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0936128},
author={한유석},
title={シソーラスを基盤にした比較語彙研究の構想},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4},
number={11},
pages={155-167}
TY - JOUR
AU - 한유석
TI - シソーラスを基盤にした比較語彙研究の構想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4
VL - null
IS - 11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55
EP - 167
SN - 1229-7275
AB - 본고에서는 『分類語彙表』를 기반으로 구축된 일한 병렬시소러스를 이용하여 양언어의 체언류의 어휘를 총체적으로 비교해 보았다. 분석은 미시적인 방법과 거시적인 방법을 이용했다. 미시적인 방법으로서는 하나의 분류항목만을 대상으로 양언어의 분류어의 분포, 어종, 전체어수를 비교해 보았다. 거시적인 방법으로서는 543개의 전체 분류항목 중에 양언어가 어떠한 항목에서 우위를 차지하는가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分類語彙表』의 체언류에는, ‘민영화’, ‘가입자’, ‘공격력’, ‘의식 구조’와 같은 합성어가 일상적으로 많이 쓰이는 분류어임에도 불구하고 상당수 누락되어 있다는 점, 의식주에 관련된 항목의 어휘가 일본어와 한국어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점, 한국어에는 ‘친척’, ‘군대’에 관한 분류어가 많고, 일본어에는 ‘취사’, ‘날씨’에 관한 분류어가 많다는 점 등이 밝혀졌다. 부문별 분포에서는 한국어에서는 ‘추상적 관계’, ‘인간활동의 주체’의 부문에서는 상대적으로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등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전체적으로는 양언어 거의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병렬시소러스를 기반으로 한 양언어의 어휘 비교의 결과 양언어의 어휘 특징을 일부 확인할 수 있으나, 병렬시소러스의 원자료인 『分類語彙表』와 『延世韓国語辞典』의 어휘의 성격의 차로 생각되는 것도 있었다.
KW -
DO -
UR -
ER -
한유석. (2004). シソーラスを基盤にした比較語彙研究の構想.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1, 155-167.
한유석. 2004, "シソーラスを基盤にした比較語彙研究の構想",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1, pp.155-167.
한유석 "シソーラスを基盤にした比較語彙研究の構想"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1 pp.155-167 (2004) : 155.
한유석. シソーラスを基盤にした比較語彙研究の構想. 2004; 11 : 155-167.
한유석. "シソーラスを基盤にした比較語彙研究の構想"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1(2004) : 155-167.
한유석. シソーラスを基盤にした比較語彙研究の構想.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1, 155-167.
한유석. シソーラスを基盤にした比較語彙研究の構想.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4; 11 155-167.
한유석. シソーラスを基盤にした比較語彙研究の構想. 2004; 11 : 155-167.
한유석. "シソーラスを基盤にした比較語彙研究の構想"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1(2004) : 155-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