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A Study on the Writing System of Chinese Letters in 「Mannyoshu」Ⅰ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6, (15), pp.153-170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이지수 1

1한국외국어대학교

Accredited

ABSTRACT

이 글에서는 正訓字의 添記字를 先行添記 後行添記 重複添記로 나누어서 그 성격을 살펴보았다. 正訓字의 先行後行添記字는 流動性을 가진 正訓字의 補讀을 수행하고 表記者의 의도대로 정확하게 의미를 전달하려는 表記意識에서 비롯되었다고 판단된다. 重複添記의 경우는 이러한 正訓字의 流動性의 고정하는 기능 이외에도 漢籍知識이 풍부한 일부 作者들이 새로운 正訓字를 도입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重複添記는 和語(やまとことば)로 正訓字表記를 하던 詩歌에 漢語의 대대적인 流入으로 일상의 正音字가 表記에 影響을 주어서 새로운 正訓字로서 反影된 것으로 推定된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