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Japanese "End Focus" as Spoken by Native Seoul-With Focus on unmarked sentence and marked sentence-dialect Speakers-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3, (7), pp.137-149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이혜련 1

1상명대학교

Candidate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방언화자의 일본어발화의 구말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인토네이션인 “end focus의 실태를, 무제문과 유제문을 중심으로 조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화의 통어구조와 정보구조에 따른 end focus의 비교, end focus의 세가지 유형에 따른 출현의 차이,end focus의 실현과 포즈와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했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end focus는 발화의 통어구조와 정보구조에 따른 출현빈도의 차이는 없다. ②“end focus의 세가지 유형인 「상승하강조」,「상승조」,「장호조」중에서,「상승하강조」와「상승조」는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장호조」는 그다지 나타나지 않는다. ③“end focus의 실현에 있어서 포즈는 요인의 하나이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서울방언화자의 일본어발화중에 나타나는“end focus는 발화의 통어구조와 정보구조의 양구조에 나타나는 구말 인토네이션임이 밝혀졌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