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On the particle de and Middle Construction in Japanese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6, (16), pp.197-212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千 昊 載 1

1계명대학교

Accredited

ABSTRACT

조사「で」와 중간구문과의 의미통사적 제약  본 연구에서는 조사「で」와 중간구문과의 의미 통사적 제약을 통하여 중간구문이 형태, 통사, 의미적으로 독립성을 지닌 독자적인 구문이라는 사실을 주장한다. 이 사실을 주장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우선, 千昊載(2004)에서 논의된 중간구문의 형태, 통사, 의미적 특징을 요약하였다. 중간구문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술어인 중간동사는 가능동사와 동일한 음성형을 취하며 기저동사를 지닌다. 중간구문의 주어는 기저동사의 「ヲ」격목적어이며, 동작 주체가 통사상 명시되지 않지만, 의미상 그 존재는 함축된다. 중간동사는 상태화의 조작을 받는 상태동사이며, 주어의 일반적, 총칭적 특성을 기술하며 난이부사(難易副詞)의 보조를 필수적으로 받는다. 둘째, 본고에서는 「で」격 목적어와 특정한 동작 주체, 그리고 동작 장소 및 목적을 표시하는「で」는 중간구문에 나타날 수 없지만, 원인 및 기준, 시간을 표시하는 조사 「で」는 중간구문에 나타날 수 있는 것, 그리고 조사「で」와 중간구문과의 의미통사적 제약은 모두 총칭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사실을 주장한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에 의해서 확인된 중간구문과 조사「で」와의 의미통사적 제약이 中右・西村(1998)가 주장한 조사「で」의 공간인식구조를 어떻게 지지해줄 수 있는지를 논의한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