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0936127},
author={조문희},
title={朝鮮時代の日本語敎育の評価考},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4},
number={11},
pages={111-131}
TY - JOUR
AU - 조문희
TI - 朝鮮時代の日本語敎育の評価考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4
VL - null
IS - 11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11
EP - 131
SN - 1229-7275
AB - 조선시대는 사역원에서 역관양성을 목적으로 일본어교육이 이루어졌는데 이를 왜학이라 하였다. 사역원은 예조 소속으로 일본어 역관이 되기 위해 일본어를 배우러 모여든 사람들에게 일본어를 교육시키는 일어 학교였으며, 동시에 역관 자격증을 얻기 위하여 역과 시험을 준비하는 고시학원이기도 하였고, 실직에서 임무를 끝낸 역관들의 일본어 연수기관이기도 하였다. 그만큼 사역원 왜학은 일본어 역관과 관계가 깊으며, 일본어 교육과 역관 관리를 담당한 기관이었던 것이다. 본고는 사역원의 일본어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진 평가에 대하여, 평가 방법, 평가의 종류, 평가 내용, 출제서 등에 대하여 조사하고 현대적 의미로 해석하여 평가를 4기능 중심으로 성격을 규정하고자 하였다.
KW -
DO -
UR -
ER -
조문희. (2004). 朝鮮時代の日本語敎育の評価考.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1, 111-131.
조문희. 2004, "朝鮮時代の日本語敎育の評価考",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1, pp.111-131.
조문희 "朝鮮時代の日本語敎育の評価考"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1 pp.111-131 (2004) : 111.
조문희. 朝鮮時代の日本語敎育の評価考. 2004; 11 : 111-131.
조문희. "朝鮮時代の日本語敎育の評価考"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1(2004) : 111-131.
조문희. 朝鮮時代の日本語敎育の評価考.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1, 111-131.
조문희. 朝鮮時代の日本語敎育の評価考.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4; 11 111-131.
조문희. 朝鮮時代の日本語敎育の評価考. 2004; 11 : 111-131.
조문희. "朝鮮時代の日本語敎育の評価考"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1(2004) : 111-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