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150657},
author={이재강},
title={日本語の/p/の聽覺印象と音聲波形との關係硏究},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4},
number={11},
pages={97-109}
TY - JOUR
AU - 이재강
TI - 日本語の/p/の聽覺印象と音聲波形との關係硏究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4
VL - null
IS - 11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97
EP - 109
SN - 1229-7275
AB -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어를 전공하는 우리나라 대학생의 일본어 음소 /p/ 발음을 청각적ㆍ음향적 관점에서 분석․정형화하는 것이다. 실험 대상 음소는 일본어 /p/로, 실험 환경은 어두, 어중으로 하였다. 또한 어중 환경의 /p/는 어중 환경만으로 분석한 이외에도 요음이 없는 어중환경과 요음 앞에 나오는 어중환경의 2경우로 다시 분석하였다. 이외에 음성 자질별 분석과 성별 분석이 있다.
한국인 피험자가 발음한 일본어 음소 /p/의 청각인상에 관한 연구 결과, /p/계열 중 가장 높은 빈도수는 격음, 경음, 연음의 순서로 나타났고、음향 분석에 관한 연구 결과에서는 격음, 연음, 경음의 순서로 나타났다. Japanese /p/의 청각인상의 분석 결과는 [pp]가 2/3로 분석되었고 음향 분석에서는 대부분이 Japanese/p/와 일치하거나 유사한 지속 시간으로 분석되었다.
KW -
DO -
UR -
ER -
이재강. (2004). 日本語の/p/の聽覺印象と音聲波形との關係硏究.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1, 97-109.
이재강. 2004, "日本語の/p/の聽覺印象と音聲波形との關係硏究",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1, pp.97-109.
이재강 "日本語の/p/の聽覺印象と音聲波形との關係硏究"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1 pp.97-109 (2004) : 97.
이재강. 日本語の/p/の聽覺印象と音聲波形との關係硏究. 2004; 11 : 97-109.
이재강. "日本語の/p/の聽覺印象と音聲波形との關係硏究"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1(2004) : 97-109.
이재강. 日本語の/p/の聽覺印象と音聲波形との關係硏究.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1, 97-109.
이재강. 日本語の/p/の聽覺印象と音聲波形との關係硏究.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4; 11 97-109.
이재강. 日本語の/p/の聽覺印象と音聲波形との關係硏究. 2004; 11 : 97-109.
이재강. "日本語の/p/の聽覺印象と音聲波形との關係硏究"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1(2004) : 97-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