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A study on Acquisition of the Chinese CharacterAdjectival Verbs in the case of Koreans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3, (7), pp.167-180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한선희 1

1상명대학교

Candidate

ABSTRACT

형용동사는 일본어에는 있으나 한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품사이다. 그 중에서도 같은 한자를 사용하나 용법이 다른 한어형용동사는 일본어를 학습하는 한국인 학생에게는 매우 까다로운 문제이다. 본고에서는 학생들의 작문을 토대로 한어형용동사의 습득상황을 조사하여 보았는데, 일본어 한어형용동사는 「漢字語+하다」로 해석되는 것이 많기 때문에 「漢語+する」로 작문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 경우는 학년이 오르면서 조금씩 없어지기는 하지만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았다. 명사성이 강한 한자가 붙는 한어형용동사는 정답률이 높고, 특수한 형태의 것이 가장 정답률이 낮았다. 한국어 「하게」로 해석되는 것은 「~して 」형의 한어형용동사를 만드는 경향이 있고, 그 외의 「 に 」와 「 で 」의 혼동이 나타났다. 일본어 한어형용동사가 「 ~に 」의 형태를 취하지 않아도 한국어로 「 ~히 」가 붙기 때문에 「 ~ に」를 붙이는 경우도 있었다. 가정형의 용법은 학년이 높아지면서 정답률이 높아져, 한어형용동사의 습득이 진전됨을 알 수 있었고,「~的」이 붙는 것은 한국어와 일본어가 상이하여 한국인 학습자에게는 혼동하기 쉬운 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