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258852},
author={Choo,Chui-Lan},
title={Usage of "能(可以)V" "V得/不C" "V(A)得/不了“ ”V(A)不得“and Teaching Methodology},
journal={Cross-Cultural Studies},
issn={1598-0685},
year={2007},
volume={11},
number={2},
pages={127-148},
doi={10.21049/ccs.2007.11.2.127}
TY - JOUR
AU - Choo,Chui-Lan
TI - Usage of "能(可以)V" "V得/不C" "V(A)得/不了“ ”V(A)不得“and Teaching Methodology
JO - Cross-Cultural Studies
PY - 2007
VL - 11
IS - 2
PB - Center for Cross Culture Studies
SP - 127
EP - 148
SN - 1598-0685
AB - 본고는 능원동사 “能(可以)” 과 가능보어가 가능 의미를 나타낼 때의 의미와 어법적인 차이를 탐구하여 그 용법차이를 이해하고, 아울러 교학상의 난점을 해결함으로써 중국어 교학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能、可以” 와 가능보어에 대한 의미적, 어법적인 비교 분석결과, 둘은 중국어 가능의미를 나타낼 때 모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다음과 같은 가능의미를 나타낸다. 1)주관적으로 어떤 능력을 지니거나, 주관적인 조건이 어떤 기능이나 목표 실현을 허용함을 나타낸다. 2)어떤 객관적인 조건을 가지고 있거나, 객관적인 조건이 어떤 동작이 실현되는 것을 허용함을 나타낸다. 3)주관적인 윤허와 객관적인 허락 등을 나타낸다.
“能”、“可以”와 가능보어는 1)과 2)상황에서는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대체적으로 통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能”, “可以”를 사용할 때는 주로 화자의 생각이나 주장을 나타내어 주장이나 주동성이 강하다. 이와 반대로 가능보어의 의미는 주로 가능한 일종의 사실을 설명하는데, 특히 부정용법일 때는 자주적일 수 없는 “원하지만 할 수 없는”의미를 지닌다. 반면 “不能V(C)”는 주로 “금지”의 어기를 지니기 때문에, “금지, 허락”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가능의미를 나타내기 위해서 부정형식의 가능보어는 비교적 “원하지만 할 수 없는” 가능 의미를 적절하게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더 자주 사용된다. 또한 일부 가능의미만 있는 가능보어는 형용사의 특성을 지녀 수식작용이 있으며, 이외에도 가능보어의 미완결성으로 인해 “把字句”와“被字句”에 사용될 수 없는데, 이것은 “能(可以)”의 용법과 매우 다른 점이다. 또 3)의 허락을 나타내는 상황일 때 “能(可以)”의 용법은 “V(A)不得”와 상응되는 이외에 다른 가능보어의 용법이 없으므로, 여기에서 가능보어의 용법이 허락을 표시하는 “V(A)不得”와 능력과 가능을 표시하는 “V(A)/不了”로 뚜렷하게 역할이 나누어짐을 알 수 있다. 더욱이 가능보어는 의미가 풍부하여 자체적으로 가능의 의미를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추측의미의 능원동사 “會、可能”의 의미 또한 포함한다. (“V(A)得/不了”의 어법의미를 참고) 또 “V得C”는 “能”과 연용하여 적극적인 생각이나 주장의 의미를 나타내므로 가능보어가 가능의미를 나타낼 때 더 많이 상용된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오류를 보면, 학생들이 가능의미의 용법을 나타낼 때 주로 능원동사를 사용하여, 가능보어나 “能+動補”식을 사용해야하는 곳에서 종종 오류를 범하는데, 그 원인은 보어의 용법과 의미가 능원동사보다 복잡하기 때문이다. 가능보어의 의미가 풍부하여 중국어 가능의미를 표현할 때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교학에서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으로, 본고의 가능의미 용법의 탐구와 교학적인 분석이 앞으로 중국어 현장에서 가르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KW -
DO - 10.21049/ccs.2007.11.2.127
ER -
Choo,Chui-Lan. (2007). Usage of "能(可以)V" "V得/不C" "V(A)得/不了“ ”V(A)不得“and Teaching Methodology. Cross-Cultural Studies, 11(2), 127-148.
Choo,Chui-Lan. 2007, "Usage of "能(可以)V" "V得/不C" "V(A)得/不了“ ”V(A)不得“and Teaching Methodology", Cross-Cultural Studies, vol.11, no.2 pp.127-148. Available from: doi:10.21049/ccs.2007.11.2.127
Choo,Chui-Lan "Usage of "能(可以)V" "V得/不C" "V(A)得/不了“ ”V(A)不得“and Teaching Methodology" Cross-Cultural Studies 11.2 pp.127-148 (2007) : 127.
Choo,Chui-Lan. Usage of "能(可以)V" "V得/不C" "V(A)得/不了“ ”V(A)不得“and Teaching Methodology. 2007; 11(2), 127-148. Available from: doi:10.21049/ccs.2007.11.2.127
Choo,Chui-Lan. "Usage of "能(可以)V" "V得/不C" "V(A)得/不了“ ”V(A)不得“and Teaching Methodology" Cross-Cultural Studies 11, no.2 (2007) : 127-148.doi: 10.21049/ccs.2007.11.2.127
Choo,Chui-Lan. Usage of "能(可以)V" "V得/不C" "V(A)得/不了“ ”V(A)不得“and Teaching Methodology. Cross-Cultural Studies, 11(2), 127-148. doi: 10.21049/ccs.2007.11.2.127
Choo,Chui-Lan. Usage of "能(可以)V" "V得/不C" "V(A)得/不了“ ”V(A)不得“and Teaching Methodology. Cross-Cultural Studies. 2007; 11(2) 127-148. doi: 10.21049/ccs.2007.11.2.127
Choo,Chui-Lan. Usage of "能(可以)V" "V得/不C" "V(A)得/不了“ ”V(A)不得“and Teaching Methodology. 2007; 11(2), 127-148. Available from: doi:10.21049/ccs.2007.11.2.127
Choo,Chui-Lan. "Usage of "能(可以)V" "V得/不C" "V(A)得/不了“ ”V(A)不得“and Teaching Methodology" Cross-Cultural Studies 11, no.2 (2007) : 127-148.doi: 10.21049/ccs.2007.11.2.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