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韓ㆍ中ㆍ日三國의 殉國에 관한 意識比較연구

김승일 1

1동아대학교

Candidate

ABSTRACT

중국인의 생사관은 불교로 대표되는 종교적 요인과 유교․도교로 대표되는 사상 철학적 요인의 영향 하에서 형성됐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중국인의 생사관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불교적 요인의 작용은 덜했다고 볼 수 있다. 불교적 요인은 현실적 관념에 영향을 주었다 기 보다는 내세적, 즉 죽음 이후의 관념에 많이 작용했고, 이에 비해 유교․도교적 요소는 절대적으로 중국인들의 생사관에 영향을 미쳤으니, 이러한 생사관은 이후 국가를 위해 희생하는 순국관념에도 큰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즉 중국인들의 순국관은 모두가 유교사상의 본질, 즉 최선을 다해 사는 삶이야말로 인덕의 가치를 추구하는 삶이라는 가치관을 그대로 의식화한 것이고, 그러한 이론적․정신적 구도 하에서 통치자들은 자신들의 이상을 실현시키기 위해 이들을 이용하였으며, 그러한 가운데 희생되는 이들에게 순국이라는 영예를 안겨주었던 것에 불과했다고 하겠다. 이에 비해 일본인들의 생사관에 영향을 준 것은 불교 쪽이다. 이는 幕府時代의 사회적 배경과 관계가 있는데, 막부시대의 武士道는‘죽는 것’으로 인식될 만큼 언제나 죽음에 대한 준비를 해야 했다. 이는 봉건적 관계 하에서 자신의 영주를 받들려면 생에 집착해서는 자신이 책임을 다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사고방식이 점점 강화되면서 죽음은 곧 자신의 책임이나 잘못을 면해주는 免罪符와 같은 것으로 생각되게 되었다. 이처럼 일본인들에게 있어서 죽음이 갖는 의미는, 첫째, 자신의 잘못을 죽음으로서 사죄한다는 의미가 있고, 둘째, 이 세상에서의 살 권리를 포기하는 것에 의해 책임을 다했다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셋째, 이 세상에서는 실패를 했지만, 내세에는 더 나아질 것이라고 기대하는 의미가 들어 있다고 정의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인들은 현세의 생활이 괴로우면 괴로울수록 사후의 세계에 대해 꿈과 희망을 갖고, 현세에서 아무런 희망을 느끼지 못할 때는 스스로 생명을 끊고 내세에서 행복을 기원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한국인들의 순국은 모두가 현실참여를 통해 자신의 목표를 성취코자 한 죽음이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대내적인 환경적 요소에서 생사관이 정립되었다 기 보다는, 대외적 요소의 비중이 더 컸다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한 가운데에서 전체 형세의 움직임을 조절하면서 그에 적응해 살아와야 했던 한국인은 언제나 피해의식 속에서 한스런 삶을 영위해야 했던 것이다. 그러다 보니 죽음에 대한 인식도 현실 탈피나 내세에 대한 기대 등을 생각하기도 전에, 하루하루를 어려움 속에서 인내하며 살아야 했던 한국인은 죽음조차도 한이 맺혀서 나타난 결과라고 인식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러한 최후 수단으로서의 죽음은 저항의식으로 승화되어, 역사적으로 그 수많은 침략과 수탈 속에서도 나라를 지켜왔고, 또한 오늘날의 부흥도 일으키는 근본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한국인들의 순국은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