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150718},
author={宮岡弥生 and 玉岡賀津雄 and 林 炫 情},
title={A contrastive stud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concerning compoundness of prefixes and suffixes with two-kanji compound word},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6},
number={16},
pages={33-46}
TY - JOUR
AU - 宮岡弥生
AU - 玉岡賀津雄
AU - 林 炫 情
TI - A contrastive stud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concerning compoundness of prefixes and suffixes with two-kanji compound word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6
VL - null
IS - 16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33
EP - 46
SN - 1229-7275
AB - 접두・접미사와 2자 한자 숙어의 결합력에 관한 일한 대조연구
일한 양언어의 접사는, 단독으로는 語를 형성하지 못하며, 여러 가지 語基에 첨가되어 사용된다. 그 때문에「語基+접사」 형의 어휘로서 이미 널리 알려진 것 이외에도 접사가 새롭게 첨가된 가능성이 있는 語基는 한국어 일본어에서 적지 않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어 화자는 語基와 접사를 결합시키는 법칙을 언어감각으로서 지니고 있다는 인식하에, 한일 양언어의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1자 한자 접사와 2자 한자 語基의 결합력에 관한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취급한 접사는, 접두사가 「再(재)・新(신)・全(전)・大(대)・初(초)・超(초)・反(반)・非(비)・不(불)・每(매)・未(말)・無(무)」12개、접미사가「學(학)・論(논)・用(용)・風(풍)・的(적)・性(성)・狀(장)・者(자)・式(식)・化(화)・家(가)・界(계)」12개로 전부 24개이다. 접사 선택에는 일한 양언어의 접사전체의 사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첫째로 접사의 성격이 치우쳐 있지 않을 것, 둘째로 사용빈도가 높은 것에서부터 낮은 것까지 종류가 다양할 것, 셋째로 일본어에도 한국어에도 있는 접사일 것에 중점을 두었다. 분석결과, 일본어와 한국어의 접사 첨가 패턴은 부분적으로는 다르지만 전체적으로는 매우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일본어와 한국어의 접사를 외국어로서 학습할 경우에는 모어의 지식을 어느 정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語基 별로 보면 양자의 결합 패턴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접두사의 사용법이 일본어와 한국어에서 서로 다른 점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한국어 모어 화자가 일본어의 접사를 학습할 때는 양언어간의 접사 첨가 패턴이 다른 접사를 중심으로 학습한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접사를 습득할 수 있다고 본다.
KW -
DO -
UR -
ER -
宮岡弥生, 玉岡賀津雄 and 林 炫 情. (2006). A contrastive stud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concerning compoundness of prefixes and suffixes with two-kanji compound word.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6, 33-46.
宮岡弥生, 玉岡賀津雄 and 林 炫 情. 2006, "A contrastive stud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concerning compoundness of prefixes and suffixes with two-kanji compound word",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6, pp.33-46.
宮岡弥生, 玉岡賀津雄, 林 炫 情 "A contrastive stud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concerning compoundness of prefixes and suffixes with two-kanji compound word"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6 pp.33-46 (2006) : 33.
宮岡弥生, 玉岡賀津雄, 林 炫 情. A contrastive stud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concerning compoundness of prefixes and suffixes with two-kanji compound word. 2006; 16 : 33-46.
宮岡弥生, 玉岡賀津雄 and 林 炫 情. "A contrastive stud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concerning compoundness of prefixes and suffixes with two-kanji compound word"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6(2006) : 33-46.
宮岡弥生; 玉岡賀津雄; 林 炫 情. A contrastive stud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concerning compoundness of prefixes and suffixes with two-kanji compound word.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6, 33-46.
宮岡弥生; 玉岡賀津雄; 林 炫 情. A contrastive stud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concerning compoundness of prefixes and suffixes with two-kanji compound word.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6; 16 33-46.
宮岡弥生, 玉岡賀津雄, 林 炫 情. A contrastive stud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concerning compoundness of prefixes and suffixes with two-kanji compound word. 2006; 16 : 33-46.
宮岡弥生, 玉岡賀津雄 and 林 炫 情. "A contrastive stud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concerning compoundness of prefixes and suffixes with two-kanji compound word"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6(2006) : 3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