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0999319},
author={이범석},
title={A Research on the Accentual Patern of Daegu Dialect},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3},
number={7},
pages={125-135}
TY - JOUR
AU - 이범석
TI - A Research on the Accentual Patern of Daegu Dialect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3
VL - null
IS - 7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25
EP - 135
SN - 1229-7275
AB - 본고는 한・일양국어의 대조연구 및 일본어교육에 필요한 선행 연구로서 한국 대구지역 화자를 대상으로 악센트에 관해 고찰했다. 특히 2음절 명사를 중심으로 당해지역 若年層에 대한 악센트의 現状을 검토했다. 그결과 현시점에서의 당해지역 若年層의 악센트는 거시적으로는 전통적인 기존악센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저한 변화의 동향은 보이지 않으나 기존 악센트형과는 다른 특이한 악센트형이 관찰되었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악센트가 기복형의 경우에는 음절간 고저차를 가지지 않는 평판형으로 실현되는 경향이 강하며, 기존악센트가 평판형인 경우에는 평판형에 이어 제2음절이 높게 실현되는 악센트형이 관찰되었다. 이처럼 기존악센트형과는 다른 음조형이 악센트형별,혹은 항목별로 나타나는 것은 악센트의 변화 조짐 혹은 그 과정을 반영한 것으로 생각된다. 나아가, 기존악센트형과 다르게 실현되는 악센트의 음조가 서울방언화자의 발화에서 나타나는 음조형과 매우 유사한 가운데 ,특히 당해지역의 기존악센트형과 서울방언의 음조형이 유사한 항목에서는 변화의 비율이 적게 나타나고, 서로다른 항목에서는 변화의 비율이 놓게 나타나는등, 양자간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어 표준어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KW -
DO -
UR -
ER -
이범석. (2003). A Research on the Accentual Patern of Daegu Dialect.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7, 125-135.
이범석. 2003, "A Research on the Accentual Patern of Daegu Dialect",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7, pp.125-135.
이범석 "A Research on the Accentual Patern of Daegu Dialect"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7 pp.125-135 (2003) : 125.
이범석. A Research on the Accentual Patern of Daegu Dialect. 2003; 7 : 125-135.
이범석. "A Research on the Accentual Patern of Daegu Dialect"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7(2003) : 125-135.
이범석. A Research on the Accentual Patern of Daegu Dialect.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7, 125-135.
이범석. A Research on the Accentual Patern of Daegu Dialect.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3; 7 125-135.
이범석. A Research on the Accentual Patern of Daegu Dialect. 2003; 7 : 125-135.
이범석. "A Research on the Accentual Patern of Daegu Dialect"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7(2003) : 125-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