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150770},
author={Lee,Mi-Suk and 李 和 娟 and Kang youn ok},
title={The sociocultur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IT Terminology : Korean, Chinese, and Japanese},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6},
number={16},
pages={125-142}
TY - JOUR
AU - Lee,Mi-Suk
AU - 李 和 娟
AU - Kang youn ok
TI - The sociocultur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IT Terminology : Korean, Chinese, and Japanese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6
VL - null
IS - 16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25
EP - 142
SN - 1229-7275
AB - 한・중・일 IT관련용어의 언어학적・사회문화적 특징연구- 2005년 1월분 일간신문을 대상으로 -
21세기에 들어오면서 대량의 IT관련 정보는 방대한 용어를 동반하여 각국의 언어(외래어) 수용 체계에 커다란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본고는 2005년 1월, 1개월간 한중일 3국의 일간신문(한국:조선일보, 중국:인민일보, 일본:요미우리신문)에서 사용된 IT관련용어에 나타난 언어학적, 사회문화적 특징을 분석하여 3국의 사회문화적 현주소를 이해하고, 외래어 수용체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자 시도되었다.
1) 개별어수로는 일본이 한국과 중국의 3~4배에 달해, 상대적으로 정보의 공유화・대중화가 높음을 알 수 있다.
2) 한국과 일본은 「정보통신・정보사회」및「하이테크」범주의 용어가, 중국은「컴퓨터」「인터넷」범주의 용어가 두드러져 현시점에서 3국의 사회문화적 관심의 차이를 예측할 수 있다.
3) 연어수로는 중국이 한국과 일본의 2배가 넘고, 빈도별 상위 10위어의 전체비율이 45%로 높아, 상대적으로 사회적 관심이 집약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상대적으로 일본이 일간신문에서 다루는 전문용어의 범위가 세분화되고 광범위하며, 기술용어의 대중화가 앞서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은 기본용어의 사용이 매우 활발하며, 인프라(Infra)와 관련된 부분에 집중적으로 몰려있다.
5) 표기상 이중으로 표기되는 예는 일본이 16어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절단형이 사용된 예를 포함하면 더욱 높아진다. 한국도 용어의 번역에 있어, 보다 신중을 기해야 할 시기이다.
6) 어구성적 관점에서 한국과 일본모두 합성어의 비율이 매우 높고, 특히 한국에 비해 일본은 어형의 일부가 절단된 형태가 상대적으로 많다.
7) 어종별로는 일본이 영어(또는 영어 포함)의 사용율 및 혼종어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특히 한국과 일본 모두 두문자어(Acronym) 사용율도 압도적으로 높아, 사회구성원 간의 정보 공유가 어려워질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를 낳게 한다. 상대적으로 중국의 경우는 영어(두문자)의 사용 비율이 낮지만, 종래의 체계에 비하면 영어 및 혼종어의 비율이 매우 높고,「网」과 같은 외래어 형태소를 사용한 용어가 급속히 늘어나는 등 새로운 현상들이 속출하고 있다.
즉, 표기상으로 3국 모두 기존의 체계에 혼란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적극적인 전문가 기구 등을 통하여 용어사용의 통제가 필요한 시기임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동일 한자권인 만큼, 전문 용어의 3국간의 검토가 필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KW -
DO -
UR -
ER -
Lee,Mi-Suk, 李 和 娟 and Kang youn ok. (2006). The sociocultur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IT Terminology :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6, 125-142.
Lee,Mi-Suk, 李 和 娟 and Kang youn ok. 2006, "The sociocultur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IT Terminology :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6, pp.125-142.
Lee,Mi-Suk, 李 和 娟, Kang youn ok "The sociocultur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IT Terminology :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6 pp.125-142 (2006) : 125.
Lee,Mi-Suk, 李 和 娟, Kang youn ok. The sociocultur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IT Terminology : Korean, Chinese, and Japanese. 2006; 16 : 125-142.
Lee,Mi-Suk, 李 和 娟 and Kang youn ok. "The sociocultur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IT Terminology :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6(2006) : 125-142.
Lee,Mi-Suk; 李 和 娟; Kang youn ok. The sociocultur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IT Terminology :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6, 125-142.
Lee,Mi-Suk; 李 和 娟; Kang youn ok. The sociocultur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IT Terminology :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6; 16 125-142.
Lee,Mi-Suk, 李 和 娟, Kang youn ok. The sociocultur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IT Terminology : Korean, Chinese, and Japanese. 2006; 16 : 125-142.
Lee,Mi-Suk, 李 和 娟 and Kang youn ok. "The sociocultur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IT Terminology :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6(2006) : 125-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