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480362},
author={HWANG, YOUNG HEE},
title={植民地時代の日本語学習者における文末形式の保存 },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0},
number={28},
pages={286-300}
TY - JOUR
AU - HWANG, YOUNG HEE
TI - 植民地時代の日本語学習者における文末形式の保存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0
VL - null
IS - 28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286
EP - 300
SN - 1229-7275
AB - 본고는 한국노년층이 근대적인 식민지하의 일본어 학습환경 아래에서 일본어를 습득한 후 60여년이상 보존하고 있는 일본어(=잠복기일본어)의 문말형식을 언어규범이라는 측면에서 그 보존 양상과 관련한 언어적 요인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잠복기일본어의 문말형식(동사술어문)을 보면 특히, 학습습득적 요소가 강하고 일본어접촉도가 낮은 층에서 고정적인 규범형과 불안정한 비규범형을 많이 보존하고 있는데 그것은 현재의 일본어학습자의 중간언어 습득과정에서도 나타나는 보편적인 단순화, 합리화(분석화)의 책략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형용사문 및 명사문에서 デス形이 マス形보다 우위적으로 나타나는 사실에서도 그 연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잠복기일본어에 있어서 비규범형 문말형식의 사용이 한국어의 영향에 의한 것일 가능성, 교실학습적 요소가 강한 여성화자가 규범형을 우위적으로 사용하며 일본어접촉도가 낮을수록 고정적이고 관용적인 규범형을 사용한다는 언어외적 요인과의 상관성도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언어외적 요인과 더불어 일본어접촉도가 높은 화자들에게는 문장 내에서의 담화기능에 따른 사용구분 등과 같은 언어내적인 요소도 (비)규범형 사용의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상에서 잠복기일본어의 동사문말형식은 일정한 일본어능력을 습득한 화자에게 다양한 변이형로 나타나는 가운데 현재의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습득과정에 관한 선행연구와 본고의 화자의 속성에 따른 (비)규범형의 출현 양상에서 볼 때 「マセン・マセンデシタ(규범형)」보다 「ナイデス・ナカッタデス(비규범형)」이 장기간 보존되는 보존(또는 회귀)의 프로세스를 도출할 수 있다.
KW -
DO -
UR -
ER -
HWANG, YOUNG HEE. (2010). 植民地時代の日本語学習者における文末形式の保存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8, 286-300.
HWANG, YOUNG HEE. 2010, "植民地時代の日本語学習者における文末形式の保存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8, pp.286-300.
HWANG, YOUNG HEE "植民地時代の日本語学習者における文末形式の保存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8 pp.286-300 (2010) : 286.
HWANG, YOUNG HEE. 植民地時代の日本語学習者における文末形式の保存 . 2010; 28 : 286-300.
HWANG, YOUNG HEE. "植民地時代の日本語学習者における文末形式の保存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8(2010) : 286-300.
HWANG, YOUNG HEE. 植民地時代の日本語学習者における文末形式の保存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8, 286-300.
HWANG, YOUNG HEE. 植民地時代の日本語学習者における文末形式の保存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0; 28 286-300.
HWANG, YOUNG HEE. 植民地時代の日本語学習者における文末形式の保存 . 2010; 28 : 286-300.
HWANG, YOUNG HEE. "植民地時代の日本語学習者における文末形式の保存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8(2010) : 286-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