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osophical Investigation 2023 KCI Impact Factor : 0.41
-
pISSN : 1598-7213 / eISSN : 2671-7565
- https://journal.kci.go.kr/philinst
pISSN : 1598-7213 / eISSN : 2671-7565
1) 심사 절차
(1) 원고가 마감되면 편집위원장은 논문 투고자의 인적사항을 삭제한 심사용 논문 및 논문의 목록을 작성하여 편집위원회에 회부한다.
(2) 논문 1편당 3인의 심사위원을 위촉한다. 심사위원의 위촉은 편집위원회에서 정한다.
(3) 논문심사의 의뢰 시 논문 투고자의 이름과 소속 등 일체의 인적사항을 알 수 없도록 삭제한다.
(4) 편집위원장과 편집간사는 심사논문 1부를 각각 보관하고, 심사위원들에게 심사용 논문 1부와 심사평가서 양식을 발송한다.
(5) 심사위원들은 심사를 의뢰 받은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그 결과를 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 JAMS에 업로드한다. 편집간사는 수합한 평가서를 정리하고 종합하여 목록을 작성한다.
(6) 목록 작성 후 편집위원장은 편집위원회를 열어 게재논문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게재 논문의 선정을 결정한다.
(7) 게재 여부 및 수정 지시사항을 투고자들에게 즉시 통보한다.
2) 심사 규정
(1) 각 논문의 심사위원은 심사의뢰서에 근거하여 논문을 심사하고, 소정의 ‘심사결과 보고서’에 종합판정을 내린다. 이때 심사위원은 판정의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하며, 수정을 제의하는 경우에는 수정할 부분과 방향을 구체적으로 명기해야 한다.
(2) 심사위원에게는 1인당 2만원의 심사료를 지불한다.
(3) 논문의 심사는 개별 영역 평가와 종합 평가로 구성된다.
(4) 논문심사의 개별 영역은 다음과 같다.
① 연구윤리 준수 여부
② 연구주제의 독창성
③ 연구주제의 명확성과 방법의 적정성
④ 참고문헌의 활용도 및 인용의 적절성
⑤ 학술적 가치 및 완성도(논문의 질적 수준)
⑥ 학회지 투고 규정의 준수 여부
(5) 종합평가는 개별 영역 평가를 근거로 심사위원이 ‘게재 가’, ‘수정 후 게재’, ‘게재 불가’의 3등급으로 평가한다.
(6) 논문의 게재는 ‘게재 가’와 ‘수정 후 게재’ 판정을 받은 논문만 게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게재논문 선정 규정 세부사항 참조)
(7) ‘게재 가’ 판정을 받은 논문은 수정 없이 바로 게재할 수 있다. ‘수정 후 게재’ 판정을 받은 논문은 편집에 들어가기 전 수정 이행여부를 확인하고 게재 여부를 결정한다.
(8) 게재한 논문의 수가 많아 당 호에 모두 게재할 수 없을 시에는 편집위원회에서 ‘게재가’, ‘수정 후 게재가’ 등의 순위를 매겨 당 호 및 다음 호 게재 여부를 최종 결정하도록 한다.
(9) 심사의견 및 수정제의 사항은 구체적이고도 상세하게 작성하고, 종합평가 등급은 세부항목의 평가를 종합한 성적과 일치해야 한다. 게재불가의 경우 그 사유를 심사평가서에 설득력 있게 기재해야 한다.
(10) 편집위원장은 모든 투고자에게 최종 심사결과를 통보해준다.
3) 게재논문 선정 규정 세부사항
(1) 게재가
다음의 경우 게재 가로 처리한다.
- 게재 가 3인
- 게재 가 2인과 수정 후 게재 1인
(2) 수정 후 게재
다음의 경우 수정 후 게재로 처리한다.
- 게재 가 1인과 수정 후 게재 2인
- 수정 후 게재 3인
편집위원회는 수정 사항을 확인·검토 후 게재 처리한다.
(3) 수정 후 재심사 (제 4 심사자 또는 편집위원회 심의)
게재 불가 1인이 포함된 모든 심사 결과에 대해서는 수정 후 재심사를 원칙으로 한다. 재심사 및 해당 논문의 게재는 편집부의 상황과 투고자 의사를 고려하여 당호 또는 다음 호에 처리한다.
(4) 게재 불가
게재 불가 2인 이상인 경우 게재 불가로 처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