는 ‘不忍人之心’, ‘存心’, ‘本心’, ‘仁義內在’, ‘天爵’의 개념이 서로 부합함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볼 때 우리는 맹자의 도덕철학을 자율도덕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맹자철학의 현대적 의미를 보다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다.
KW -
DO - 10.33156/philos.2007.22..002
ER -
박승현. (2007). Mengzi's Morality of Autonomy. Philosophical Investigation, 22, 35-66.
박승현. 2007, "Mengzi's Morality of Autonomy", Philosophical Investigation, vol.22, pp.35-66. Available from: doi:10.33156/philos.2007.22..002
박승현 "Mengzi's Morality of Autonomy" Philosophical Investigation 22 pp.35-66 (2007) : 35.
박승현. Mengzi's Morality of Autonomy. 2007; 22 35-66. Available from: doi:10.33156/philos.2007.22..002
박승현. "Mengzi's Morality of Autonomy" Philosophical Investigation 22(2007) : 35-66.doi: 10.33156/philos.2007.22..002
박승현. Mengzi's Morality of Autonomy. Philosophical Investigation, 22, 35-66. doi: 10.33156/philos.2007.22..002
박승현. Mengzi's Morality of Autonomy. Philosophical Investigation. 2007; 22 35-66. doi: 10.33156/philos.2007.22..002
박승현. Mengzi's Morality of Autonomy. 2007; 22 35-66. Available from: doi:10.33156/philos.2007.22..002
박승현. "Mengzi's Morality of Autonomy" Philosophical Investigation 22(2007) : 35-66.doi: 10.33156/philos.2007.2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