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초대면의 언어행동에 관한 한국, 중국, 일본, 호주 대학생의 대조연구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4, (11), pp.169-188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Hong, Min-Pyo 1

1계명대학교

Candidate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 일본, 중국, 호주의 대학생 1,172명(남자 499명, 여자 673명)을 대상으로 초대면의 질문이나 화제에 대한 반응을 국가별, 성별로 대조, 분석을 한 것으로(조사기간: 2004.3-2004.9),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이름에 대해서는 4개국 모두 아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고, 부모직업에 대해서는 모두 부정적인 반응을 보여 초대면의 화제로서 적절치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나이와 가족관계에 대해서는 중국인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반면, 한국인, 일본인, 호주인은 대체로 자연스러운 화제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테니스 가능 여부, 영어회화 가능 여부, 운전 가능여부, 스키장 등, 개인의 능력에 관한 반응을 본 결과, 일본인과 호주인(영어회화는 제외)은 대체로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데 비해, 한국인과 중국여자는 불쾌감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3)아르바이트와 해외여행 경험의 유무 등, 금전과 관련된 질문에 대해 한국인 남녀는 대단히 불쾌한 반응을 보인 반면, 일본인과 호주인, 중국인은 전부 불쾌하지 않다는 반응을 보여 대조를 보이고 있다. (4)종교와 좌우명과 같은 내면에 관련된 질문에 대해서 일본인과 호주인 남녀는 공통적으로 불쾌감을 느끼는 반면, 중국인과 한국인은 공통적으로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no data found.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

This paper was written with support from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