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586780},
author={PARK HYEJA},
title={美的語彙体系の一貫性},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1},
number={31},
pages={151-167}
TY - JOUR
AU - PARK HYEJA
TI - 美的語彙体系の一貫性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1
VL - null
IS - 31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51
EP - 167
SN - 1229-7275
AB - 古代 日本語에는 現代語에서 사용되고 있는 美를 나타내는 包括的 語彙 대신에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美的語彙, 예로 「あざやか」,「あてやか」,「きよげ」,「きよら」,「にほひやか」,「はなやか」,「よし」,「をかし」 등、多數의 美的語彙가 각각의 場面과 風情에 의하여 細分化되어 表現되었다. 이러한 語彙는 現代 日本語에서는 그 意味가 縮小되거나 또는 變化되었다. 따라서 多樣한 意味를 가지는 古代 日本語의 美的語彙에 대한 理解는 日本語의 審美的 特性을 理解하는데 重要한 端緖가 될 수 있다. 본 論文은 多數의 主要 硏究者에 의하여 提示된 美的語彙를 事物의 屬性또는 話者의 感情을 表現하는 語彙로 對比하고, 이들 語彙가 나타내는 여러 意味 間의 相好連繫를 把握함으로써, 美的語彙의 一貫된 語義體系가 存在하는지를 糾明하고자 하였다. 硏究結果에 따르면, 複數의 硏究者들에 의한 105個의 美的語彙는 놀랍게도 意味 上, 높은 相好連繫關係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完全에 가까운 一貫性 下에서 發達된 意味體系를 顯示하고 있음을 糾明할 수 있었다. 이러한 結果는 日本語가 가지는 審美的 特性을 提示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日本語 學習者 또는 飜譯者의 受容過程에서의 效率性을 提高하는데 寄與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W -
DO -
UR -
ER -
PARK HYEJA. (2011). 美的語彙体系の一貫性.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1, 151-167.
PARK HYEJA. 2011, "美的語彙体系の一貫性",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1, pp.151-167.
PARK HYEJA "美的語彙体系の一貫性"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1 pp.151-167 (2011) : 151.
PARK HYEJA. 美的語彙体系の一貫性. 2011; 31 : 151-167.
PARK HYEJA. "美的語彙体系の一貫性"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1(2011) : 151-167.
PARK HYEJA. 美的語彙体系の一貫性.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1, 151-167.
PARK HYEJA. 美的語彙体系の一貫性.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1; 31 151-167.
PARK HYEJA. 美的語彙体系の一貫性. 2011; 31 : 151-167.
PARK HYEJA. "美的語彙体系の一貫性"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1(2011) : 151-167.